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범여(梵如)의 世上사는 이야기

지명 유래49

괴산군 감물면의 마을지명유래 광전리 본래 충주군 감물면 지역이며 1914년 행정구역 폐합에 따라 광지리, 미전2리, 미전3리, 오간리, 소태리의 각 일부를 병합하여 광지와 미전의 이름을 따서 광전리라 하여 괴산군 감물면에 편입되었다. 현재 신대리, 하미전리, 상미전리, 광지실리의 4개 행정리로 나뉘어져 있다. (가) 신대리 ○벌터(신대) : 신대는 속칭 벌터이다. 감물국시절에 죄수를 사형하던 곳이라고도 하며 이단천이라는 역적이 덕운리에 살고 있었는데 역적을 죽인곳이라 벌터라고도 한다는 설이 있다. ○도장골 : 칼을 만드는 도장이 있었다는 골이다. (나) 하미전리 ○양지말 : 양지쪽에 있는 마을로 붙여진 이름이다. ○큰말 : 마을에서 호수가 제일많아 큰말이라 부른다. (다) 상미전리 ○딱밭 양짓말 : 양지쪽 딱나무밭이 있어 붙여진 이.. 2022. 5. 20.
영동지역 마을의 유래(영동읍) 영동지역 마을의 유래(영동읍) 1)부용리 본래 영동현 남남일면의 역리로 조선조 때 역말이었으므로 붙은 지명이다. 부용산 이름을따 부용리라 하여 영동읍에 편입되었다. 부용리 서쪽에서 양가동으로 넘어가는 아리랑고개는 예부터 유명하고 고갯길을 닦을 때 일꾼들이 아리랑 노래를 많이 불렀다 한다. 양가동에 있는 고분은 신라시대의 것으로 추정되며 영동농공고등학교와 을곡 사이에 있는 석실고분은 12층으로 질서정연하게 쌓았으며 양가동 동북방, 서북방 2개소에 25기의 고분이 있다. 행정리동으로 부용1리(역말, 성지골, 봉덕골)와 부용2리(을곡, 작곡동), 양가동(양가동, 개골)이 있다. 2)설계리 본래 영동현 북이면 목적리 지역으로 1909년 영동군 군내면 구수동, 목적동으로 나뉘었다가 1914년 행정구역 폐합 때 구.. 2022. 2. 15.
영월군 중동면 마을 지명유래 중동면(中東面) ---땅이름의 뿌리를 찾아서 (퍼옴) 연상리(蓮上里) 본래 영월군 상동면 지역으로 1914년 행정 구역 통폐합에 따라 1914년 연상리, 화라리와 정선군 신동면 석항리 일부를 병합하였으며 1986년 4월 1일 중동면이 되었다. 중동면 연상리는 영월읍 연하리와 석항 사이에 있는 전형적인 농촌 마을이다. 이곳의 지명 유래는 마을 주변을 둘러싼 산봉우리가 연꽃봉우리 현상이고 연하초등학교 뒤에 연꽃이 피는 연못이 있었으므로 '연꽃 蓮'자와 '못 池'자를 써서 땅이름이 만들어진 '연지동' 위쪽에 있으므로 '연상리'라고 부르게 되었다. 연상리는 법정 2개 리에 203가구 747명이 마구, 손도리골, 궁장동, 북실, 샘말 등의 자연 부락에서 밭농사를 주업으로 하고 있다. 돌고개(石峴) 연상리의 서남쪽.. 2021. 10. 19.
대전광역시 법정동 177개의 이름과 유래 No 동명 유 래 대덕구 1 갈전동(葛田洞) 칡밭이 지천으로 덮여 있어 갈밭, 갈대밭이 있어서 갈밭 또는 갈전이라 하였다. 칡갈(葛) 2 대화동(大禾洞) 땅이 매우 좋아 벼가 잘 되므로 대화(大禾)라고 하였다. 벼화(禾) 3 덕암동(德岩洞) 옛날 한 노승이 덕암사(德岩寺)라는 절을 짓고 도를 닦으며 마을 사람들의 존경을 받았다. 노승이 죽자 절의 뒤편에 바위가 솟았는데 덕바위라고 하여 사람들이 숭상하였으므로 마을의 이름을 덕바위, 그 음이 와전되어 덤바위 또는 덕암(德岩)이라 하였다. 4 목상동(木上洞) 남해(남개,목포)마을 위쪽에 있으므로 위남해(위목포) 또는 목상(木上)이라고 하였다. 5 문평동(文坪洞) 넓은 들이 있으므로 먼벌 또는 문평(文坪)이라고 하였다. 6 미호동(渼湖洞) 금강(錦江)이 미호동.. 2021. 10. 12.
