山經表74 대동여지도는 어떤 지도인가? 글·양보경 성신여자대학교 지리학과 교수 ‘국토의 모습을 국민도 알아야 한다’는 사상의 표현 역사, 지리정보 고스란히 담은 한국학의 보고 대동여지도는 우리나라 고지도, 나아가 우리나라 지리학의 대명사로 인정받는 고전이다. 대동여지도는 현재 국내외에 30여 종이 남아 있다. 이 가운데 성신여대박물관, 서울역사박물관, 서울대학교 규장각한국학연구원 소장본이 보물로 지정되어 있다. 대동여지도가 우리나라 역사상 가장 훌륭한 고지도라는 사실을 모르는 사람은 없다. 그러나 대동여지도에 관해 잘못 알려진 사실도 많다. 우리나라에서 가장 오래된 지도, 가장 자세하고 가장 큰 지도, 국가의 무관심 속에 김정호 개인의 힘으로 만든 지도, 그 이전에는 훌륭한 지도가 없었던 획기적인 지도, 김정호가 전국을 답사하며 백두산을 일곱.. 2018. 10. 25. 낙남정맥의 재발견 신 낙남정맥] 낙남정맥의 재발견 백두대간을 척추 삼아 힘차게 뻗어나가는 한반도 산줄기의 끝은 어디인가? 우리나라의 산줄기를 '족보'로 엮어 펴냈다는 여암 신경준의 산경표에 따르면 한국의 산줄기는 백두대간을 주축으로 여기서 가지 쳐 나간 12개의 정맥과 2개의 정간으로 이뤄져 있다. 낙남정맥은 지리산 영산봉에서 시작해 섬진강과 낙동강 수계를 가르며 낙동강 하구에 이르는 560리 산줄기 국토의 최남단을 떠받치는 주춧돌이다 이 때문에 낙남정맥의 끝을 규정하는 것은 백두산에서 발원한 한반도의 산줄기가 국토를 동서로 양분하며 남으로 내달려 어느 지점에서 그 끝을 맺는가를 확정 짓는 문제라 할 수 있다 낙동강변 '김해 매리' 종점설 의문 제기 10년 만에 새 낙남꼬리 인기 산경표에서 낙남정맥을 기술한 부분을 보면 .. 2017. 3. 29. 산경표와 산맥 -광주산맥의 실체를 중심으로...... 고토 분지로 (小藤 文次郞)...... 이 글을 쓰면서 필자는 안타까운 우리나라 지리교육의 한 단면에 대해서 측은한 마음을 지울 수 없다. 왜 우리가 일본의 지질학자 즉 지리학자도 아닌 지질학자의 한 논문, 그것도 침략국의 지질학자의 논문 속에 기술된 몇 가지 용어와 그 성과에 목을 매야만 하느냐는 것이다. 학문에 대한 연구의 성과는 그 자체만을 순수하게 보아야지 거기에 어떤 상(想)을 개입시키지 말아라? 하지만 한 나라 그것도 일제(日帝)의 지질학자인 고토 분지로가 쓴 논문에 터잡아 그들의 구미에 맞게 만든 산맥이라는 용어를 금과옥조로 여기는 행태에 대해서 피해국의 국민 입장에서 한 말씀 거들 자격은 있지 않을까? 그런 심경에서 이 글을 쓰게 되었다. 근대지리학이라는 미명-사실은 지질학이겠지만- 속에 .. 2017. 2. 10. 백두대간과 태백산맥은 어떻게 다른가 ? 백두대간과 태백산맥은 어떻게 다른가 ? 한마디로 이야기하면 백두대간은 지리상의 인식을 바탕으로 눈에 보이는 것을 그대로 표현한 것이고, 태백산맥은 지질상의 지식을 바탕으로 보이지 않는 땅 속의 지질구조선을 눈에 보이는 것처럼 표현한 것이다. 따라서 백두대간으로 요약되는 전통적인 지리 개념(산경도)과 고토 분지로의 「조선 산악론」에서 비롯된 산맥개념(태백산맥으로 대표, 현재의 지리 교과서)은 다음과 같은 뚜렷한 차이점을 보인다. * 백두대간(산경도 ) 1) 땅 위에 실제로 존재하는 산과 강에 그렸다. 2) 산경은 산에서 산으로만 이어지고 3) 실제 지형과 일치하는, 지리학적으로 자연스러운 선이다. * 태백산맥(산맥도) 1) 땅속의 지질구조를 기준으로 그렸다. 2) 산맥은 강에 의해 여러 차례 끊기고 3) .. 2017. 1. 21. 신산경표>의 우리나라의 산줄기 간략 개념도 현대적으로 우리 산줄기를 계승한 분석 ▲ 의 우리나라의 산줄기 간략 개념도. 산경표는 산자분수령(山自分水嶺)이라는 대원칙을 기본으로 한다. ‘산은 물을 넘지 못하고 물은 산을 건너지 않는다’는 산자분수령을 제대로 이해하려면 1990년대의 산꾼들이 했던 방식을 답습할 필요가 있다. 국토지리정보원 지형도에 정맥 능선을 형광펜으로 그리며 물길을 지나지 않고 강 하구까지 능선을 연결시키는 작업이다. 