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범여(梵如)의 世上사는 이야기
기맥,지맥의 지도

소양(도솔)지맥(兜率枝脈)의 개념도와 지도

by 범여(梵如) 2012. 11. 19.

 

소양(도솔)지맥(兜率枝脈)은 백두대간이 금강산 비로봉(1639m)에서 남진하여 20.4km를 내려와 매자봉(1144m)에서 

우측으로 한줄기를 떨구고, 좌측으로 크게휘어 동해안쪽으로 내달리며 무산(1319.7m)을 지나고, 남한땅으로

넘어와 향로봉(1287.4m)을 일구고 설악산에 이른다.

 

매자봉(1144m)에서 우측으로 가지친 한줄기는 남진하며 매봉(1290.6m),가칠봉(1242.2m),대우산(1178.5m),도솔산(1147.8m),대암산(-1.3km.1304m)등 1000m이상의 산들을 일구고 봉화산(874.9m)에 이르러 서쪽으로 방향을

틀어 사명산(1198.6m),죽엽산(859.2m),부용산(882m),오봉산(779m)을 일구고 다시 방향을 남쪽으로 바꿔

수리봉(656m)을 올린후 소양강이 북한강에 합류하는 우두산(133m)에서   끝나는 도상거리 약 124.1km의 산줄기다.

산줄기 서쪽으로 흐르는 물은 북한강본류로 들고 동쪽으로 흐르는물은 소양강으로 흘러들고 북한강본류에 합류한다.

신산경표상의 도솔지맥은 수계를 기준으로 하는 대한산경표에서는 소양강의 우측 산줄기라 하여 소양지맥이라 부른다

 

신산경표상의 도솔지맥(兜率枝脈)의 명칭은 도솔산(1147.8m)에서 따온듯 싶은데 분기봉도 아니고 산줄기중 최고봉도

아니어서  좀 어패가 있긴 하지만,일부에선 소양북기맥으로 표기하고 있기는 하나 이미 도솔지맥이라는 명칭으로  

일반인에게 친숙하게  굳어져 있는 상태이니 도솔(兜率)이라는 명칭을 그대로 사용하는것이 좋겠다는 생각이 든다.

아마도 일반인이 갈 수 있는 실질적인 시작점인 산이라서 도솔(兜率)이라는 명칭을 붙였는듯싶다.


 높이로 따지면 대암산(1304m. 1.3km나 떨어져있다),가칠봉(1242.2m),사명산(1198.6m)이 있고 ,최초 분기점도

아니지만, 매자봉(1144m)부터 우두산(133m)까지의 거리는 도상거리 124.1km가 되나 돌산령 북족의 36km는  

갈 수 없으니  실 산행거리는 88.1km가 된다.


도솔산(1147.8m), 대암산(-1.3km.1304m), 봉화산(874.9m), 사명산(1198.6m), 죽엽산(859.2m), 부용산(882m),

오봉산(779m), 수리봉(656m), 우두산(133m)을 지나고 양구군,인제군,화천군,춘천시등 4개 시군을 지난다.

 

총도상 거리

매자봉[1144m/0.0/0.0](서화)회전령[10.7/10.7](195/서화)구례산[1352m/6.8/17.5](168/서화)

매봉(1290.3m/4.1/21.6](220/서화)가칠봉[1242.2m/5.6/27.2](152/서화)대우산[1178.5m/5.4/32.6](194/서화)도솔산[1147.8m/3.9/36.5](195/임당)대암산[1304.0m/4.2/40.7](133/임당)광치령[9.6/50.3](210/임당)두무동고개[10.4/60.7](193/용하) 봉화산[874.9m/8.0/68.7](234/용하)갈탄리고개[7.9/76.6](310/양구)사명산[1198.6m/6.0/82.6](273/양구)죽엽산[859.2m/8.3/90.9](239/간동)추곡령[2.6/93.5](188/간동)부용산[882m/5.7/99.2](213/신북)오봉산[779m/2.5/101.7](270/신북)배후령[1.6/103.3](240/신북)수리봉[656m/7.6/110.9](238/신북)우두산[133m/10.8/121.7](193/춘천)소양강()[2.4/124.1](200/춘천) 

 

종주에 필요한 지도

1/25000. 임당.용하.양구.간동.신북.춘천.6.
1/50000. 인제.양구.내평.춘천.4.

 

 

 

소양(도솔)지맥 개념도

 

 

 

 

소양(도솔)지맥 지도(1)

 

 

 

 

소양(도솔)지맥 지도(2)

 

 

 

 

소양(백덕)지맥 지도(3)

 

 

 

 

 

 

 

 

 

 

 

 

 

 

 

소양(도솔)지맥 지도(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