청도군 각북면(角北面)의 마을 지명유래 각북면(角北面) [정의] 경상북도 청도군에 속해 있는 법정면이다. [개설] 청도군 서북쪽 맨 끝부분에 자리 잡고 있는 각북면은 비슬산과 삼성산이 높게 솟아있어서 남쪽으로는 트여 있으나 삼면(三面)은 모두 산으로 둘러싸여 있다. 북쪽과 서쪽은 대구와 경계를 이루고 있으며 남쪽으로는 풍각면과 마주하고 있는 아주 전형적인 산골 오지이다. [명칭 유래] 각북면이란 풍각현의 북쪽에 있다고 해서 각북면이 되었다. [형성 및 변천] 이서국의 한 부분이었던 각북은 신라에 복속되어 상화촌현으로 불리었다. 다시 풍각현으로 개칭되었으며, 고려시대에는 풍각현에서, 밀양군에 속한 풍산현으로, 다시 유산현으로 개칭되었다. 조선이 건국되면서 풍각현으로 개칭되었는데 이전의 기록은 청도군에는 없다. 1413년까지는 밀양군 풍각현으로 .. 2021. 10. 11.
충주시 살미면(乷味面) 지명유래 ▣ 살미-면(乷味面)【면】 본래 충주군 지역으로서 사을미곡(沙乙味谷)의 사자(沙字)와 을자(乙字)를 합하여 살미면이라 하여, 목벌(木伐), 문지(文旨), 대화(大化), 신당(新堂), 재오개(才五介), 무릉(武陵), 신릉(新陵), 신담(新潭), 공이(公耳), 매남(梅南), 내화(乃火), 보사(甫沙), 설운(雪云), 창동(倉洞), 대향산(大香山), 소향산(小香山), 두응(斗應)의 21개 동리를 관할하다가, 1914년 행정구역 통폐합에 따라 유등면(柳等面)의 팔봉리(八峰里) 일부를 병합하여, 목벌, 문화(文化), 재오개, 신당, 무릉, 공이, 신매(新梅), 내사, 설운, 용천, 세성, 향산의 12개리로 개편 관할함. 동쪽은 제천군 한수면, 남쪽은 상모면, 서쪽은 이류면, 북쪽은 호암동 등과 맞닿음. 1911년.. 2021. 9. 8.
정선군 신동읍 예미리(禮美里) 지명유래 예미역 신동읍 소재지인 예미리는 본래 평창군 동면 지역에 속해 있다가 고종 32년(1895년) 정선군에 편입되었다. 평창군에 속해 있을 당시 고성리(古城里)에 내창(內倉)이 있었고 지금의 예미초등학교 뒤에 외창(外倉)이 있어 주민들로부터 거둬들인 세곡을 저장해 두었으며 노일(魯日)에는 5일장이 열리기도 했다. 예미리(禮美里)라는 이름은 1914년 일제가 행정구역 통폐합 작업을 하면서 노일, 납돌, 유문동을 합하여 여미산(女美山)을 예미산(禮美山)으로 바꿔 부르면서 불렀다고 전해져 내려온다. 예미리는 오랜 옛날부터 제천에서 영월을 거쳐 정선 삼척 등지로 이어지는 교통의 요지인 까닭에 신석기시대부터 많은 사람들이 몰려와 거주했음을 지금의 읍사무소 아래 고인돌 등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중국 당나라때 .. 2021. 8. 24.
충북 괴산군 청천면 이평리&삼송리 유래 이평리 1) 지명유래 이 곳은 청주군 청천면(淸州郡 靑川面)의 지역이었는데 1914年 行政區域廢合에따라 배나무 마을의 梨洞과 옛시절 넓은 들녘을 상징하는 벌판에 있는 마을이라 해서 붙혀진 평촌(坪村) 송정리(松亭里) 일부를 倂合하여 梨洞과 坪村의 이름을 따서 梨坪里라 칭하게 되었으며 고고함을 상징하고 自然景觀이 수려한 곳에서만 사는 학(鶴)이 살았다는 학골, 풍류객이 풍류를 즐기던 가락골(佳樂洞) 한 여름 지나가는 나그네 발길을 붙잡는 백골(梨洞)앞의 느티나무숲 우재미절골 황새바우골등 산자가 수려하고 흙이 차져 기름진 옥토와 넓은 들판에서 수확의 풍요로움을 만끽하는 마을로 예로부터 윗어른을 섬기고 공경하며 예의바르고 살기 좋은 마을로 전해져 오고 있다. 2) 자연마을 가락골(佳樂洞) : 마을 안쪽 골짜기.. 2021. 7. 15.
대전시 법정동 177동명 유래 대전시 법정동 177동명 유래 - 1994년 『대전 지명지』 No 동명 유 래 대덕구 1 갈전동(葛田洞) 칡밭이 지천으로 덮여 있어 갈밭, 갈대밭이 있어서 갈밭 또는 갈전이라 하였다. 칡갈(葛) 2 대화동(大禾洞) 땅이 매우 좋아 벼가 잘 되므로 대화(大禾)라고 하였다. 벼화(禾) 3 덕암동(德岩洞) 옛날 한 노승이 덕암사(德岩寺)라는 절을 짓고 도를 닦으며 마을 사람들의 존경을 받았다. 노승이 죽자 절의 뒤편에 바위가 솟았는데 덕바위라고 하여 사람들이 숭상하였으므로 마을의 이름을 덕바위, 그 음이 와전되어 덤바위 또는 덕암(德岩)이라 하였다. 4 목상동(木上洞) 남해(남개,목포)마을 위쪽에 있으므로 위남해(위목포) 또는 목상(木上)이라고 하였다. 5 문평동(文坪洞) 넓은 들이 있으므로 먼벌 또는 문평(.. 2021. 5. 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