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범여(梵如)의 世上사는 이야기
山經表

1대간 9정맥 9기맥 개념도

by 범여(梵如) 2015. 1. 16.

==1

대간 9정맥 9기맥 개념도==

 

이미지를 클릭하면 원본을 보실 수 있습니다.

이미지를 클릭하면 원본을 보실 수 있습니다.

 

 

1대간 9정맥 9기맥 지맥이란

산맥은 물을 만나면 끊어집니다.

 

1 대간 이란

백두대간(지리산에서 백두산까지)의 남쪽에는 지리산~설악산지나 휴전선인 향로봉에서 끝남.

약 720km 로 한반도 등줄기 뼈라고 할까요?

 

 

9 정맥이란

백두대간에서 갈라진 갈비뼈에 비교하시면 됩니다

한강중심 북쪽/남쪽으로-- 한북정맥.한남정맥

금강중심으로-- 금북정맥.금남정맥.한남금북정맥

섬진강중심으로--금남호남정맥.호남정맥

낙동강중심으로-낙동정맥.낙남정맥

임진북 예성남정맥 (개연산 ~ 풍덕치)

 

 

 

한북정맥 (수피령 ~ 장명산 174.7 km)

한남금북정맥 (속리산 ~ 칠장산 152km)

한남정맥 (칠현산 ~ 문수산 176.3 km)
금북정맥 (칠현산 ~ 안홍진 279 km)
금남호남정맥 (영취산 ~ 마이산 67.3km)

금남정맥 (주화산 ~ 금성산 128km)

호남정맥 (주화산 ~ 백운산 433km)
낙동정맥 (매봉산 ~ 몰운대 412km)
낙남정맥 (지리산 ~ 신어산 225km) 합계 2,047.3 km

9 기맥이란

강 발원지에서 시작해서 강이 끝나는 지점까지 강을 따라가는 산맥을 말합니다

한강기맥 낙동강.금강~~등

1)금남(금강)기맥 : 금남정맥 만강봉에서 군산 울명산까지 실제 금남정맥 약 104,4km

2)금북(호서)기맥 : 금북정맥 백월산에서 장항 전망산까지 금북정맥 약 69km

3)땅끝기맥 : 호남정맥 바람재(노적봉)에서 땅끝 토말탑까지 126km

4)영산(영산북)기맥 : 호남정맥 내장산 분기점에서 목포 유달산 다순금 마을까지 약150km

5)진양(남강)기맥 : 백두대간 남덕유산에서 진양호 남강댐까지 163km

6)팔공기맥 : 낙동정맥 가사령에서 청화산 상주 새패마을까지 약 160km(39km중첩)

7)한강기맥 : 북한강 남한강 수계를 가르며 오대산(두로봉)에서 양수리까지 155km, 진행중

8)한북(오두)기맥 : 한북정맥 한강봉에서 통일전망대 오두산까지 실제 한북정맥 40km

9)호미(형남)기맥 : 낙동정맥 소호령(삼강봉)에서 포항 호미곶까지 약 98km

 

 

지맥이란

정맥에서 파생되어 내려온 맥을 가리킵니다.

한북정맥을 중심으로 오두지맥(한강 오두산통일전망대까지)

수락지맥(수락방향으로 한강 아차산까지). 감악지맥.연인지맥.천마지맥....

 

