봉축의 의미
[부처님 이 땅에 오신 의미]
부처님 오신날은 인류 모두의 축제입니다.
부처님 오신날은 인류 역사상 가장 획기적인 날입니다.
부처님의 탄생과 성도는 인간 능력의 무한 가능성을 확인한 날이기 때문입니다.
인간은 참으로 나약한 존재였습니다.
나고 늙고 병들고 결국엔 죽을 수밖에 없는 존재,
살아가는 과정에서 조차 행복한 삶을 보장받지 못한 채
상황이며 환경, 조건, 인연에 이끌려 잠시의 행복과 이어지는
잠시의 괴로움, 행복 불행 행복 불행,
그렇게 끊임없이 조건에 노예가 되어 살다가 죽어가는 존재였습니다.
그러면서도 고작 추구한다는 행복조차 절대적이지 않은
잠시의 행복일 뿐 인생 전체를 행복으로 물들일 수 있는 이는 아무도 없었습니다.
돈이며 명예, 권력, 지위, 배경, 학식, 이성, 학벌 등
살아가며 행복을 잡기 위해 이런 것들을 늘려 나가는데 혈안이 되어 있지만
그런 것들은 결코 우리에게 절대적인 행복을 가져다주지는 못했습니다.
인간은 항상하는 것을 찾았지만
어디에도 항상하는 것은 없었으며(제행무상 : 諸行無常),
죽지 않고 항상 고정되게 존재하는 ‘나’를 찾았지만
누구도 항상하지 못한 채 죽어가야 했고(제법무아 : 諸法無我),
끊임없이 행복하고 싶지만 괴로움(일체개고 : 一切皆苦)이 우리 삶을 가로막았습니다.
그렇게 나약한 존재들이 모여 자신보다 조금 더 나약한 존재들을 짓밟고 살아가며,
자신의 안위를 위해 자신보다 지능이 떨어지는 짐승들을 잡아먹으며 살아가는
그야말로 본능과 이기가 난무한 인류의 삶이었습니다.
그런데 부처님께서 오신 뒤로는 이런 삶이 다가 아니라는 것을 알게 되었습니다.
부처님의 탄생은 우리 인류에게 무한 가능성을 활짝 열어보여 주었습니다.
인간이 결코 나약한 존재가 아니라는 사실과,
우리가 추구해야 하는 절대 행복이 무엇인지를 알려 주었습니다.
우리 존재 자체는 절대 무한의 생명을 부여받고 있음을 알려 준 것입니다.
이것은 참으로 인류에게 있어 너무나도 큰 전환이 된 것입니다.
괴로움의 삶에서 행복의 삶으로,
항상하지 않는 삶에서 항상하는 삶으로,
거짓된 어리석은 ‘나’에서 밝고 지혜로운 ‘참나’의 발견으로 인류를 안내해 준 것입니다.
그간의 인류를 거처 갔던 그 어떤 위대한 인물이라도
고작 100년도 안되는 살아있는 동안의 행복을 추구해 왔습니다.
죽음에 대해서는 인간 능력 밖의 문제라 여기며 철저히 함묵하고 지내왔습니다.
그러다보니 인간의 가장 큰 괴로움을 도외시 한 채
작은 행복, 살아있는 동안의 행복만을 찾고자 아웅다웅해 왔으니
인류의 영원한 행복은 어쩌면 당연히 요원했을지 모를 일입니다.
그러나 한 젊은 청년 고타마 싯다르타는 이해할 수 없었습니다.
나고 늙고 병들고 죽어야만 하는가에 대한 해답을 내릴 수 없음을 도저히 받아들일 수 없었습니다.
어찌 생각해 보면 인류가 가졌어야 할 가장 중요한 문제,
가장 기본적인 삶의 문제를 회피하고 있었음이 이해되지 않았습니다.
역사 이래로 인류가 포기한 문제를
아니 도저히 문제일 수 조차 없을 인간 능력 밖의 문제,
모두가 신의 영역이라 생각했던 이 문제를 한 젊은 청년 고타마가 풀어 낸 것입니다.
그 문제를 풀고 보니 인간을 비롯한 사생육도의 모든 중생들은
지금까지 생각해 왔던 그런 나약한 존재가 아니었습니다.
