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佛 敎 ♣/불교 공부180 불교의 이해와 신행 - (2) 제 2장 불교의 세계관 1. 세계관의 의미 21세기 현대는 정상적인 상식이 통용되지 않는 사회다. 평범한 상식을 지키지 않음으로 인하여 문제가 더욱 악화되 는 현상이 일상화되고 있다. 최근에 겪었던 일을 갖고 생각해 보면, 지난번 미국에서 있었던 ‘9.11테러’에 대한 ‘부시’의 대응은 몰상식의 전형이라고 볼 수 있다. 일방적인 테러전쟁을 동조하고 나선 선진국들의 행태도 상식이 없기 는 매한가지다. 적어도 부시가 일말의 양심과 상식이 있었다면 제일 먼저 해야 할 일은 테러의 원인을 찾는 일이어야 했다. 선진국들도 원인을 찾아 바로 잡아가도록 제안하고, 촉구하고, 협조하는 상식적인 길을 갔어야 마땅했다. 만일 ‘부시’가 테러의 원인을 찾아 바로 잡으려는 상식을 지켰다면 결코 전쟁으로 나가지는 않았을 것이다.. 2014. 2. 27. 불교의 이해와 신행 - (1) 불교의 이해와 신행 제1부 부처님과 세계관 제1 장 지혜와 자비의 부처님 1. 부처님 생애의 의미 불교를 처음으로 창시하신 분은 석가모니 부처님이시다. 그 분은 역사상 실제 인물로 우리 인간 세계에 오셨다. 그러므로 석가모니 부처님의 생애에 대한 공부는 불교 교리의 시작이며 마음공부의 기준이라 할 수 있다. 석가모니 부처님의 전기에 관한 기록을 불타전(佛陀傳) 혹은 불전(佛傳)이라고 하는데, 크게 본생담과 비유담으로 나눌 수있다. 본생담은 자타카로 널리 알려져 있으며 석가모니 부처님의 전생에 관한 우화나 설화를 말한다. 그리고 비유담은 석가모니 부처님 이전의 여러 부처님들과 보살들에 관한 이야기들을 말한다. 이러한 불타전에서 공통적으로 중요하게 다루는 것이 룸비니 동산에서의 탄생, 붓다가야에서의 깨달음,.. 2014. 2. 17. 진언수행 진언수행 1.진언의 의미 진언(眞言)이란 글자 그대로 진실한 말이란 뜻이다. 말이란 사람들의 생각과 감정을 전달하는 수단이다. 그런데 진언이란 이런 개념을 떠난 언어, 즉 중생의 언어가 아닌 부처의 참된 경지를 나타내는 말이다. 그런 의미에서 말이라기 보다는 소리라고 하는 것이 더 적절할 지도 모르겠다. 범어로는 만트라라고 하는데 찬가 또는 비밀한 말(密言)이란 뜻으로 번역하여 진언, 주문, 주(呪). 신주(神呪), 밀주(密呪), 명주(明呪)라고 한다. 만트라와 비슷한 말로 다라니가 있는데 작지, 총지, 능지, 능차 등의 뜻이다. 능히 무량무변한 이치를 섭수해 지니어 잃지 않는 념혜(念慧)의 힘을 일컫는다. 선법을 모두 지녀서 산실되지 않게 하므로 능지라하며, 악법을 막아서 일어나지 않게 하므로 능차이다.. 2014. 2. 3. 간경(看經)수행 간경(看經)수행 간경(看經)은 경전을 읽고 듣고 옮겨쓰는 등 여러 가지 방법으로 부처님의 가르침을 두루 익힘으로써, 수행자로 하여금 마음에서 허물이 생기는 것을 막아줄 뿐 아니라 사람들을 바른 길로 인도하는 수행법이다. 즉, 간경은 경전을 통해 불법을 공부하는 것으로, 생각으로만 부처님의 말씀을 익히는 것이 아니라 생활을 통해 그 말씀이 몸과 마음에 배도록 하는 수행인 것이다. 따라서 간경수행자는 진리를 익혀, 안으로는 끊임없이 마음을 향하고 밖으로는 끊임없이 행실을 가다듬도록 해야 한다. 이에 선가구감에서는 "경을 보면서 마음 속을 향해 공부하지 않는다면, 만 권의 글을 모두 보아도 아무런 이익이 없다."고 하였다. 그러나 경을 보면서 마음으로 살피지 않는다면 어디 이익이 없는 데만 그치겠는가? 필경 .. 2014. 1. 16. 독경(讀經)수행 독경(讀經)수행 독경은 부처님의 가르침에 깊은 믿음을 내고 감사하고 환희하는 마음으로 목소리를 내어 일심으로 불경을 외우거나 읽는 것을 말한다. 또한 독경은 법문을 굴린다는 뜻으로 전경(轉經)이라고도 한다. 경전은 부처님의 가르침을 기록한 것으로써 불교에서는 보통 법보(法寶)라 하며 부처님과 같이 신앙의 대상으로 받들고 있는 것이다. 