- 강의 지류를 가르는 산줄기로 약100키로미터 미만의 어느 정도 세를 가진 산줄기

가섭지맥/ 덕유지맥/ 비슬지맥/ 영월지맥/ 춘천지맥/ 각호지맥/ 도봉지맥/ 비학지맥/ 영인지맥/

칠봉지맥/ 갈라지맥/ 도솔지맥/ 사자지맥/ 영축지맥/ 태청지맥/ 감악지맥/ 독조지맥/ 삼태지맥/

왕방지맥/ 통명지맥/ 갑산지맥/ 두위지맥/ 서봉지맥/ 용암지맥/ 통영지맥/ 개동지맥/ 등곡지맥/

석문지맥/ 용천지맥/ 팔공지맥/ 검단지맥/ 만뢰지맥/ 선암지맥/ 우봉지맥/ 팔봉지맥/ 경수지맥/

만월지맥/ 성수지맥/ 운달지맥/ 팔음지맥/ 계명지맥/ 명성지맥/ 성주지맥/ 운문지맥/ 향로지맥/

고흥지맥/ 명지지맥/ 성지지맥/ 유봉지맥/ 호미지맥/ 관암지맥/ 모악지맥/ 성치지맥/ 육백지맥/

화개지맥/ 구암지맥/ 무척지맥/ 수도지맥/ 자개지맥/ 화림지맥/ 금대지맥/ 문수지맥/ 수락지맥/

자구지맥/ 화악지맥/ 금오지맥/ 미륵지맥/ 숭덕지맥/ 작약지맥/ 화원지맥/ 금장지맥/ 백덕지맥/

식장지맥/ 장령지맥/ 황병지맥/ 금적지맥/ 백운지맥/ 쌍령지맥/ 장암지맥/ 황학지맥/ 기양지맥/

변산지맥/ 아구지맥/ 정수지맥/ 흑석지맥/ 남암지맥/ 병풍지맥/ 앵자지맥/ 주왕지맥/ 내연지맥/
보현지맥/ 여수지맥/ 천등지맥/ 노목지맥/ 봉수지맥/ 연비지맥/ 천마지맥/ 덕산지맥/ 부용지맥/

열왕지맥/ 청룡지맥

 

정맥(일부).기맥과 지맥은 책도 없습니다.

요즘 산꾼들이 좋아서 개척하고 만들어 나가고 있는 중입니다.

 

 

==1대간 9정맥 9기맥 ==

 

「산경표」에는 1대간(백두대간) 1정간(장백정간) 13정맥의 산줄기 이음이 있다.

13정맥은 청천강을 기준으로 한 청북정맥과 청남정맥, 한강을 에워싸는 한남과 한북정맥,

금강을 두른 금남과 금북정맥, 낙동강 좌우의 낙동과 낙남정맥, 임진강과 예성강 사이의

임진북예성남정맥과 해서정맥, 호남정맥, 한남금북정맥, 금남호남정맥 등이다.

대부분의 산줄기 이름을 강에서 따온 것은 노년기 산지의 애매한 줄기이어짐을 역으로 물흐름에서 찾았기 때문이다.

이는 대동여지도의 발문에 ‘산줄기는 분수령을 따르게 마련(山自分水嶺)’으로 명문화하고 있는 줄기가름의 대원칙이다.

 

 

 

▲ 백두대간 개념도

 

백두산에서 비롯해 지리산에 이르는 이땅의 용마루 산줄기. 여기서 장백정간과

열세정맥의 서까래산줄기가 뻗어나가 삼천리강산을 이룬다. 넓은 의미로는

이들까지 포함한 개념을 백두대간으로 볼 수 있다.

좁은 의미의 백두대간 영역은 마루금 위 산들의 발치까지다.

따라서 대간은 어느 정도의 폭을 가진다. 대간을 종주하는 사람들은 마루금만 의미하기도 한다.

주요산은 백두산, 두류산, 금강산, 설악산, 오대산, 태백산, 소백산, 속리산, 덕유산, 지리산이다.

북한은 아니지만 남한은 산다운 산을 망라했다해도 과언이 아니다. 인문지리적으로는 나라를 크게

동서로 나누는 의미가 있다.

총 길이는 1608킬로미터, 향로봉까지의 남한쪽이 도상거리로 671.5킬로미터고

향로봉부터의 북한쪽이 936.5킬로미터다.

높이는 100미터에서 2750미터까지, 남한만 치자면 1915미터까지다.

<산경표>라는 책에 근거한 이 백두대간시스템에는 그러나 몇 가지 풀어야할 문제가 있다.

첫째, 정간과 정맥의 위상 정립이다. 정간은 정맥과 차별화할 필요성이 없는데도 정맥의

상위개념인 것처럼 되어있는 바 이를 동일위상으로 끌어내려야 한다는 주장이 있다.