아니 나약하지 않을 정도가 아니라 우리 존재 자체가 바로 신이며 부처이며 하늘이었습니다.
내가 곧 우주이며 하나가 곧 전체이고,
나의 마음이 곧 부처의 마음이라는 것을 깨달은 것입니다.
무량수 무량광 한도 끝도 없는 무한생명 그 자체라는 것을 깨달았습니다.
탄생게(誕生偈)
하늘 위와 하늘아래 나 홀로 존귀하도다.
삼계가 모두 고통에 헤매이니 내 마땅히 이를 편안케 하리라.
(天上天下 唯我獨尊 三界皆苦 我當安之)
먼저 ‘삼계개고 아당안지’를 보면
삼계의 모든 중생들이 나약하여 괴로워 함을 바로 깨달으시고는
일체 중생의 괴로움의 문제에서 풀고자 하는 의지를 엿볼 수 있습니다.
또한 괴로움의 문제를 풀고자 하는 이유는
바로 일체 모든 중생들이 고통에서 헤매이기에
이 모든이를 안위케 하려는 동체대비(同體大悲)의 발심 때문이라고 할 수 있을 것입니다.
그런 인류 일체 모든 중생을 구제키 위해 당당하게 괴로움의 문제[生老病死]와 맞닥뜨려
그 문제를 풀고 나니 ‘천상천하 유아독존’임이 확연해 진 것입니다.
하늘 위 하늘 아래 오직 내가 홀로 존귀하다는 내용이지만
여기에서 ‘아(我)’는 일체의 모든 중생을 의미하며
독존(獨尊)이란 모든 존재는 존재 그 자체로서 이미 독존임을 나타내는 것입니다.
다시말해 일체 모든 중생은 낱낱이 모두가 온전히 스스로 존귀함을 이르는 것입니다.
모두가 이 모습 그대로 독존이라는 것입니다.
물은 물대로, 자연은 자연대로, 사람은 사람대로, 미물은 미물대로,
모든 존재가 그렇듯 스스로 온전히 존귀하다는 말입니다.
우리는 그동안 외부에서 행복이며 자유를 구해 왔습니다.
돈이며 명예, 권력, 지위, 학식 등이 높으면 높을수록 많으면 많을수록 행복하다고 여겨왔지만,
사실은 지금의 이 모습 그대로 우리는 누구나 독존이라는 것입니다.
결코 외부적인 여건에 따라 울고 웃는, 행복하고 괴로워하는
그런 종속적인 존재가 아닌 참으로 존귀한 삶의 주인공이라는 선언인 것입니다.
그로부터 인류는 다시 태어난 것입니다.
새롭게 발견한 것입니다.
이제 인류는 하늘이며 우주나 바라문 신에 의해 지배받는
그런 종속적이고 나약한 존재가 아닌,
우리 안에 우주가 있고 세계가 있으며 진리가 있음을 알게 된 것입니다.
그런 날입니다.
부처님오신날은 그런 밝은 날입니다.
이제 앞서 우리에게 깨달음을 보여주고 가신
부처님[佛]과 부처님의 가르침[法] 앞에 고개숙여 귀의하며
우리 모두가 부처님의 가르침을 따르는 청정하고 밝은 수행자[僧]가 되야합니다.
그런 밝은 수행자가 되고자 크게 발심發心하는 날이 바로 오늘 부처님오신날인 것입니다.
길은 이미 밝게 열려 있습니다.
그 길이 바른 길임을 부처님께서 증명해 주셨습니다.
이제 우리가 가야할 길은 올곧게 펼쳐져 있는 길을 따라
퇴전함 없이 나아가는 일입니다.
그 길을 향해 늦추지 않고 정진 또 정진할 일입니다.
그것이 바로 우리 인류가 해야 할 공통의 서원인 것입니다.
그것이 바로 이 밝은 날, 부처님 오신날
우리 생활수행자들이 나아가야 할 밝은 깨침의 길인 것입니다.
[관불의식의 의미]
해마다 음력 사월 초파일, 부처님오신날에
사찰이나 종단에서 거행하는 법회 순서에 빠지지 않는 의례 중 하나가 관욕의식입니다.
관욕(灌浴)이란 청정한 감로수로 탄생불상인
아기부처님의 몸을 씻는 의식으로, 관불(灌佛) 또는 욕불(浴佛)이라고도 합니다.
