앉아서 봉창 두드리는 소리
중국에 계현스님 제자 가운데 신찬이라는 상좌가 있었는데,
신찬스님은 그 당시 선객으로 유명한 백장선사에게 찾아가 정진한 뒤 마음을 깨닫고 은사에게로 돌아갔습니다.
상좌를 보자 은사인 계현스님이 묻기를 "너는 나를 떠나 밖으로 나가서 무엇을 하다가 돌아왔느냐?"
"별로 한 일이 없습니다."
하루는 스님이 목욕을 하는데 신찬스님이 등을 밀어드리고 있었습니다.
한참 등을 밀다가 상좌가 혼잣말처럼 하였습니다.
"법당은 참으로 좋은데 부처가 영험이 없구나!"
은사스님의 육체를 법당에 비유한 것이고, 은사스님의 마음을 부처에 비유한 것입니다.
몸뚱이는 그럴듯한데 마음이 형편없다는 말이지요.
은사스님이 눈치를 채고 괘씸하다는 생각으로 휙 돌아보았더니 이번에는 다시
"부처가 비록 영험은 없다만 능히 방광은 하는구나"라고 하였습니다.
스님의 마음은 신통치 않은데 눈빛만은 그럴듯하다고 비꼬는 말이지요.
그런 일이 있은 뒤 어느 날, 은사스님이 방안에서 창문 아래 앉아 경을 열심히 읽고 있는데
마침 벌 한 마리가 날아 들어 왔다가 밖으로 나가려고 애를 쓰고 있었습니다.
열려진 문이 있는데도 그걸 모르고 닫힌 창문의 창호지에 수없이 몸을 부딛쳐 탈출을 시도하고 있었습니다.
그 모습을 본 신찬스님이 이런 시를 읊었습니다.
"열린 문을 놔두고 창문에 부딛치니 어리석구나!
백년 묵은 종이를 뚫으려 한들 어느 세월에 탈출하리오!"
열린 창문이란 벌이 빠져나갈 수 있는 열린 문이 아니라 부처님의 가르침을 말하는 것이며,
'묵은 종이'란 창문에 붙어 있는 종이가 아니라 은사스님이 들여다보고 있는 경전을 빗댄 것입니다.
은사스님이 창문 아래서 경전을 들여다보느라 씨름하는 모습이 안타까워 벌을 빗대 스님을 경책한 것입니다.
이 말을 들은 은사스님은 신찬스님에게 다그쳐 물었는데,
그때서야 신찬 스님은 그동안 백장스님문하에서 공부하고 돌아왔노라고 말을 했습니다.
그러자 은사스님은 대중에게 이를 알려 법상을 차리게하고, 제자를 법상으로 모셔 법문을 하도록 했습니다.
신찬스님은 사양하지 않고 법상에 올라 법문을 하셨습니다.
"신령한 광명이 홀로 우뚝 빛나서 모든 티끌을 벗어났으며
본체가 그대로 드러나 있어 문자에 구애받지 않는다.
마음의 본성품은 더러움이 없어서 스스로 원만하게 이루어져 있으니
망상만 여의면 곧 그대로가 부처님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