탄천(검단)지맥의 개념도와 지도
탄천(검단)지맥(黔丹枝脈) 은 ?
한남정맥의 선장산(350m) 북쪽 1.7km 지점인 용인 향린동산에서 서북쪽으로 분기해서
법화산(383.2m), 불곡산(335.4m), 영장산(414.2m), 검단산(542m), 청량산(482.6m), 남한산(522m),
용마산(595.5m), 검단산(658.4m)을 거쳐 경안천이 한강에 합수하는 팔당댐에서
그 맥을 다하는 도상거리 45km인 산줄기로 수계를 기준으로 하는 대한산경표에서는
탄천지맥이라고 부른다
검단지맥의 서쪽은 탄천, 동쪽은 경안천을 경계 지으며, 경안천이 한강에 들어가는 합수점에서
그 맥을 다하는데, 산줄기의 끝자락이 팔당호 호숫물이 들어차 있어 정확한 지점을 특정하기
곤란하므로 팔당댐을 지맥의 종착점으로 본다.
검단지맥에는 검단산((黔丹山) 이름의 산이 두 개 있는데, 팔당호 직전의 검단산이 더 높고
이 산줄기의 최고봉 이라 검단지맥 이라는 이름을 부여했다.
또한 검단지맥에는 남한산성이 있는데, 남한산에 있는 산성이라 남한산성 이라 부른다.
경안천이 한강을 만나는 합수점 바로 위쪽에 북한강과 남한강이 만나는 한강기맥 두물머리가
위치해 있는데, 그 인근지역에 한강기맥, 천마지맥, 앵자지맥, 검단지맥 등
4개의 기맥/지맥 산줄기 끝점이 한 군데로 모이는 지형을 이루고 있다.
이 지맥은 팔당호에서 한강 본류와 북한강이 만나는 경안천(길이 49.3km, 유역면적 575.32㎢)의
서쪽 벽을 이루며 법화산(383.2m), 불곡산(335m), 영장산(414.2m), 검단산(538.1m)과
남한산성을 따라 청량산(482.6m)을 지나고, 두리봉(570m)에서 북한강 서쪽 울타리가 되어 내려온
왕숙(천마)지맥의 끝 마현을 마주보는 산줄기를 내보낸 다음 검단산(657m)을 거쳐 팔당댐에 이른다.
댐 건너의 예봉산 자락에서 왕숙(천마)지맥, 한북정맥, 백두대간, 한남정맥을 거쳐 이곳에 이르는
팔당호 유역의 울타리는 도상거리가 약 1,085km에 이른다.
이 지맥은 중부고속도로 전후와 수지대로(43번 국도) 전후, 그리고 88CC 구간을 제외하면
산길이 잘 나있는데, 그 중 20km 이상이 성남시가 등산로를 정비한 성남시계 종주코스이기도 하다.
◆ 구간거리
지맥분기봉(335m)~1.5~물푸레고개~0.6~법화산~3.5~대치고개~0.9~숫돌봉(-1.0)~2.3~
불곡산~2.0~태현~1.9~새마을고개~2.4~새나리고개~1.7~영장산~3.8~갈마치고개~1.9~
이배재~1.5~망덕산~2.1~검단산~2.8~청량산~3.4~남한산~3.7~은고개~6.1~검단산~2.9~
팔당댐 / 45.0km
◆ 주요 봉우리
법화산(383.2m), 불곡산(335.4m), 영장산(414.2m), 검단산(542m),
청량산(482.6m), 남한산(522m), 용마산(595.5m), 검단산(658.4m)
◆ 종주에 필요한 지도
1/25000 : 덕소. 양수. 성남.광주. 능평.
1/50000 : 성동. 약수. 수원.이천.
탄천(검단)지맥 개념도
탄천(검단)지맥 구글어스
탄천(검단)지맥 지도(1)
탄천(검단)지맥 지도(2)
탄천(검단)지맥 지도(3)
탄천(검단)지맥 지도(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