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주(慶州)는 경상북도(慶尙北道) 남동부(南東部)에 위치하는 지명(地名)으로 기원
전 57년 이곳에 6촌(村)이 연합하여 고대 국가(古代國家)를 형성, 국호(國號)를 서
라벌(徐羅伐) · 사로(斯盧) · 사라(斯羅)라 하고 수도(首都)를 금성(金城)이라 하여
국명(國名)을 동일시 하였다.
서기 65년(탈해왕 9) 시림(始林)에서 김씨(金氏)의 시조(始祖) 김 알지(金 謁智)가
탄생하여 국호(國號)를 계림(鷄林)으로 고쳐 삼았다가 307년(기림왕 10)에 신라(新
羅)로 하였으며, 935년(태조 18) 신라 마지막 임금인 경순왕(敬順王)이 손위(遜位)
하자 처음으로 경주(慶州) 라는 명칭이 생겼다.
987년(성종 6) 동경(東京)으로 개칭하고, 1008년 (목종 11) 별칭(別稱)으로 낙랑군
(樂浪郡)이라 하다가 1030년(현종 21) 삼경(三京)의 제도가 실시되자 동경(東京)을
설치하였으며, 충렬왕(忠烈王)때 계림부(鷄林府)로 개칭하여 지방제도의 개편, 통
치 지역의 변동 등으로 명칭의 변화가 많았으나 영남지방(嶺南地方)의 행정중심지
로서의 지위에는 변동이 없다가 1413년(태종 13)에 와서 경주부(慶州府)로 개칭하
였다.
우리나라 성씨(姓氏) 중에서도 명문거족(名門巨族)으로 일컬어진 김씨(金氏)는 대
보공(大輔公) 김알지(金閼智)의 후예로 전한다.
삼국사기 권 제 1 신라본기(新羅本記)에 기록된 탄생에 대한 기록이 다음과 같이
전한다.
檀紀2398年(서기 65년) 漢明帝 永平八年 新羅四代 昔脫解王 乙丑 3月 어느날 밤
에 金城(금성) 서쪽 始林(시림)의 숲속에서 닭의 울음소리가 길고 明朗(명랑)하게
울려옴으로 왕께서 瓠公 (호공)을 시켜 가보시게 하니 금빛 작은 궤가 나뭇가지에
걸려 있고 흰닭이 그 밑에서 울고 있음을 보고 돌아와서 고하니 왕이 친히 가서
열어본즉 용모가 아름다운 남아가 나왔으므로 始林(시림)를 鷄林(계림)이라 고치
고 아이는 金櫃(금궤)에서 나왔으므로 姓(성)을 金(김)이라 하고 王(왕)이 기르시는
데 성장하면서 총명하고 지략이 많은지라 이름을 閼智(알지)라 하였으며, 왕이 좋
은 날을 골라 알지를 태자로 책봉하였으나 태자의 자리를 파사왕에게 물려주고
왕위에 오르지 않았다.
알지는 세한(勢漢 一諱 熱漢)을 낳았고, 세한은 아도(阿都)를, 아도는 수류(首留)를,
수류는 욱보(郁甫)를, 욱보는 구도(仇道)를, 구도는 미추(味鄒)를 낳았다.
알지의 7세손인 미추가 262년 신라 13대 미추왕에 올라서 신라의 김씨 왕조가 시
작되었다.
신라는 총 56명의 왕중에 김씨가 38명이다.
대종인 경주 김씨는 조선시대까지 총 600여개의 본으로 나뉘어져 있었으나 1985
년 인구조사에서는 약 270여개 본관만 남아있다.
이중에서 신라 29대 무열왕의 5세손인 김 주원을 시조로 하는 강릉 김씨,
신라 45대 신무왕의 셋째아들인 김 흥광을 시조로 하는 광산 김씨,
신무왕의 후손인 김 영이를 시조로하는 영산(永山, 영동) 김씨,
문성왕의 8세손 김 선궁을 시조로 하는 선산(일선) 김씨 등을 제외한 대부분은
신라 마지막 왕인 경순왕의 후손들이다.