둘째는 열세정맥 중 둘, 한남금북과 금남호남의 겹치기정맥을 독립된 정맥으로 볼 것인가

중복부분으로 볼 것인가다. 이름은 없지만 같은 모양의 대간과 해서 및 임진북예성남정맥

사이 부분, 대간에서 청남북정맥이 갈리는 부분까지를 어떻게 대접할까도 문제다.

실용성을 위해서는 단순화로 나아가 두 정맥이 병행하는 것으로 보는 것이 어떨까.

셋째, 잘못된 산줄기 방향을 바로잡는 것이다. 정맥이름의 태반이 강에서 유래한 점에서 보듯

정맥은 강을 에워싼 산줄기다.

그래서 거의 강 하구에서 끝맺고 있는데 한북정맥과 금남 정맥은 이 원칙을 무시한다.

한북은 한강과 임진강이 만나는 오두산으로 가야할 것이 그 남쪽의 장명산으로

뻗었고 금남은 옥구로 향하지 않고 금강 중류의 부여 조룡대에서 마쳤다.

전통의 창조적 계승이 필요한 대목이다.

 

 

▲ 백두대간 종주에 필요한 지형도

 

함경도 두류산(2309m)에서 두만강 하구의 서수라곶산으로 뻗은 산줄기. 만탑산 (2205m),

궤상봉(2333m), 관모봉(2541m), 백사봉(1139m), 송진산(1146m)이 여기 있다.

지금은 관모봉으로만 알려져있는, 나라에서 두번째 가는 산 장백산에서 이름을 따왔다.

그 남쪽 이 고향인 이의 회고록을 따르면 장백산은 백산이라 불렸다고 한다.

일대는 수치로 보아 알 수 있듯이 2000미터 이상의 산이 즐비해 왜정시대에는

"조선의 알프스"라는 칭호를 들었다. 서양 본뜨기에 목을 맨 일본인들의 짓일

따름이지만 규장각도서 <여지편람>의 산경표에 낙남정간이라고 나와있는 것이다.

 

 

 


압록강 남쪽, 청천강 북쪽을 흐르는 정맥이다. 대간의 마대산(1745m)에서 시작하여

웅어수산(2017m)에서 청남정맥과 헤어지고 압록강 하구의 미곶산에서 끝난다.

 <산경표>는 낭림산(2184m)에서 비롯한다고 하는데 이는 마대산과 웅어수산

사이에 있다. 고려시대 천리장성이 쌓였던 산줄기로 대암산(1565m), 동림산(1165m),

단풍덕[산](1154m), 비래봉(1470m), 천마산(1169m), 은창산(931m), 법흥산(160m)이 주요 산이다.

단풍덕의 '덕'은 알타이어로 마운틴의 뜻이니 천산산맥의 최고봉 칸텡그리가

카자흐말로는 텡그리탁(Tengri Tag)이다

 

청천강과 대동강을 가르는 정맥이다. 웅어수산까지는 청북정맥과 함께 가

다 서남향하여 대동강 어귀 광량진에서 마감한다.

주요 산으로는 청북정맥과 공유하는 동백산(2096m), 낭림산,

웅어수산 외에 무동봉(1762m), 묘향산(1909m), 용문산(1180m), 오석산(565m)이 있다 .

 

▲ 백두대간 이해를
위한 해설서 「태백
산맥은 없다」.

대동강과 임진·예성강 사이로 뻗은 정맥이다.

 대간의 두류산에서 시작하여 장산곶에서 끝난다. 주요 산은 가사산(1361m),

동백년산(1246m), 고달산(866m), 대각산(1277m), 언진산(1120m), 멸악산(816m),

수양산, 불타산(608m)이다.

<산경표>는 고달산 아래 개연산까지가 백두대간이고 거기서 해서정맥과

임진북예성남정맥이 갈려 나간다고 하는데 개연산은 오늘날 지도에는 이름이 없고

대신 화개산(1041m)이 그 자리를 차지하고 있다.

이 정맥은 중부지방과 북부지방을 가르는 선이다.

그래서 식생과 농사가 이 선을 경계로 하는 것이 많다

.

임진강과 예성강 사이로 뻗은 정맥이다. 두류산에서 화개산까지는 해서정맥과

같이 가다 남으로 흘러 진봉산에서 끝난다.

