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범여(梵如)의 世上사는 이야기
山經表

현.재.치.령

by 범여(梵如) 2012. 9. 21.

 

[1]

'령'은 큰 산맥을 가로지르는 고개를 말합니다.

태백산맥을 넘는 대관령, 한계령, 미시령 등과

소백산맥을 넘는 추풍령, 죽령, 조령, 이화령 등이 대표적이죠.

'령'은 큰 산맥을 넘는 큰 고개가 아니면 쓰지 않습니다.

따라서 대체로 험하고 높은 곳이 많습니다.

※하지만 관용적으로 '령'을 붙인 것도 있습니다.

서울에 있는 남태령이나 우이령은 큰 산맥을 가로지르는 고개가 아님에도 불구하고

 '령'자가 붙어 있죠. 이는 이름이 붙을 당시 많은 사람들(서울 사람들)에게 크고

중요한 고개로 인식되었다는 것을 뜻합니다.

우이령은 제법 높고, 남태령은 현재 통행량이 매우 많은 고개이죠.

 

 

'치'는 본디 높은 언덕을 뜻하는 말입니다.

'치'는 또 다른 말로 '티'라고도 하는데,

그리 높지는 않지만 완만하다기보다는 가파른 고갯길을 말합니다.

규모는 크지 않은 편입니다.

서울이나 부산 같은 도시 속에도 '티'자로 끝나는 고개들이 있습니다.

 

'재'는 고개의 일반적인 접미사라고 보시면 편하겠습니다.

특별히 규모나 성격상의 기준은 없는 말입니다.

조'령'같은 큰 고개도 한 편으로는 문경 새'재' 라고 부르고,

비행기'재'같은 험준한 고개도 '재'이고,

박달'재'같은 평범한 고개도 '재'이고...

왠만한 데는 다 '재'라고 해도 통합니다.

 

'현'은 작은 고개로, 동네 수준이라고 보시면 되겠습니다.

서울에 보면 아현동이니, 논현동이니 그런 동네들이 있죠.

위에서 말한 남태령도 다른 말로는 남현이라고 합니다.

 

[2]

봉(峯) : 산봉우리[산정(山頂)] 또는 그대로 산(山)이라는 의미로 쓰임. -예)백두산(장백산)병사봉 등등

 

재 , 령(嶺) : 산꼭대기의 고개. 길이 나 있는 높은 산의 고개. 연속되어 있는 산악.

예) 무악재 대관령등등

 

치(峙) : (높은) 언덕. 예)팔량치

 

[3]

 고개를 나타내는 한자어는 령(嶺), 현(峴), 치(峙) 천(遷) 등입니다.

순우리말은 재, 고개 등입니다.

'령'은 군사적 요충지나 통행량이 많은 고개를 뜻하는 말이라고 합니다.

'현'이나 '치'나 '천'도 다 고개를 나타내는 말입니다.

'재'와 '고개'는 고유어입니다.

이것들이 원래는 지명으로 쓰였을 것이지만, 지명을 기록하면서 '령, 현, 치, 천'

 등으로 이름을 붙였을 것으로 생각됩니다.

 

그런데, 이것들은 혼재되어 쓰이는 경향이 있습니다.

제가 사는 지역 가까이에 '송치(松峙)'라는 고개가 있습니다.

이 고개의 이름을 다음과 같이 다양하게 부릅니다.

송치, 송치재, 솔재, 솔고개, 솔령, 솔령재

이 말들을 보면 고개, 재, 령, 치들이 다 쓰이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