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범여(梵如)의 世上사는 이야기
山經表

신산경표>의 우리나라의 산줄기 간략 개념도

by 범여(梵如) 2016. 4. 1.

 

현대적으로 우리 산줄기를 계승한 <신산경표> 분석

	[山창간 45주년 특집_남한땅 7정맥 ①호남 정맥 | 왜 9정맥이 아닌 7정맥인가]
▲ <신산경표>의 우리나라의 산줄기 간략 개념도.

산경표는 산자분수령(山自分水嶺)이라는 대원칙을 기본으로 한다. ‘산은 물을 넘지 못하고 물은 산을 건너지 않는다’는 산자분수령을 제대로 이해하려면 1990년대의 산꾼들이 했던 방식을 답습할 필요가 있다. 국토지리정보원 지형도에 정맥 능선을 형광펜으로 그리며 물길을 지나지 않고 강 하구까지 능선을 연결시키는 작업이다. 이 지도를 들고 직접 발로 걸으면 머리와 몸으로 완벽히 이해할 수 있다.


한북정맥을 탈 경우, 능선 북쪽으로 발원하는 골짜기는 모두 임진강으로 흘러가고 남쪽 능선에서 발원한 골짜기는 모두 한강으로 흘러간다. 산자분수령을 바탕으로 모든 산줄기는 상위 산줄기로 연결된다. 즉 전국 어디든 동네 뒷산에서 종주를 시작해도 산줄기를 거슬러 가면 백두대간에 닿는다. 즉 섬산이 아니라면 어느 산에서건 물길을 건너지 않고 산줄기만 밟아 백두산에 닿을 수 있는 것이다. 홑산은 없다. 부모 없는 자식 없듯 족보 없는 산은 없다. ‘산자분수령’은 이렇듯 단순명쾌한 선조들의 산에 대한 깨달음이요, 지혜였다. 수백 년간 이어온 산경표의 원리가 산맥론에 묻혀 후손들에게 전해질 수 없는 현실이 안타깝다.


물론 낮은 산줄기의 경우 인위적인 개발로 물길이 지나는 곳이 있다. 어쨌든 인간 생명의 젖줄인 강의 기원에는 모두 산경표의 산줄기가 있었다. 산과 강은 준엄한 아버지와 따뜻한 어머니처럼 상호보완적인 음양의 이치를 가지고 있는 것이다. 산줄기는 물줄기만 나누지 않고 언어, 입맛, 품성 등의 생활양식도 나누었다. 그러므로 산경표의 산줄기 분류는 우리 생활과 맞닿아 있는 생활 분류이기도 하다.


산경표의 대간과 정맥은 큰 강의 끝으로만 가지는 않았다. 일례로 한북정맥도 큰 강의 끝으로 간다면 양주시 한강봉에서 한강과 임진강을 가르는 정확한 능선의 끝인 파주 오두산으로 가야 한다. 그러나 산경표의 한북정맥은 한강봉에서 남쪽의 북한산으로 가서 고양시를 지나 파주 장명산에서 끝을 맺는다.


산경표의 대간과 정맥은 산자분수령의 대원칙 외에 ‘생활권의 경계’를 따르기에 나라의 수도인 한양의 북한산을 따라 가도록 했다. 이렇게 산경표가 구획한 산줄기 속에는 산자분수령에 따른 큰 강의 끝이 아닌 생활권의 경계를 따르는 산줄기 구간이 곳곳에 있다.


산경표의 남한구간을 보통 하나의 대간과 9개의 정맥이라 한다. 많은 산꾼들은 산경표의 기준에 따라 1대간 9정맥을 완주했다. 그러나 지금의 시선으로 보면 교통의 발달로 생활권의 경계가 무의미해졌다. 그래서 대간과 정맥을 완주한 산꾼들은 기존 산경표 줄기를 계승해 보완한 현대적인 산줄기를 다시 타려고 했다.