화개산 아래의 주요 산은 입암산(1107m), 명지덕[산](911m), 율목산(691m), 고주애산(754m),

수룡산(717m), 천마산(762m)이다.

 

한북정맥: 대간의 백봉에서 시작해 오두산(119m)에서 끝나는 산줄기다.

주요 산은 백암산(1110m), 적근산(1073m), 대성산(1175m), 포천 백운산(904m),

운악산(936m), 죽엽산(610m), 불곡산(470m)이다.

<산경표>는 불곡산 이후 도봉(717m), 삼각산(836m), 노고산(496m) 지나 현달산,

고봉산 (208.8m), 그리고 지금 심학산으로 불리는 장명산에서 끝나는 것으로 되어있는데

이는 왕도의 진산 삼각산을 넣기 위한 왜곡으로 보인다. 진실은 불곡산 아래 호명산(423m)에서

남쪽의 도봉으로 향하지 않고 서쪽의 계명산(622m), 혜음령, 명봉산(248m), 월롱산(229m),

기간 봉(246m), 그리고 오두산 통일전망대다 .
북쪽으로 임진강 남쪽으로 한강의 분수령이 된다.

백봉에서 시작한 한북정맥은 백암산(1,110m), 법수령을 지나 휴전선 가까운 오성산(1,062m),

철책 넘어 대성산으로 이어진다. 포천 백운산(904m) 운악산(936m), 서울 도봉·북한산(837m),

고봉산(208m)을 지나 임진강과 한강의 합류 지점인 교하의 장명산(102m)에서 끝난다.

 

▲ 백두대간전도

낙동강 동쪽 울타리를 이루는 산줄기다. 대간의 매봉[산]에서 시작하여 몰운대에서 끝난다.

주요 산은 통고산(1067m), 백암산(1004m), 주왕산(721m), 단석산(829m), 가지산(1240m),

취서산(1092m), 금정산(802m)이다.

경상도가 동쪽과 남쪽이 바다와 닿아있으면서도 내륙문화권으로 된 것은 이것과 낙남정맥 때문이다.

경상도의 음식이 별로인 것 역시 이런 이유에서로, 해물이 들어오지 않는 위에 퇴적암인

경상계 지형이 물맛이 없어서다

.

북쪽으로 줄곧 낙동강을 받드는 낙남정맥은 남부해안지방의 분계선으로 생활문화와 식생, 특이한 기후구를 형성시키는 중요한 산줄기이다.

지리산 영신봉에서 시작하여 남하하다 옥산(614m)에서 동쪽으로 방향을 틀어

대곡산(543m), 여항산(744m), 무학산(763m), 구룡산(434m), 대암산(655m)을 거쳐

낙동강 하구를 지키는 분산(盆山)에서 끝난다.

낙남정맥: 낙동강 남쪽의 정맥이라는 뜻으로 지리산 영신봉(1652m)에서 시작하여 김해 분산에서 끝난다. 종점을 지금은 분성산이라고 한다. '강 둘러싸기 원칙'을 따른다면 동쪽의 신어산(630m),

그 낙맥인 백두산(353m)까지 가야할 것이다.

원칙에 충실하려면 낙동강 하구의 봉화산(278m)쪽이 맞지 않느냐고 이의를 제기할 수도 있는데

이는 현대적 해석일 뿐이다.

낙동강하구둑이 쌓이기 전까지는 분성산과 신어산에 기대있는 고을 김해 앞을 흐르는 서낙동강으로 바닷물이 들어왔다.

주요 산으로는 옥산(614m), 무량산(581m), 여항산(744m), 무학산(761m)이 있다. 이렇게 낮은 것들 뿐이지만 기후와

인간생활에는 큰 영향을 미쳐 남쪽과 북쪽을 해양문화권과 내륙문화권으로 나눈다.

 

한강과 금강을 나누는 분수령이다. 속리산 천황봉(1,508m)에서 시작하여 말티고개,

선도산(547m), 상당산성, 좌구산(657m), 보현산(481m)을 지나 칠현산(516m)에서

한남정맥과 금북정맥과 갈라지면서 한남금북정맥은 끝이난다.