이 지도를 들고 직접 발로 걸으면 머리와 몸으로 완벽히 이해할 수 있다. 한북정맥을 탈 경우, 능선 북쪽으로 발원하는 골짜기는 모두 임진강으로 흘러가고 남쪽 능선에서 발원한 골짜기는 모두 한강으로 흘러간다. 산자분수령을 바탕으로 모든 산줄기는 상위 산줄기로 연결된다. 즉 전국 어디든 동네 뒷산에서 종주를 시작해도 산.. 2016. 4. 1. [스크랩] 신산경표상의 남한의 산줄기(157지맥)요약 신산경표상 의 남한 산줄기(157지맥) 요약 번호 대간.정맥 기.지맥 지맥1 지맥2 지맥3 거리 구간 번호 대간.정맥 기.지맥 지맥1 지맥2 지맥3 거리 구간 1 백두 도솔 89 6 80 낙동 육백 47.4 3 2 백두 도솔 어은 민통선 27 81 낙동 안일 30.8 3 3 백두 도솔 성골 30.5 3 82 낙동 덕산 73.1 6 4 백두 향로 민통선 46.1 83 낙동 덕산 일월 30.9 5 5 백두 한강 기맥 164 11 84 낙동 덕산 영동 35.6 4 6 백두 한강 영월 134 13 85 낙동 금장 38.4 3 7 백두 한강 춘천 126 13 86 낙동 화림 32.7 3 8 백두 한강 영월 백덕 56.1 4 87 낙동 보현 165 14 9 백두 한강 영월 백운 46.9 5 88 낙동 보현 구암 5.. 2015. 11. 27. 1대간 9정맥 9기맥 개념도 ==1 대간 9정맥 9기맥 개념도== ♣ 1대간 9정맥 9기맥 지맥이란 ♣ 산맥은 물을 만나면 끊어집니다. ♣ 1 대간 이란 ♣ 백두대간(지리산에서 백두산까지)의 남쪽에는 지리산~설악산지나 휴전선인 향로봉에서 끝남. 약 720km 로 한반도 등줄기 뼈라고 할까요? ♣ 9 정맥이란 ♣ 백두대간에서 갈라진 갈비뼈에 비교하시면 됩니다 한강중심 북쪽/남쪽으로-- 한북정맥.한남정맥 금강중심으로-- 금북정맥.금남정맥.한남금북정맥 섬진강중심으로--금남호남정맥.호남정맥 낙동강중심으로-낙동정맥.낙남정맥 임진북 예성남정맥 (개연산 ~ 풍덕치) 한북정맥 (수피령 ~ 장명산 174.7 km) 한남금북정맥 (속리산 ~ 칠장산 152km) 한남정맥 (칠현산 ~ 문수산 176.3 km) 금북정맥 (칠현산 ~ 안홍진 279 km) .. 2015. 1. 16. 산(山)과 봉(峰), 그리고 대(臺)는 어떻게 다를까? 산(山)과 봉(峰), 그리고 대(臺)는 어떻게 다를까? 우리가 산행을 하다 보면 ~산, ~봉, ~대, 라는 지명을 만납니다. 어떤 곳은 산이라고 되어 있고 또 어떤 곳은 봉이라고도 합니다. 산과 봉 그리고 대는 무엇이 다르고 어떻게 구분 지어 이름이 붙여졌는지 궁금하지 않습니까? 사전적 의미로 ‘산은 평지보다 썩 높이 솟아있는 땅덩이’로 되어있고 봉은 산 또는 산봉우리의 뜻을 나타내며 대는 높고 평탄한 토지로 나와 있습니다. 우리나라 산의 여러 지명을 살펴보니 산은 주변보다 높이 솟아있는 땅덩이 전체를 아우르거나 또는 독립적으로 솟아있는 땅덩이를 표현할 때 사용되어 집니다. 그리고 봉은 솟아있는 땅덩이 전체 중에서도 하나하나 솟아오른 봉우리에 붙여진 이름입니다. 대도 봉과 유사한 지형에 붙여지기도 하지만.. 2013. 12. 14. 산경표와 신산경표는 무엇이 다른가? 박성태씨가 지은"신산경표"라는 책이 나온 지도 벌써 여러해가 지났다. '산경표'(신경준의 글을 바탕으로 누군가 만든 책)를 수정보완해서 만든 책이다. 대간이니 정맥이니 하면서 우리나라의 산줄기를 종주하는 이들이 대체로 동의하고 따르는 책이다. 실로 엄청난 땀과 열정의 산물이라는 생각이 든다. 산경표와 기본정신과 틀은 같으나, 원칙을 정해서 부분적으로 수정을 하여 체계적으로 정리한 것이라 생각된다. 산경표의 1대간 1정간 13개정맥(원래는 1대간 2정간:장백정간,낙남정간, 그리고 12정맥)을 이 책은 1대간 12개정맥과 13개 기맥(남한 6개)으로 재구성했다. 정간을 없애고 기맥, 지맥을 새로이 추가했다 정간(장백정간과 낙남정간)은 대간의 연장인데 그대로 두는 게 어떨지? 그리고 기맥과 지맥은 일반인들이 .. 2013. 9. 7. 이전 1 2 3 4 ··· 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