그러므로 우리 불자는 독경을 통하여 부처님의 교훈을 항상 되새기며 부처님께서 가르치신 바를 받들어 지키고 수행을 쌓아 생활에 밝은 지혜를 얻어 마침내 모든 괴로움에서 벗어나 성불할 수 있는 길이 열리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불자가 경전을 읽고 외우는 것은 일상 생활을 통하여 마땅히 해야 할 것 중에 하나다. 믿음의 마음과 정성스럽고 경건한 마음으로 항상 부처님의 가르침을 읽.. 2014. 1. 3. 사경(寫經)수행 사경(寫經)수행 사경(寫經)은 부처님의 경전을 베껴쓰는 것으로 유래가 매우 깊은 수행법이다. 거의 모든 경전을 통해서 써서 지니고 외우는 '서사수지독송(書寫受持讀誦)'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있는 것만 보아도 그 근거를 찾을 수 있다. 사경은 마음을 집중해서 정갈한 종이에 경문을 한 자 한자 쓰는 일을 말한다. 수행법에서는 일자일배(一字一拜), 또는 일자삼배(一字三拜)라고 해서 한 글자를 쓰고 한번 절하거나 세번 절하는 것으로 수행을 삼기도 한다. 사경은 단순히 경문의 뜻을 전하기 위해 쓰는 것이 아니라 하나의 수행법으로 삼았기 때문이다. 사경이 수행법으로 좋은 이유는 여러가지가 있다. 경을 씀으로써 그 내용을 이해하게 되고 마음 깊이 와 닿게 되며 경을 쓰는 동안 정신되기 때문이다. 그래서 마음을 안정시키.. 2013. 12. 20. 염불수행 염불수행 1. 염불수행의 의미 1) 염불의 정의 염불에서 말하는 념이란 지킴(守)을 뜻합니다. 참 성품을 늘 드러나게 하고 끝없이 기르려면 그것을 지키어 잃어버리지 않아야 합니다. 그리고 염불에서 말하는 불이란 깨달음이라는 뜻입니다. 깨달음이란 참 마음을 밝게 비춰서, 늘 깨어 있어 어둡지 않음을 말합니다. 그러므로 한결같은 무념으로 밝고 뚜렷하게 깨닫고 이렇듯 밝고 뚜렷하게 깨달으면 온갖 생각이 끊어지니 이것을 일러 참 염불이라 합니다.(보조스님의 중에서) 염불이란 부처님의 명호를 소리내어 부르거나 상호를 관상하거나 공덕을 의념함으로써 부처를 보고 부처를 이루며 불국토에 왕생하는 수행법이다. 염불은 부처님 당시에서부터 시작하여 지금까지 행해지고 있는 수행법으로 가장 더욱 대중적으로 행해지는 수행법 중의.. 2013. 12. 7. 기도수행 기도수행 1.기도의 의미와 기능 1) 기도의 의미 기도란 원하는 것이 이루어지도록 기원하는 것이다. 보통, 자신의 힘으로 어쩔 수 없는 상황에서 어떤 위대한 힘에 의지하여 이루고자 하는 행위를 말한다. 따라서 이러한 기원행위는 원시종교 탄생의 원동력이 되었다. 즉, 자연의 막강한 위력 앞에 나약하기 짝이 없는 존재인 인간으로써는 자연에 대한 경외감을 가질 수밖에 없었고 또한 그런 자연의 흐름에 순응하며 살 수밖에 없었다. 여기에서 다양한 원시종교들이 탄생하게 된 것이다. 따라서 기도는 가장 원초적인 신앙형태를 갖는다고 볼 수 있다. 그러나 차츰 인류의 문명이 진화하면서 종교에서는 이러한 신앙의 대상에 대해 보다 합리적이고 이론적인 체계를 갖추게 되었다. 그러나 동양의 몇몇 종교는 이러한 원시신앙에서 출발.. 2013. 11. 28. 계율수행 계율수행 1. 계율수행의 의미 1) 계율의 정의 계(戒)는 범어로 sila(시라;尸羅)인데 어원 sil(명상하다 봉사하다 실행하다)에서 온 습관성, 경향, 성격 등의 의미로 선한 행위를 뜻한다. 율(律)은 범어로 vinaya(비나야;毘奈耶)인데 이끌어 간다, 없앤다, 규칙, 훈련 등의 의미로 단체의 규칙을 뜻한다. 따라서 우리가 계율이라고 말할 때는 한 단어로 쓰이지만 엄밀히 보면 계와 율은 어원과 의미가 다르다. 계는 부처님이 재자들에게 가르친 도덕규범으로 불자라면 당연히 지켜야 할 것이며, 불자가 되겠다고 할 때는 이미 스스로 그렇게 하겠다고 하는 다짐이 바탕이 되는 것이다. 그러나 차츰 제자들이 많아지고 집단생활을 함에 따라 여러 가지 규칙이 필요하게 되었다. 또한 초기에는 계를 어기는 사람이 없었.. 2013. 11. 11. 이전 1 2 3 4 5 6 7 ··· 2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