경순왕(김 알지의 28세손)은 후백제 견훤이 경애왕을 죽게한 뒤 왕위를 오르게 하
였으나, 935년에 고려 태조 왕건에게 항복하고 왕건의 딸 낙랑공주와 결혼하여
경주를 식읍으로 하사받아 사심관(事審官)으로 여생을 보냈다.
경순왕 아홉 아들 중 마의태자로 잘 알려진 김 일은 망국의 한을 품고 개골산
(금강산)으로 입산 하였고,
둘 째 김 황은 나주 김씨,
셋 째 김 명종은 경주 김씨의 영분공파,
넷 째 김 은열은 경주 김씨 대안군파,
다섯째 김 석(錫)은 의성 김씨,
여섯째 김 건,
일곱째 김 선(鐥)은 언양 김씨,
여덟째 김 추(錘)는 삼척 김씨,
아홉째 김 덕지(德摯)는 울산 김씨 등이 되었다.
이 중에서도 넷째 아들 김 은열의 후손이 가장 번창했으며, 구안동, 청풍, 금녕,
도강, 전주, 양근, 영광, 안산 등이 모두 김 은열의 후손인 것으로 전하고 있다.
김 알지계 김씨에서 다른 성으로 갈려간 성씨는 안동 권(權)씨, 강릉 왕(王)씨,
광산 이(李)씨, 감천 문(文)씨, 수성 최씨 등이 있다.
경주 김씨(慶州金氏)의 분파를 대별하면 아래와 같다.
(경주 김씨 尙州 종친회 기념지 2000. 4. 25발행 참조)
(1) 영분공(대보공 휘 알지의 29세 휘 명종 시 영분공)의 분파개황
(아래 각파는 영분공 12세손 명암공 휘 인경의 후손에서 분파된 파명임)
두계공파 (영분공의 16세손 휘 충유)
수은공파 (영분공의 16세손 휘 충한)
시어사공파(영분공의 16세손 휘 충보)
참찬공파 (영분공의 16세손 휘 충익)
밀직공파 (영분공의 16세손 휘 충원)
병판공파 (영분공의 16세손 휘 남보)
판삼사공파(영분공의 16세손 휘 남분)
평장사공파(영분공의 16세손 휘 남길)
두암공파 (영분공의 16세손 휘 남귀)
월성부원군파(영분공의 18세손 휘 천서)
강릉공파 (영분공의 17세손 휘 서)
참의공파 (영분공의 16세손 휘 생수)
부사공파 (영분공의 16세손 휘 상한)
현감공파 (영분공의 16세손 휘 정심)
(2) 대안군(대보공 휘 알지의 29세 휘 은열 시 대안군)을 기세로 한 분파 개황
대안군파 (휘 은열을 기세로한 파)
병판공파 (대안군 17세손 휘 덕재)
백촌공파 (대안군 17세손 휘 문기)
익화군파 (대안군 17세 휘 인찬)
(3) 판도판서공(휘 장유-대보 휘 알지공 후)의 분파 개황
판군기감사공파 (판도판서공 3세손 휘 을식)
감사공파 (판도판서공 3세손 휘 을돈)
직장공파 (판도판서공 3세손 휘 을당)
공조판서공파 (판도판서공 3세손 휘 을귀)
이조판서공파 (판도판서공 3세손 휘 원기)
(4) 태사공(휘 인관 - 대보공 휘 알지공 후)의 분파개황
전서공파 (태사공 9세손 휘 자정)
상촌공파 (태사공 9세손 휘 자수)
우재공파 (태사공 10세손 휘 한)
송재공파 (태사공 11세손 휘 수량)
(5) 장군공(휘 순웅-대보공 휘 알지공 후)
계림군파 (장군공 13세손 휘 균)
정숙공파 (장군공 13세손 휘 서)
현령공파 (장군공 13세손 휘 능)
연동파 (장군공 12세손 휘 의)
봉산파 (장군공 13세손 휘 세보)
춘고공파 (장군공 14세손 휘 순)
이렇게 명문거족(名門巨族)으로 가문(家門)의 성세(盛勢)를 지켜온 경주 김씨(慶州
金氏)는 역사(歷史)의 흐름 속에서 훌륭한 인재(人才)들을 대거 배출시켜 신라(新
羅)와 근대(近代)를 잇는 역사적인 사건 속에서 김씨(金氏) 들의 입김이 닿지 않은
일들이 없을 정도로 훌륭한 업적을 많이 남겼다.
