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산경표 저자 박성태님의 정맥,기맥,지맥 분류 기준
*정맥의 정의와 명칭* 신산경표의 정맥에는 다음과 같은 원칙을 적용하였다. ?정맥은 10대 강을 구획하는 산줄기이다. ?산줄기는 강의 하구를 향한다. ?겹침산줄기(대간에서 분기한 후 다시 둘로 나뉘는 정맥)의 경우, 대간에서부터의 길이가 긴 쪽을 본줄기로 하고 짧은 쪽을 가지줄기로 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둘 다 10대 강을 구획하는 ‘정맥’이라는 사실에는 변함이 없다. ?겹침 부분을 포함하는 본줄기는 지방 이름을 사용한다. 예 관서정맥, 해서정맥, 호서정맥, 호남정맥 ?나머지는 강 이름을 사용하되, 하나의 강 이름이 두 개의 정맥에 쓰인 경우 방향으로 구별한다. 예 겹침산줄기의 가지줄기-청천정맥, 예성정맥, 한남정맥, 금강정맥 예 기타-한북정맥, 낙동정맥, 낙남정맥 ?[산경표]의 長白正幹은 관북정맥으로..
2012. 9. 28.
대간, 정간, 정맥, 기맥, 지맥의 차이점
대간, 정간, 정맥, 기맥, 지맥의 차이점 ‘신 산경표 ‘(박 성태, 2010.10월)를 중심으로 아래와 같이 정리하여 보았으니 참고 바랍니다 . '산경표'와 '신산경표'에서 구분한 산줄기 흐름의 차이점에 대하여는 나중에 자세히 올리도록 하겠습니다 대간(大幹)은 나라의 10대강을 크게 동류(東流)와 서류(西流)로 구획하고, 모든 정맥을 가지 치는 기둥 산줄기를 일컫는데 그 정점에 백두산이 있어 백두대간이라는 이름을 얻었다. 백두대간의 시작을 백두산으로 하는 것은 그것이 대륙으로 이어지는 유일한 관문이라는 점, 백두산이 있음으로 우리나라는 섬이 아니라 대륙과 연결되어 있다는 의미를 부여할 수 있다. 정간(正幹)은 백두산의 다른 이름인 장백산에서 이름을 물려받은 장백정간이 유일한데 큰아들 대접을 받았다는 상..
2012. 9.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