사례로 얘기한 한북정맥처럼 임진강과 한강을 정확히 구획하는 한강봉에서 오두산 구간을 타고자 했다. 정확하게 큰 강의 끝으로 가는 산줄기를 다시 타고자 했다. 누군가 산경표를 한 장의 큰 산줄기 지도로 만드는 작업을 할 필요가 있었고, 옛날의 생활권 경계에 따른 산줄기가 아닌 끝까지 큰 강을 따르는 업그레이드된 산경표 줄기를 공표할 필요가 있었다.


	[山창간 45주년 특집_남한땅 7정맥 ①호남 정맥 | 왜 9정맥이 아닌 7정맥인가]
▲ 1 2004년에 발간된 <신산경표>와 2010년 발간된 개정증보판. 2 <신산경표>를 완성한 박성태 선생. 3 산줄기로 본 남부지방 생활경계.

워낙 방대하고 세밀한 작업이라 누구도 엄두를 못 내던 일이었으나 박성태 선생이 필생의 노력으로 해냈다(2014년 4월호 화제인물 박성태 참조). 박성태 선생은 현대적인 산경표를 완성해 공식적인 책과 지도로 발행하고자 했으나 출판사들은 타산이 맞지 않는다 하여 출간을 거절했다. 그러던 차에 마침 월간<산>에서 ‘현대적인 산경표’의 의미에 공감해 2004년 <신산경표>란 이름으로 책과 지도가 세상에 나왔다.


<태백산맥은 없다>의 저자 조석필 선생은 <신산경표>를 두고 “교과서의 분야에 올려도 마땅한 것이라 확신한다”며 “이우형 선생이 생전에 바라시던 책이 마침내 나왔다”고 평했다.


<신산경표>는 산꾼들의 열렬한 호응 속에 초판 2,000권과 추가로 찍은 1,000권이 모두 판매되었다. 이후 북한 쪽 산줄기를 담은 <신산경표> 개정증보판을 2010년 만들었으며, 이 또한 모두 완판되었다. 일반인들과 지리학계는 무심했지만 <신산경표>의 출간은 고산자 김정호, 여암 신경준, 육당 최남선, 이우형 선생이 하늘에서 기뻐할 만한 일이다.


<산경표>의 1대간 1정간 13정맥을 <신산경표>는 1대간 12정맥으로 새롭게 제안했다. 독립적인 개념이 없는 정간을 둘 필요가 적어 10대 강을 구획하는 산줄기를 모두 정맥으로 통일했다. 남한 산줄기의 경우 1대간 9정맥에서 현대적인 산자분수령의 1대간 7정맥을 제안했다. 기존 9정맥의 금남호남정맥과 한남금북정맥은 독립적인 정맥이라기보다 겹친 산줄기였기에 기존 정맥에 편입시켰다. 그래서 정맥이 두 개가 줄어 7정맥이 되었다.


	[山창간 45주년 특집_남한땅 7정맥 ①호남 정맥 | 왜 9정맥이 아닌 7정맥인가]
▲ (좌)대동여지도로 본 호남정맥의 끝 부분. (우)신산경표의 산줄기를 통해 본 호남정맥 끝부분. 경상도와 전라도의 생활권을 나누는 역할을 산줄기가 하고 있다.

한남금북정맥의 속리산에서 칠장산까지는 한남정맥에 속하기도 하며 금북정맥에 속하기도 한다. 칠장산에서 두 개의 산줄기로 나눠지며 한강 남쪽에 가 닿는 산줄기가 한남정맥이고, 칠장산에서 남쪽으로 가서 금강 북쪽에 가 닿는 산줄기가 금북정맥이다. 산경표는 별도의 ‘한남금북’이란 이름으로 개별화시켰다. 그러나 엄밀히 따지면 별도의 정맥이 아닌 한남과 금북의 일부분이기에 신산경표는 합리적으로 기존 정맥에 편입시켰다. 금남호남정맥도 이와 같은 이치로 신산경표에서는 개별 정맥에서 제외했다.