주요세거지와 변천은 계림군파 갑자보에 의하면
2세 김 계성의 대부터 경기 고양군 벽제읍에 대대로 세거한 것으로 보인다.
일부가 5세 김 홍령의 대이후로 수원시 일원으로 옮겨 갔고 일부는 김 귀령의 대
이후 평택군에 터를 잡았으며, 김 학령의 대를 전후 하여서는 용인군에 세거한 것
같다.
김 승련은 연산군조 무오사화때 평남 가산에 세거를 시작하였고 김영수 대 이후
는 홍주에 터를 잡은 것 같다.
6세 김 억수의 대 이후 안성군에, 김 연수의 대 이후로는 서산군 대산면 일원에,
김 수정의 대 이후는 청양군에 터를 잡은 것으로 보인다.
김 봉수는 임진왜란 당시 충남 해미로 이거하였으며, 7세 김 방, 김 역 형제는
임진왜란시 경북 상주 낙동면과 중동면에 이거하여 세거하였다.
7세 김 경원의 대 이후 연기군 전의면 일원, 김 후원의 대부터는 진천군 월촌면
일원, 김 충원의 대부터는 과천, 김 감의 대부터는 강원 양양군 토성면 일원으로
옮겨간 것으로 보인다.
7세 김 구의 대부터 공주에, 김 철원의 대부터 청주에, 김 인원의 대부터 결성에
터를 잡은것 같고, 김 육원은 병자호란을 만나 상주로 이거하였는데, 지금의 문경
군 삼남면 일원에서 세거하였다.
8세 김 의진의 대 이후는 양주군 화도면 일원에 터를 잡았고 김 수성 이후 청원군
에, 김 수겸 이후 홍천군에 옮겨 간 것 같다.
김 수준의 대 이후 보령군 웅천면에 이거한 것으로 보이며, 임진왜란때 김 수안,
김 수향 형제는 서산군 고북면으로, 김 기성은 평양으로 옮겨갔다.
8세 김 수익은 김포군에 터를 잡았다.
9세 김 남훈은 포천군수를 지낸 후 그곳에서 세거하였고, 김 남휘의 대 이후는
경북 경산 자인면에 터를 잡은 것으로 보인다.
김 남오는 황해도 수천으로 퇴거하였고 김 남석, 김 남창, 김 남일은 경북 예천일
원으로 옮겨 갔다.
9세 김남운은 화성군 송산면에, 김남주는 합천군 삼가면에, 김 남영은 춘천에 터
를 잡았다.
10세 김여진은 지금의 경북 상주군 공검면에 세거하였으며,
김 계진은 영풍군 순흥에 터를 잡았다.
김 준신은 아산군 신창면에, 김 리진은 횡성에 세거한 것으로 보인다.
11세 김 언성의 대 이후로 창원에 옮겨 간 듯하며 병자호란때 김 승신은 양양군
위산면에, 김 상신은 회양군 장양면에 이거하였다.
김 봉신은 장단군에 터를 잡았고, 김윤신은 예산군 대흥면에 세거한 것으로 보인다.
연기군 전의면에서 세거하던 김 명원의 후손들은 12세 이후로 파주군 교하면, 광타면 일원,
온양, 공주, 여주, 광주 등지로 세거지를 확대했으며, 김 수겸의 후손은
인제, 회양, 삼척등지 에도 터를 잡았다.