 

한강 유역과 경기 서해안 지역을 분계한다. 한남금북정맥의 칠현산 북쪽 2킬로미터 지점에 위치한 칠장산(492m)에서 시작된다.

백운산, 보개산, 수원 광교산(582m), 안양 수리산(395m)을 넘으며 김포평야의 낮은 등성이와 들판을 누비다

계양산(395m), 가현산(215m) 지나 강화도 앞 문수산성에서 끝맺는다.

 

금강의 북쪽 울타리이다. 한남정맥과 헤어진후 칠현산(516m), 안성 서운산, 천안 흑성산(519m),

아산 광덕산(699m), 청양 일월산(560m), 예산 수덕산(495m)을 지난다.

산줄기는 예산 가야산(678m)에서 멈칫거리다 성왕산(252m), 백화산(284m)를 거쳐

태안반도로 들어 반도의 끝 안흥진에서 끝을 맺는다.

 

금남정맥과 호남정맥의 겹침부분이다. 대간의 영취산에서 시작하여 입봉(637m) 2킬로미터

남쪽 모래재 부근까지인데 <산경표>에서는 이 종점을 주줄산, 지금은 운장산(1126m)이라

하나 이제 탈피해야할 지리개념이다.

『산경표를 위하여』 저자 조석필씨는 부귀산 자락으로 보자고 한다 .

 

금강의 남쪽 울타리를 이루는 산줄기다. 금남호남정맥 부분을 벗어나면 북쪽으로 머리를 튼다.

이후 운장산을 지나 왕사봉(718m)으로 향한다.

<산경표>는 다음 이어짐이 대둔산(878m), 계룡산(845m), 조룡대라고 하는데 이는 조선 말 기에

유행한 풍수지리의 영향을 받아 '차기 수도'의 진산 계룡산을 넣기 위한 곡학아세로 보 인다.

진짜는 왕사봉에서 칠백이고지, 천호산(500m), 미륵산(430m), 함라산(241m) 하여 옥구로 빠지는 줄기다 .

 

섬진강을 싸고도는 산줄기다. 모래재까지는 금남정맥과 함께 가다 남으로

향해 사자산(666m)에서 동북향, 광양 백운산(1218m)에서 끝난다.

주요 산은 내장산(763m), 금성산성(573m), 무등산(1187m), 천은산(602m),

화악산(614m), 조계산(884m)이다. 이 정맥의 남북주향은 조선시대 전라좌도와 우도의

경계이고 동북주향은 해양문화권과 내륙문화권을 가른다. 정맥안의 큰 저수지 주암호로 하여

인구가 많은 바깥지역이 물 귀한 줄 모르고 산다 .

 

정간과 13정맥들
-- 월간 「사람과 산 」1999. 11월호 별책부록 <백두대간 종주 지도집>에서 -

 
장백정간(長白正幹)
북쪽으로 두만강, 남쪽으로 어랑천·수성천의 분수령이다.

백두대간의 원산 설령봉에서 일어나 만탑봉(2,205m), 괘상봉(2,136m), 궤상봉(2,541m), 관모봉(2,541m), 도정산(2,201m)을 지나

함경북도 내륙을 서북향으로 관통하는 산줄기이다. 도정산 이후 산세가 죽어들어 이후 고성산(1,756m), 차유령, 백사봉(1,138m),

송진산(1,164m)으로 이어져 두만강 하구 서수라곶에서 끝을 맺는다.

청북정맥(淸北正脈)
평안북도 내륙을 관통하며 압록강의 남쪽 울타리를 이룬다.

웅어수산에서 시작하여 낭림산을 지나 서쪽으로 흐른다. 갑현령(1,001m), 적유령(964m), 삼봉산(1,585m),

단풍덕산(1,154m)를 지나 온정령(574m)에서 산세가 수그러들어 신의주 남쪽 압록강 하구의 미곶산에서 끝난다.

청남정맥(淸南正脈)
웅어수산에서 시작하여 낭림산이 첫산이며 청천강의 남쪽 유역과 대동강의 북쪽 유역을 경계하는 분수령이다.