이는 불자들은 물론이거니와
일반 사람들이 불교와 인연을 맺어 속세의 때,
번뇌의 때를 씻고, 깨끗하고 맑은 생활을 하겠다는 다짐과 서원의 표현이기도 합니다.
또한 자신의 마음 속에 있는 모든 번뇌와 삿된 마음을 부처님께 의지해 감로수로 씻어냄과
동시에 부처님의 행을 받들어 수행하겠다는 자기 자신과의 약속이기도 합니다.
따라서 불자들은 관불의식을 행하면서 내 안의 자성부처님을 목욕시키듯,
자신의 번뇌와 욕심의 때를 다 씻어버리고
맑고 청정한 몸과 마음으로 비움과 나눔, 깨달음과 자비실천을 발원하는 때인 것입니다.
경전에서는 아홉 마리의 용이 물을 뿜어 태자를 씻겨주었다고 하고,
또 천녀들과 범천(梵天)이 냉수와 온수를 번갈아가며 태자를 씻어주었다고 전합니다.
이토록 상서로운 싯다르타 태자의 첫 목욕은 세속의 목욕과는 다릅니다.
우리가 일상에서 목욕할 때에도 단순히 몸만 씻는 것이 아닙니다.
번뇌 망상은 물론이요 지난날의 잘못도 씻어 낸다는 마음으로 합니다.
그러나 목욕과 관욕은 근본적으로 다른 점이 있습니다.
목욕은 누구든지 스스로 할 수 있지만,
관욕이나 관정 등은 결코 스스로 행하거나 자의적으로 할 수 없습니다.
단(壇) 위에 오르는 것은 그만한 자격을 갖추어야만 가능한 일입니다.
그 자격을 갖추었을 때, 비로소 스승과 천신과 세상 만물이 함께 축복하는 잔치를 벌입니다.
그리고 그 증표로서 향수를 머리에 부어 만천하에 알리는 것이 바로 관정입니다.
갓 태어난 싯다르타 태자는 씻기는 것을 목욕이 아니라 관욕이라 하는 것은
바로 위대한 성인으로 이 땅에 오셨기 때문입니다.
그렇기 때문에 천신과 용왕이 축복하고,
하늘에서 꽃비가 내리고, 땅에서는 연꽃이 피어오른 것입니다.
이는 모두 상서로운 기운의 표현입니다.
아기 부처님의 관욕과 동시에 자신의 모든 번뇌도 씻어내기를,
기필코 언젠가는 관정위(灌頂位)를 성취하여 관욕할 날이 오기를 부처님 전에 발원합시다.
[연등 및 제등행렬의 의미]
연등, 등불의 유래
불교에서 등불이란, 무명無明의 어둠을 밝히는 지혜의 광명을 말합니다.
또한 등불을 공양하는 것은, 과거 인도로부터 깨달은 자에 대한
우리의 존경과 찬사의 표시를 의미하기도 하였습니다.
『현우경賢愚經』 가운데 「등불 공양의 유래」를 알려 주는
빈자일등(貧者一燈)의 이야기를 찾아볼 수 있습니다.
부처님 재세시 사밧티 성에 문전걸식을 하는 한 여인이 있었다.
부처님께서 그 성을 방문하시던 날, 온 성안은 부처님을 맞이할 연등회 준비로 바빴다.
이 여인도 등불을 켜 부처님께서 오시는 길목을 밝히고 싶었으나 아무 것도 가진 것이 없었다.
여인은 지나가는 사람에게 동전 두 잎을 빌어 기름을 샀다.
그리고 부처님께서 지나실 길목에 등을 밝히고 홀로 기원하기를,
"이제 부처님을 만나게 되니 참으로 복된 일입니다.
부처님 저는 가난하여 아무것도 공양할 것이 없습니다.
보잘 것 없는 등불 하나를 밝히오니,
이 공덕으로 저도 오는 세상에 부처가 되어지이다" 하였다.
밤이 깊어 다른 등불은 모두 꺼져버렸으나, 이 여인의 등불만은 환히 빛나고 있었다.
등불이 모두 꺼지기 전에는 부처님께서 잠들지 않을 거라 생각한 시자 아난다는
그 여인의 등불을 끄려 했으나 좀처럼 꺼지지 않았다.
그때 부처님께서 말씀하셨다.