가문(家門)의 기백(氣魄)을 지킨 대표적인 인맥(人脈)을 살펴보면 영분공 명종(鳴
鍾)의 6세손 예겸(禮謙)이 고려 때 삼한벽상공신(三韓壁上功臣)으로 내중령(內中
令) 을 지냈고, 예겸의 손자(孫子) 의진(義珍)은 고려사학(私學)12공도(公徒)의 하
나인 양신공도(良愼公徒)를 육성하였으며 문종조(文宗朝)에는 참지정사(參知政事)
로 지공거(知貢擧)를 겸하여 인재등용에 공헌했다.
의진의 증손(曾孫) 영고(永固)는 무신의 난을 일으킨 정중부(鄭仲夫)와 이 의방(李
義方)을 제거하려 했던 인물이며, 영고(永固)의 아들 인경(仁鏡)은 문무겸재 (文武
兼才)의 현신(賢臣)으로 고종(高宗)때 조 충(趙 沖)과 함께 강동성(江東城)에서 거
란군 평정에 공(功)을 세우고 벼슬이 중서시랑평장사(中書侍郞平章事)에 이르렀으
며 시문(詩文)과 예서(隸書)로 명망이 높았다.
대안군(大安君) 은 열(殷說)의 8세손 봉모(鳳毛)는 외국어(外國語)에 능하여 사신
이 오면 관반사(館伴使 : 외국 사신을 접대하기 위하여 임시로 임명한 정 3품 벼
슬)로 천거되었으며, 나라의 큰 일에는 항상 전례(典禮)의 일을 맡아보았다.
봉모의 아들 태서(台瑞)는 고종(高宗) 때 한림학사(翰林學士)를 거쳐 문하시랑평장
사(門下侍郞平章事)에 이르렀고, 특히 그의 아들 약선(若先 : 공부 시랑), 기손(起
孫 : 평장사), 경손(慶孫 : 추밀원 부사) 3형제가 유명했다.
계대가 분명치 않은 김 순웅은 대장군을 역임하였으며, 그의 아들 인위(因渭)고려
현종의 장인인데, 평자사로 있다가 1024년(현종15) 딸이 덕비(德妃)로 책봉되자
상서좌복사, 참지정서, 주국, 경조현개국남이되고 이어 치사(致仕)했다.
김원종은 덕종 3년 감찰어사가 된 후 문종조에 어사대부, 동지추밀원사, 중추원
사, 문하시랑 동중서문하평장사, 상주국을 역임하고 1063년 수태위문하시중이 되
었다.
계림군 김 균은 고려말 밀직부사를 지냈고, 조선개국공신 3등이 되어 숭록대부,
의정부좌찬성을 역임하였으며, 후손이 경주김씨의 대표적인 일문을 이루고 있다.
판도판서(版圖判書) 장유(將有)의 후손에서는 정랑(正郞) 효정 (孝貞)의 아들인 조
선(朝鮮) 중종(中宗) 때의 명신(名臣) 정(淨)이 뛰어났다.
그는 조 광조(趙光祖)와 더불어 중종조(中宗朝)에 지치주의(至治主義)의 실현을 위
하여 혁신정치를 시도하다가 기묘사화(己卯士禍)가 일어나 서른 여섯 살의 아까운
나이에 졸하였다.
태사공(太師公) 인관(仁瓘)의 9세손 자수(自粹)는 고려 공민왕(恭愍王) 때 문과(文
科)에 장원급제하여 벼슬이 형조판서(刑曹判書)에 이르렀으나 고려가 망하자 망국
의 한(恨)을 안고 안동(安東)에 은거(隱居)하였다.
자수(自粹)의 9세손 홍익(弘翼)은 병자호란(丙子胡亂) 때 의병(義兵)을 일으켜 전
쟁에서 순절하였고, 아우 홍욱(弘郁)은 효종(孝宗) 때 황해도 관찰사(黃海道 觀察
使)로 있으면서 앞서 인조(仁祖) 때 사사(賜死)된 민희빈 강씨(姜氏)와 그녀의 어린
아들의 억울함을 상소하다가
효종(孝宗)의 노여움을 사 친국(親鞠)중에 장사(杖死) 되었다.