청남정맥의 으뜸산은 묘향산(1,365m)이며 이후 산줄기는 용문산(1,180m), 서래봉(451m), 강룡산(446m),

만덕산(243m), 광동산(396m)을 지나 용강의 남포에서 대동강 하구 광량진으로 빠진다.

해서정맥(海西正脈)
우리나라 북부와 중부지방의 문화권역을 경계하고 있는 분수령이다.

백두대간 두류산에서 시작하여 서남쪽 개연산에 이르러 다시 북상하다 언진산(1,120m)에서부터

남하하기 시작하여 멸악산(816m) 지나 서해의 장산곶에서 끝.

임진북예성남정맥(臨津北禮成南正脈)
황해도의 오른쪽 울타리를 이루며 북쪽으로는 임진강, 남쪽으로 예성강의 분수령이다.

해서정맥의 화개산에서 시작하여 학봉산(664m), 수룡산(717m), 천마산(762m), 송악산(488m)을 지나
정맥의 끝은 임진강과 한강의 합수점 개성의 남산인 진봉산(310m)이다.

한북정맥(漢北正脈)
북쪽으로 임진강 남쪽으로 한강의 분수령이 된다.

백봉에서 시작한 한북정맥은 백암산(1,110m), 법수령을 지나

휴전선 가까운 오성산(1,062m), 철책 넘어 대성산으로 이어진다.
포천 백운산(904m) 운악산(936m), 서울 도봉·북한산(837m), 고봉산(208m)을 지나 임진강과 한강의 합류지점인

교하의 장명산(102m)에서 끝난다.



낙동정맥(洛東正脈)
낙동강의 동쪽을 따르는 산줄기로 동해안 지방의 담장이다

매봉산에서 시작하여 울진 백병산(1,259m) 통고산(1,067m), 울진 백암산(1,004m), 청송 주왕산(720m),

경주 단석산(829m), 울산 가지산(1,240m) 신불산(1,209m), 부산 금정산(802m)을 지나 백양산(642m)을

넘어 다대포의 몰운대에서 끝난다.


낙남정맥(洛南正脈)
북쪽으로 줄곧 낙동강을 받드는 낙남정맥은 남부해안지방의 분계선으로 생활문화와 식생,

특이한 기후구를 형성시키는 중요한 산줄기이다.

지리산 영신봉에서 시작하여 남하하다 옥산(614m)에서 동쪽으로 방향을 틀어 대곡산(543m),

여항산(744m), 무학산(763m), 구룡산(434m), 대암산(655m)을 거쳐 낙동강 하구를 지키는 분산(盆山)에서 끝난다.

한남금북정맥(漢南錦北正脈)
한강과 금강을 나누는 분수령이다. 속리산 천황봉(1,508m)에서 시작하여 말티고개, 선도산(547m),

상당산성, 좌구산(657m), 보현산(481m)을 지나 칠현산(516m)에서 한남정맥과 금북정맥과

갈라지면서 한남금북정맥은 끝이 난다.

한남정맥(漢南正脈)
한강 유역과 경기 서해안 지역을 분계한다. 한남금북정맥의 칠현산

북쪽 2킬로미터 지점에 위치한 칠장산(492m)에서 시작된다.

백운산, 보개산, 수원 광교산(582m), 안양 수리산(395m)을 넘으며 김포평야의 낮은 등성이와 들판을 누비다
계양산(395m), 가현산(215m) 지나 강화도 앞 문수산성에서 끝맺는다.

금북정맥(錦北正脈)
금강의 북쪽 울타리이다. 한남정맥과 헤어진후 칠현산(516m), 안성 서운산, 천안 흑성산(519m),

아산 광덕산(699m), 청양 일월산(560m), 예산 수덕산(495m)을 지난다. 산줄기는 예산 가야산(678m)에서

멈칫거리다 성왕산(252m), 백화산(284m)를 거쳐 태안반도로 들어 반도의 끝 안흥진에서 끝을 맺는다.

금남호남정맥(錦南湖南正脈)
금강과 섬진강의 분수령이다. 장수 영취산(1,076m)에서 시작하여 장안산(1,237m) 수분현(530m)

팔공산(1,151m), 임실 성수산(1,059m), 진안 마이산(667m), 진안 부귀산(806m)에서 끝난다.

