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佛 敎 ♣/불교 공부180 불교 계율(戒律) ...(9) 출가 비구 250계 1 . 4바라니법 : 극악(極惡) 단두(斷頭) 불공주(不共住) 1) 음행하지 말라. 2) 도적질하지 말라. 3) 사람을 죽이지 말라. 4) 큰 거짓말을 하지 말라. 2 . 13승가바시사죄: 승잔(僧殘) 5) 고의로 농음하여 실정하지 말라. 6) 성욕의 뜻으로 여인의 살결을 만지지 말라. 7) 여인과 더불어 성욕에 대한 말을 하지 말라. 8) 여인에게 자신의 수행을 찬 하여 정조를 요구하지 말라. 9) 중매하지 말라. 10) 시주가 없이 집을 짓되 대중의 지시를 받지 않고, 제멋대로 한정에 지나치게 하여 짓지 말라. 11) 시주가 있어 집을 짓되 대중의 지시를 받지 않고 제멋대로 짖지말라 . 12) 개인의 감정으로 근거 없이 바라밀을 범했다고 모함하지 말라 . 13) 개인의 감정으로 다.. 2019. 9. 29. 불교 계율(戒律) ...(8) 오계(五戒) 불자가 지켜야 할 다섯 가지 계율(戒律)을 말한다. 설사 수계(受戒)를 받고도 계율을 완전히 지키지 못한다 할 지라도 수계를 받지 않은 평신도보다는 훨씬 그 공덕이 많다. 왜냐하면 그 사람은 불교에서 신앙 대상인 삼보(三寶)에 귀의하였기 때문이다. 첫째, 불살생(不殺生 ; 생명의 존엄성을 가질 것) 둘째, 불투도(不偸盜 ; 자비를 베풀 것) 셋째, 불음행(不淫行 ; 부정한 음행을 하지 말 것) 넷째, 불망어(不妄語 ; 진실을 말할 것) 다섯째, 불음주(不飮酒 ; 선정을 잃지 말 것) 불자는 불ㆍ법ㆍ승 삼보에 대한 믿음과 불자로서의 계율을 지키는 동시에 다른 사람으로 하여금 신심을 가지고 계율을 지키도록 권해야 할 것이다. 사미계(沙彌戒) 사미(沙彌)는 범어(梵語)로 우리말로는 '쉬고 자비한다.. 2019. 1. 9. 불교 계율(戒律) ...(7) ◈ 보살계본 : 48가지 가벼운 계율 1부◈ 부처님께서 말씀하셨다. "이미 열 가지 바라제목차를 말하였으니, 이제는 마흔 여덟 가지 가벼운 계(48輕戒)를 설하리라. 1. 스승과 벗을 공경하라. ▣ 불자들아, 너희가 왕위를 받을 때나, 전륜왕의 자리를 받을 때나, 벼슬자리에 나아갈 때는 먼저 보살계를 받아야 한다. 그러면 온갖 귀신들은 임금의 몸과 벼슬아치의 몸을 수호할 것이며, 부처님들도 기뻐할 것이니라. 계를 받으면 효순하는 마음과 공경하는 마음으로 상좌와 화상과 아사리와 큰 스님네와 함께 공부하는 이와 지견이 같은 이와 수행이 같은 이를 보면 일어서서 맞고 예배하고 문안을 사뢰어야 한다. 만약 보살이 도리어 교만한 마음과 게으른 마음과 어리석고 성내는 마음으로 일어서서 맞지 아니하고, 예배하지 아니.. 2018. 7. 22. 불교 계율(戒律) ...6 범망경(梵網經) 보살계본(菩薩戒本) 석존당시의 인도 사상계는 많은 사상들이 난립되어 있었다. 불교에서는 이를 62견(見)이라 하기도 하고 또는 당시 바라문교 이외의 새로운 사상의 대표적인 것만을 추려서 6사외도(六師外道)라 부르기도 한다. 불교경전 중 이러한 비 불교적인 사상을 언급한 것으로 「사문과경(沙門果經)」과 「범망경(梵網經)」이 있다. 「사문과경」이 6사외도를 소개한데 비해 이 경은 외도의 62견을 설명한 것이 그 특징이라 할 수 있다. 팔리어로 적힌 남방상좌부의 「5니카야」의 장부(長部) 제1경인 Brahmajalasutta가 바로 이것인데, 한역으로는 「장아함(長阿含)」의 제14경인 「범동경(梵動經)」과 지겸(支謙)이 223~253년에 한역한 「범망62견경(梵網62見經)」이 이에 해당된다. .. 2018. 4. 8. 불교 계율(戒律) ...5 1. 큰 스님 공경하는 법 敬大沙門第一 不得喚大沙門字,不得盜聽大沙門說戒, 不得轉行說大沙門過,不得坐見大沙門過不起, 除讀經時,病時,剃髮時,飯時,作衆事時,行護 云五夏以上,卽 黎位,十夏以上,卽和尙位,雖 比丘事, 沙彌當預知之, 큰 스님의 이름을 부르지 못한다. 큰 스님께서 계율말씀하는 것을 엿듣지 못한다. 돌아다니면서 큰 스님 허물을 말하지 못한다. 