9정맥이 아닌 7정맥으로 가자!
금북정맥과 금남정맥이 금강정맥과 호서정맥으로 바뀐 것도 큰 변화다. 금강 북쪽을 가르는 정확한 산줄기를 호서정맥이라고 했다. 안흥진에서 끝맺는 기존의 금북정맥은 금강 북쪽에 있기는 하지만, 금강의 북쪽 울타리가 되는 산줄기는 아니기 때문이다. ‘호서’라는 지역 이름을 정맥 이름으로 사용했다. 기존 산경표의 금북정맥 끝 부분을 금북기맥으로 바꾸었다. 기맥은 대간과 정맥에서 분기한 100km 이상의 산줄기이며 신산경표 기준 남한에는 6개의 기맥이 있다. <산경표>에서는 계룡산이라는 민족의 영산이 있는 산줄기를 금강 남쪽의 정맥으로 했다.


산자분수령을 지키면 금강 하구의 장계산으로 가는 것이 맞지만 높이가 낮은 산줄기라 계룡산 줄기를 정맥으로 승격시켰다. 생활권 경계를 따른 셈이다. 그러나 <신산경표>는 낮은 산줄기라 해도 못 나고 능력이 없어도 장남은 장남이듯, 정맥은 정맥이란 것이다. 그래서 금강 남쪽 산줄기에 새로 이름 붙인 것이 금강정맥이다. 산경표의 금남정맥 줄기는 금남기맥으로 바꿨다.


백두대간도 변화가 있다. <산경표>는 대간 줄기가 남쪽으로 내려오다 지리산에서 끝난다. 산자분수령을 따르면 강의 하구인 바다와 접하는 곳에서 끝나야 하지만 그렇지 않은 것이다. 그래서 원칙을 적용해 산줄기를 이어 섬진강 하구인 연대봉에 닿도록 지리산에서 대간줄기를 연장했다. 낙남정맥이 구지봉이나 신어산 방향이 아닌 종착지를 봉화산으로 한 것도 이와 같다. 호남정맥이 백운산에서 끝나지 않고 망덕산까지 이은 것도 이와 같은 이치다.


이렇듯 <신산경표>는 현대에 맞도록 산자분수령을 지켜 ‘강을 나누는 진정한 산줄기’로 계승해 수정했다. 2004년 <신산경표>가 세상에 나온 이후에도 산꾼들은 1대간 7정맥이 아닌 〈산경표〉의 1대간 9정맥을 따라 종주한 이들이 많다. 그러다 산줄기 지식이 깊은 이들 사이에서 “신산경표를 따르는 것이 맞다”는 의견이 대두되기 시작했다. 최근에는 골수 산꾼들은 지리산에서 대간 종주를 시작하지 않고, 섬진강 하구의 연대봉에서 시작하는 이들이 많다.


<산경표>의 9정맥은 1980년대 후반부터 지금까지 많은 이들이 종주했다. 그동안의 세월이 대간과 정맥이란 것이 있다는 데 의미를 두고 알리기 위함이었다면, 이제부터는 산경표의 뜻을 현대적으로 계승해 발전시킬 필요가 있다. 그래서 월간<산>은 창간 45주년을 맞아 9정맥 특집이 아닌 7정맥 특집으로 ‘호남정맥’을 <신산경표>의 시선으로 다시 소개한다.


강의 근원은 산이고, 산은 물이다. 고로 정맥은 인간 터전의 근본 고향이다. 경상도의 근원을, 전라도의 근본을 모두 맛깔나게 밟아보자. 태백산맥은 없다. 백두대간과 정맥이 있을 뿐이다. 다시 한 번, 일어나라 산꾼들이여. 저 그리운 산줄기가 부르는 소리가 들리지 않는가. 산꾼의 심장이 있어야 할 곳은 산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