홍욱(弘郁)의 손자(孫子) 흥경(興慶)은 영조조(英祖朝)의 상신(相臣)이었고, 흥경의
아들 한신(漢藎)은 영조(英祖)의 부마(駙馬 : 영조의 딸 화순옹주와 혼인)이면서도
겨우 두 칸 집에 살면서 비단은 걸쳐 본 일도 없고 가마를 타는 법도 없이 청빈하
게 살다가 아들이 없어 형의 아들인 이주를 양자로 삼았다.
참찬(參贊) 이주의 손자인 정희(正喜)는 학문(學問)에 있어서 실사구시(實事求是)
를 주장하였고, 서예(書藝)에서는 독특한 추사체(秋史體)를 대성시켜 특히 예서(隸
書)와 행서(行書)에 새로운 경지를 이룩하였다.
그밖의 인물로는 호장(戶長) 위영(魏英)의 증손(曾孫) 부필(富弼) · 부일(富佾 : 수
태위를 역임) · 부식(富軾) · 부의(富儀 : 지추밀원사를 역임)가 유명했다.
고려 문종(文宗)과 의종대(毅宗代)에 걸쳐 문무(文武)를 겸한 명신(名臣)으로 유명
한 부식(富軾)은 인종(仁宗)이 즉위하자 왕실외척임을 빙자하여 권세를 쥐고 군신
의 예의에 벗어나는 행동을 일삼던 이자겸(李資謙)의 방자함을 충고하여 이를 시
정하게 하였고, 42년간 벼슬에 있으면서 훌륭한 업적을 많이 남겼다.
1145년(인종 23) 왕명(王命)을 받들어 우리나라 최초의 정사(正史)인 [삼국사기(三
國史記)] 50권을 완성하여 바치는 등 이름난 문장가(文章家)로 송(宋)나라에까지
명성을 떨쳤다.
이렇게 역사를 수(繡)놓은 경주 김씨(慶州金氏)는 한말(韓末)에 와서도 그 가통(家
統)을 이어 훌륭한 인재(人才)가 많이 배출되었다.
고종(高宗) 때 개성부 유수(開城府留守)를 지낸 영작(永爵)의 아들 홍집(弘集)은 한
말 외세와 개화의 부수 틈에서 처참하게 희생당한 인물(人物)이다.
예조 판서(禮曹判書) 정집(鼎集)의 아들 창희(昌熙)는 양관 대제학(兩館大提學)을
거쳐 한성부 판윤(漢城府判尹)에 올랐으며, 철희(喆熙)는 황주 목사(黃州牧使)로
재직중 1885년(고종 22)황해도(黃海道) 토산(兎山)에서 일어난 민란(民亂)을 진압
하여 승녕부 종장(承寧府 從長)을 지낸 춘희(春熙)와 자산으로 도서관(圖書館)을
설립한 인정(仁貞), 중국 원세개(袁世凱 : 중화민국의 초대 대통령)의 옥새를 새겼
던 서예고문(書藝顧問) 태석(台錫), 아악부원양성소(雅樂部員養成所)를 개설한 영
제(寧濟), 청성곡(淸聲曲)의 명수 계선(桂善) 등과 함께 명문(名門)의 전통(傳統)을
이었으며, 용원(庸源)과 도태(道泰)는 조국의 자유수호와 광복을 위하여 몸바쳐
헌신하였으므로 신라 왕성(新羅王姓)의 가통(家統)을 이었다.
'♣ 慶州金氏-桑村公派 ♣' 카테고리의 다른 글
慶州金氏 系派 (0) | 2013.11.30 |
---|---|
상촌선생의 생애와 사상 (0) | 2013.11.23 |
경주김씨의 분파 (0) | 2012.12.15 |
경주김씨 각파 행열도 (0) | 2012.12.14 |
경주김씨 뿌리알기 (0) | 2012.12.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