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북기맥 제1구간 - 백월산에서 지티고개까지
금북기맥의 개념도 금북기맥(錦北岐脈)이란? 산경표에 의하면 백두대간 상에 있는 속리산 천왕봉에서 시작하여 말티고개, 선도산, 상당산성, 좌구산, 보현산을 지나 안성 칠장산에서 한남정맥과 금북정맥이 갈라지면서 한남. 금북정맥은 끝이나며 이어서 금북정맥은 칠현산 안성 서운산과 천안 태조산, 청양 백월산과 예산 덕숭산을 지난다. 산줄기는 예산 가야산에서 주춤거리다가 성왕산, 백화산, 지령산을 거쳐 태안반도에 들어 반도의 끝 안흥진에서 끝을 맺는다. 그러나 산경표의 금북정맥은 금강과 별로 관계가 없는 오서산과 가야산을 경유한다는 논란이 있으며 따라서 금북정맥의 백월산을 내려서다 오서산을 향하지 않고 직진하여 성태산, 조공산, 월하산, 월명산, 옥녀봉, 봉림산, 오석산, 남산, 서대산 중대산을 지나 장항 앞 바다..
2012. 8. 13.
금북기맥(錦北岐脈)개요와 지도
1. 금북기맥(錦北岐脈)개요.. 산경표에 의하면 백두대간 천왕봉(1,508m)에서 시작하여 말티고개, 선도산(547m), 상당산성, 좌구산(657m), 보현산(481m)을 지나 칠장산(516m)에서 한남정맥과 금북정맥과 갈라지면서 한남금북정맥은 끝이 난다. 이어서 금북정맥은 칠현산(516m), 안성 서운산, 천안 흑성산(519m), 아산 광덕산(699m), 청양 일월산(560m), 예산 수덕산(495m)을 지난다. 산줄기는 예산 가야산(678m)에서 멈칫거리다 성왕산(252m), 백화산(284m)를 거쳐 태안반도로 들어 반도의 끝 안흥진에서 끝을 맺는다. 그러나 산경표에 금북정맥은 금강과 별관계 없는 오서산,가야산을 경유한다는 논란이 있다. 따라서 금북정맥 백월산에서 내려서다 오서산으로 향하지 않고 직진..
2012. 5. 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