“아난다야, 부질없이 애쓰지 말아라.
그것은 가난하지만 마음 착한 여인이 큰 서원과 정성으로 켠 등불이니,
결코 꺼지지 않으리라.
그 등불의 공덕으로 그 여인은 미래세에 필경 부처가 되어질 것이다.”
이렇듯 부처님께 등을 바치는 것을 「연등공양」이라 합니다.
『화엄경』에 "믿음을 심지삼고, 자비를 기름으로 삼으며
생각을 그릇으로 하고 공덕을 빛으로 하여 삼독(탐내고, 성내고, 어리석음)을 없앤다"고 말씀하셨고,
『대열반경』에는 "중생은 번뇌의 어두움 때문에 지혜를 잃는데 비해,
여래는 방편으로 지혜의 등을 켜니 모든 중생을 열반에 들게 한다."고 하셨습니다.
[등불을 밝히는 마음가짐 ]
첫째, 부처님께서 오신 성탄절을 진심으로 봉축하며 불은에 감사 드립니다.
둘째, 부처님의 진리의 빛에 귀의하고 정진하겠습니다.
셋째, 부처님의 밝은 해탈세계에 이르고자 중생의 어두운 무명번뇌를 맑히게 습니다.
넷째, 중생의 삼독심을 녹여 부처님 지혜 광명을 얻도록 노력 하겠습니다.
다섯째, 등불이 주위의 어두움을 밝히듯 사회와 이웃에게 이익되는 사람이 되겠습니다.
여섯째, 바르고 큰 원력을 세워서 부처님 큰 가피를 내리시길 기원 드립니다.
[제등행렬의 의의]
부처님 오신날 지혜의 등불을 켜던 옛 풍속을 오늘에 되살리고,
사회의 어두움을 부처님 진리로 밝히려는 숭고한 의미를 선포하여
전 국민적인 축제로 자리매김 하는데 그 뜻이 있으며,
지난 일년간 정진해온 내적 신심을 표현하고
불자들의 정성과 화합의 원력을 널리 펴
지혜의 등불이 세상에 꽃필 수 있도록 하는데 그 의의가 있습니다.
모든 불교도는 이 거룩한 제등행렬 법회에 동참하여
석가모니불 정근을 높이 합송하며,
행렬 가운데의 모든 등불의 빛이, 자기자신의 내면 속으로 응집되어
그것이 불타의 자비광명 자체가 될 수 있도록 기도하는 자세로 임해야 겠습니다.
[관불진언]
욕불(浴佛) -합장-
부처님께서 2600여 년 전
인도 가비라국에 탄생하실 때
아홉 마리의 용이 물을 뿜어 아기 부처님을 목욕시키니,
모든 부처님과 보살님들도 또한 그와 같아서
저희들이 이제 삼가 청정향수로써
오늘 모신 아기 부처님께 관욕의식을 올립니다.
목욕진언(沐浴眞言) -요령-
거룩하온 금색신을 관욕하오니
바른 지혜 공덕장엄 모두 이루어
모든 중생 모든 허공 맑아지옵고
위 없는 정법신을 이뤄지이다.
나무 사만다 못다남 옴 아아나 삼마삼마 사바하(3번)
시수진언(施水眞言) -요령-
제가 이제 길상수로 삼업 기울여
빛나옵신 여래정에 부으옵니다.
바라노니 모든 중생 번뇌 다하여
모두 함께 법왕위를 이어지이다.
옴 도니도니 가도니 사바하(3번)
여래강생시(如來降生時)
구룡토수(九龍吐水)
목욕전신(沐浴全身)
관욕금신(灌浴金身)
아금관욕동자불(我今灌浴童子佛)
정지공덕장엄취(正智功德莊嚴聚)
오탁중생명이구(五濁衆生命離垢)
당증여래정법신(當證如來淨法身)
여래께서 태어나실 때
아홉 용이 물을 뿌려 금신을 목욕시켰으므로
저희들도 이 맑고 깨끗한 물로
금신을 목욕시켜 드립니다.
제가 이제 동자불을 목욕시키오니
바른 지혜 공덕을 모아
오탁 중생들은 더러운 때를 씻고
여래의 깨끗한 법신을 증득케 하옵소서.
『욕상공덕경浴像功德經』
모셔온 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