금남정맥(錦南正脈)
전주의 동쪽 마이산(667m)에서 북으로 치달아 대둔산(878m), 계룡산(828m)을 거친후

서쪽으로 망월산을 지나 부소산 조룡대에서 끝난다.

금강의 온전한 남쪽 울타리를 이루지 못하는 이 산줄기는 운장산 지나 왕사봉에서

남당산-까치봉-천호봉-미력산으로 이어져야 한다는 논란이 제기되고 있다.



호남정맥(湖南正脈)
낙남정맥과 함께 우리나라 남부해안문화권을 구획하는 의미있는 경계선이다.

정맥의 동쪽은 섬진강, 서쪽은 만경강 동진강 영산강 탐진강이다.

금남호남정맥에서 갈래친후 강진 만덕산(762m)을 처음 만나고 이후 내장산(763m), 추월산(729m),
무등산(1,187m), 제암산(779m), 조계산(884m) 등 남도의 큰산을 지나 광양 백운산(1,218m)이 끝이다.

백운산에서 아쉬운 산자락의 여운은 백운산 남쪽을 달려 섬진강을 휘감으며 망덕산(197m)에서 비로소 끝난다.


*1대간 9정맥의 도상거리[신산경표에서 발췌]*

 

 

①백두대간=683.4km

1)북한구간:963.4km(백두산-향로봉)

2)남한구간:695.2km(향로봉-지리산 천왕봉)

 

진부령-지리산 천왕봉:683.4km

[백두산(0)-향로봉(963.4)-진부령(975.2)-영신봉(1653.4)-천왕봉(5.2)=1658.6km]

 

②낙남정맥=232.7km

지리산 영신봉(1653.4)-옥산분기점(1681.4)=28km

옥산분기점(0)-용지봉(171.4)=171.4km

용지봉(0)-영운리고개(23.0)=23km

영운리고개(0.7)-동신어산(9.6)=10.3km

 

③낙동정맥=419.0km

매봉산 분기점(0)-가사령(205.4)-몰운대(419.0)

 

④한북정맥=235.5km중 160.4km만 가능

식개산분기점(북한)-수피령(75.1)-한강봉(182.5)=182.5km

한강봉(0)-장명산(53.0)=53.0km[산경표-한북정맥=235.5km]

한강봉(0)-오두산(41.1)=41.1km[신산경표-도봉지맥]-한강하구

 

⑤한남정맥=178.5km

칠장산분기점(0)-수리산(93.8)-보구곶리(178.5km)

 

⑥한남금북정맥=158.1km

속리산천황봉(0)-좌구산(83.2)-칠장산분기점(158.1)=158.1km

;신산경표상[호서정맥]

 

⑧금북정맥=282.4km

칠장산분기점(158.1)-백월산(309.6)=151.5km:신상경표[호서정맥]

백월산(0)-안산(65.4)-안흥진((130.9)=신상경표[금북기맥]

백월산(309.6)-용당정(379.4):신상경표[호서정맥]

 

⑨금남정맥=131.4km

조약봉분기점(0)-싸리봉분기점(22.4)=22.4km[신산경표-금강정맥]

싸리봉분기점(0)-계룡산천황봉(64.1)-부소산(109)=109km[신상경표-금남기맥]

 

⑩금남호남정맥=70.7km

영취산(0)-오계치(33.2)-조약봉분기점(70.7)=70.7km

 

⑪호남정맥=454.5km

조약봉분기점(70.7)-봉황산(231.2)-섬진강(525.2)=454.5km

 

 

※1대간 9정맥 총거리: 대간683.4km + 정맥2087.7km = 2771.1km

 

*백두대간 9정맥 도상거리및GPS거리(KM)*

 

  도상거리(km) GPS거리(km)
백두대간 683.4 739.660
낙동정맥 419.0 518.325
낙남정맥 232.7 242.027
호남정맥 454.5 514.627
금남호남 70.7 74.740
금남정맥 131.4 130.801
한남금북 158.1 177.408
한남정맥 178.5 203.150
금북정맥 282.4 312.315
한북정맥 160.4가능 184.608
총 계 2771.1 3,097.66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