독락당 계정(獨樂堂溪亭:보물 제413호)
독락당(獨樂堂)은 이언적이 한때 살았던 집으로, 옥산서원(玉山書院)의 안쪽 계곡에 자리 잡고 있습니다.
중종 27년(1532년) 불혹의 나이에 중앙 정치무대에서 쫓겨난 이언적은 둘째 부인이 사는 이곳으로 돌아갔습니다.
원래는 태어나고 자란 양동마을로 돌아가는 것이 맞겠으나, 자신의 초라한 처지를 보이기 싫었던 때문이었겠지요.
당시 이곳에는 둘째 부인이 지은 안채와 숨방채, 그리고 아버지가 지은 작은 정자가 있었습니다.
이언적은 사랑채인 독락당을 지으면서 이곳을 대대적으로 수리하고 증축하여 중앙 정계로 복귀할 때까지 7년간을 살았습니다.
그러면 회재(晦齋) 이언적(李彦迪, 1491∼1553)은 어떤 인물이었을까요?
그는 조선 종중대의 정치가이자 사상가이며 성리학자였습니다.
죽은 후에 한휜당 김굉필, 일두 정여창, 정암 조광조, 퇴계 이황과 함께 동방오현(東方五賢)의 한 사람으로 추앙받았습니다.
이런 이언적을 제향한 서원이 옥산서원입니다.
호남의 정자가 집에서 집 바깥을 향해 있다면, 영남의 정자는 집 바깥에서 집으로 귀착한다.
호남의 넓은 들과 하천은 함께 생활하는 사람으로 하여금 자연의 순행에서 변하지 않는 원리보다는
끝없이 변화하는 대상들의 존재에 더 관심을 갖게 하였을 것이다. 한편 산이 많고 골짜기가 많은
영남에서는 변화하는 대상의 원리를 파악하고 그것을 도덕적 원리로 정리해 인간과 사회를 통제하는 규범으로 삼았다.
그래서 호남 정자는 호방하고 영남 정자는 은근하다. 호남의 정자에선 시와 음악이 연주되고,
영남의 정자에선 인간의 도리와 그것을 표현하는 태도가 중시된다.
경북 경주에 있는 독락당의 계정(溪亭)은 영남 정자의 전형이다.
독락당은 회재 이언적이 김안로의 임용에 반대하다가 중종에게 내쳐져 암울한 시절을 보낸 집이다.
약관의 나이에 조한보와 무극태극 논변을 펼치며 이(理) 중심의 성리학을 확립한 그로선 생애 처음
맛보는 좌절이었을 것이다. 집 이름도 독락(獨樂)이다. 홀로 즐긴다는 뜻이다.
예부터 홀로 즐김은 같이 즐기는 것만 못하다고 했다. 그런데 이언적은 홀로 즐긴다고 당호를 짓는다.
그러고는 스스로 원해서 홀로 즐기는 건 아니라고 못 박는다. 정계에서 물러난 그의 우울한 심사가 엿보인다.
그러나 그의 쓸쓸한 마음 풍경과는 달리 계정 옆으로 흐르는 자계는 가슴 먹먹하도록 아름답다.
계정은 이 경치를 담기 위해 담에서 개울 쪽으로 튀어나와 있다. 그리고 기둥을 내려 자계천의 바위에 우뚝 솟아 있다.
그 바위의 이름이 관어대(觀魚臺)다. 이언적은 어쩔 수 없어서 혼자 즐긴 게 아니라 혼자서 충분히 즐긴 것 같다.
계정 주위의 바위에 일일이 이름을 붙였다. 관어대 건너편 바위는 ‘시를 읊으며 돌아오고 싶구나’라는 논어의
구절을 따서 영귀대(詠歸臺), 그 위의 바위는 ‘맑은 물에 갓끈을 씻는다’는 굴원의 시 구절을 따 탁영대(濯纓臺),
그 위쪽 바위는 마음을 맑게 한다는 징심대(澄心臺)로 불렀다.
계정의 영역은 여기서 끝나지 않는다. 자계의 하류로 내려가 보자. 옥산서원 근처에 주역의 계사상전에서
이름을 따온 세심대(洗心臺)가 있다. 글씨는 퇴계 이황의 것이다. 계정의 영역은 산으로 다시 퍼져나간다.
도덕산 무학산 화개산 자옥산…. 거대하지 않은가! 그러나 얼마나 작은가.
함성호 시인·건축가
'한국의 옛집'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함성호의 옛집 읽기]<11>양동마을 서백당 (0) | 2012.03.16 |
---|---|
[함성호의 옛집 읽기]<10>‘한국건축의 메카’ 양동마을 (0) | 2012.03.16 |
[함성호의 옛집 읽기]<8>‘호남 정자의 원형’ 면앙정 (0) | 2012.03.16 |
[함성호의 옛집 읽기]<7>‘붉은 겹의 구조’ 명옥헌 (0) | 2012.03.16 |
[함성호의 옛집 읽기]<6>‘푸름이 두른 집’ 환벽당 (0) | 2012.03.1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