앉아서 큰 스님 지나가는 것을 보고 일어나지 않으면 못쓴다. 경 읽을 때, 병났을 때, 머리 깎을 때, 밥먹을 때, 운력할때는 일어나지 않아도 좋다. 행호(行護)에 말하기를 5하가 넘는 이는 곧 아사리(敎授)가 되고 10하가 넘는 이는 곧 화상(和尙=親敎師)이 된다 하였으니 이것이 비구의 일이지만 사미도 미리 알아야 한다. 2. 스님 시봉하는 법 事師第二 當早起,欲入.. 2017. 9. 25. 불교 계율(戒律) ...(4) 수계(受戒) 계를 받아야 ‘진정한 불자’ “꼭 실천하겠다” 자세 중요 『화엄경』에 이르기를 “계는 무상보리의 근본이다”(대정9. 433중)고 하였다. 불교의 근본정신이 계율에 있음을 이르는 말이겠다. 따라서 불문에 들려는 사람은 출가자든 재가자든 수계 즉 계를 받야만 한다. 계를 받지 않았다면 스스로 ‘부처님을 믿는다’ ‘부처님의 가르침을 배운다’고 말하더라도 진정한 불자가 아니다. 그러므로 계를 받는 의식은 불교의 모든 의식 중에서 가장 기본이 되며, 교단을 형성하는 근거가 된다. 이 수계라는 절차를 통하여 정식의 신자와 승려가 배출될 수 있기 때문이다. 수계는 입문의 필수적인 요소이다. 불교의 교단은 계율에 의해 불자로서의 신분과 등급에 차이가 있게 된다. 이것을 정리를 해 보면 다음과 같다. 가. .. 2016. 8. 19. 불교 계율(戒律)...(3) 수계법회 ○. 타종 (5회) 一. 개회선언 二. 헌공 ·인례사 : 지금 이 시간은 우리 모두 부처님께 공양을 올리는 시간입니다. 다같이 지극한 마음으로 헌공에 동참하시기를 바라 며 ○○○법우와 ○○○법우가 우리 모두를 대신하여 공양을 올 리겠습니다. 三. 반야심경 봉독 四. 찬불가 (부처님께 바칩니다) 五. 삼보를 찬탄함 (인례사가 목탁을 한 번 내리고 낭독한다) . ·인례사 : 이 마음 불성이 신령스럽고 밝아 고요히 비추니 참 되고 향상하여라. 삼보님께 귀의하여 이 몸 바치고 오계를 받아 삶의 기틀 삼으리. 한조각 마음의 향을 사루어 진리 가운데 왕이신 삼보님께 이제 저희들 돌아가 절하옵니다.(반배) (인례사가 선창하면 수계자는 따라서 한다) 일심정례 진시방삼세 일체제불 (목탁 큰절) 일심정례 진시방삼.. 2016. 5. 6. 불교 계율(戒律) ...(2) 나. 대승에 있어서의 계의 분류 보살이 수행하는 육바라밀(六波羅密)의 하나가 되어 보다 적극적인 수행덕목으로 발전되었으며, 일체의 계를 '삼취정계(三聚淨戒)'로 구분하였다. * 삼취정계(三聚淨戒) ㈎ 섭율의계(攝律義戒) … 계율을 지킴으로써 자신을 청정하게 하는 것이다. 곧, 5계·10계·250계 등 일정하게 제정된 여러 규율위의(規律威義) 등을 통한 윤리기준이다. ㈏ 섭선법계(攝善法戒) … 금계(禁戒)로써 만족하지 않고 봉사정신으로 이타(利他)적인 선행을 닦아 가는 것이다. 곧, 선한 것이라면 무엇이든지 총섭(總攝)하는 선량한 마음을 기준으로 하는 윤리원칙이다. ㈐ 섭중생계(攝衆生戒) … 궁극적으로 중생을 보살로, 그리고 부처로 성취시켜 불국토를 실현하는 것이다. 곧, 일체의 중생을 제도한다는 대원칙에.. 2016. 4. 29. 불교 계율(戒律) ...(1) 불교 계율(戒律) 최초로 부처께서 정각(正覺)을 이루신 후, 모든 인류에게 그 깨달음을 전하시고자 결심하시고 녹야원[鹿野苑, M gad ya]에서 5명의 귀의자를 얻고서야 비로소 부처님을 위로하여 교단 즉 승가[僧伽, Sa gha]가 성립되었다. 그 후 여러 곳으로 유행설법(遊行說法)하여 제자의 수는 헤아릴 수 없이 늘어나 샤리푸트라[ riputra, 舍利弗]·마우드갈랴야나[Maudgaly yana, 目 蓮] 등이 출가할 즈음에는 1,250명 이상이 되었다. 이렇게 하여 45년여 동안 설법하는 동안 더 많은 제자들의 귀의가 있었고, 지역적으로도 넓은 범위를 차지하였으며, 부처님의 입멸(入滅) 후에도 불교교단은 날로 증대하여 갔다. 원래 불교가 부처님께서 누누이 강조하신 것처럼 스스로를 등불로 삼아[자등명.. 2015. 11. 2. 이전 1 2 3 4 ··· 2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