황강(수도)수도지맥은 백두대간 상의 대덕산 남쪽 전북 경북 경남 3도의 경계를 이루는 삼도봉
(초점산 1.244m)에서 남쪽으로 경북과 경남의 경계를 이루며 수도산(1.313m)을 세워놓고
단지봉(1326m) 용두암봉(1125m) 남산(1113m) 깃대봉(1086m) 작은가야산(1065m) 우두산(1046m)
비계산(1116m) 두무산(1036m) 오도산(1120m) 등 1000m 이상의 10개 봉우리와 그 아래 토곡산(664m)
만대산(688m) 노태산(498m) 시리봉(408m) 송등산(271m) 성산(206m) 을 거쳐 황강지류를 지나 낙동강으로
내려앉는 도상거리 약 105km의 낙동강과 황강을 가르는 산줄기를 일컫는데 수계를 기준으로 하는
대한산경표에서는 황강지맥이라고 부른다.
백두대간이 전북 무주군과 경북 김천시와 경남 거창군 등 삼도가 만나는 대덕산(1290.9m) 남쪽의
삼도봉(일명 초점산 1250m)에서 남쪽으로 300m쯤 떨어진 1180봉에서 남동쪽으로 분기해서
경상남.북 도계를 따라 봉산(902m), 수도산(1317m), 단지봉(1326.7m), 좌일곡령(1257.6m)을 지나
가야산을 목전에 두고 두리봉(1133m)에서 도계를 벗어나 남쪽으로 거창군과 합천군경계를 따라
남산(1113m), 마령(1006.5m), 우두산(의상봉 1046.2m), 비계산(1130m), 88고속도로,
두무산(1038.4m),오도산(1120m)등 1,000m이상의 장쾌한 능선이 60여km 이어진다.
오도산에서 거창군과는 작별을하고 온전한 합천땅으로 들어서며 고도를 낮춰 토곡산(644m)를 지나면
다시 경상남,북도계를 만나 고령군과 합천군계를 따라 만대산(688m), 시리봉(408m)을 지나
솜등산(271m)에 올라선 도계능선과는 작별을 하고 마지막 여력으로 필봉(330m), 부수봉(317m),
성산(205.7m)을 내려서며 그 맥을 다한다.
황강(수도)지맥 동북쪽으로 흐르는 감천(甘川)은 길이 69km, 유역면적 10만 ㎢로
수도산 북쪽에서 발원하여 김천시의 지명을 낳게 하고 김천시일대를 지나 구미시
선산읍 원리에서 낙동강으로 흘러든다.
황강(수도)지맥 동쪽내지 동남쪽으로 흐르는 회천(會川)은 길이 78km, 유역면적 78000㎢로
수도산 동쪽기슭에서 발원하여 대가천(大伽川)을 이루어 성주호에 들었다가 다시 동으로 흘러
고령읍에서 소가천(小伽川), 안림천(安林川과 합류하고 고령군 덕곡면 율지나루에서 낙동강에 흘러든다.
황강(수도)지맥 서쪽으로 흐르는 황강(黃江)은 길이 111km,유역면적 13만 ㎢로
남덕유산(1507m)동쪽 계곡에서 발원하여 동남쪽으로 흘러 합천호(陜川湖)에 들었다가
합천군 청덕면 적포리 일대에서 낙동강에 흘러들며 그 맥을 다한다.
수도지맥 중에서 제일 높은 산은 단지봉(1326.7m)이지만 지맥의 이름을 수도지맥으로 한 것은
아마도 수도산(修道山 1,317.1m)의 유명세일 듯 하고. 좌일곡령(座壹谷嶺 .1257.6m)은 일부지도가
좌대곡령(座臺谷嶺)으로 표기하고 있으나 壹(한일)자와 臺(돈대대)가 비슷하여 생긴 것으로 생각되며
국토지리정보원의 지도에는 좌일곡령(座壹谷嶺) 으로 표기되고 있다.
수도지맥은 도상거리 105.8km로 행정구역은
경북 김천시, 성주군, 고령군과 경남 거창군, 합천군을 지난다.
필요한 지도 :
1 : 25000. 대덕.웅양.가야.마상.구정.고령.쌍책.7매.
1 : 50000. 무풍.가야.합천.창령.4매.
황강(수도)지맥 개념도
황강(수도)지맥 지도(1)
황강(수도)지맥 지도(2)
황강(수도)지맥(3)
황강(수도)지맥 지도(4)
'기맥,지맥의 지도'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섬서(성지)지맥(聖地枝脈)의 개념도와 지도 (0) | 2013.10.07 |
---|---|
영평(명성)지맥 개념도와 지도 (0) | 2013.03.15 |
신천 (왕방)지맥, 소요분맥 개념도와 지도 (0) | 2013.02.16 |
청미(오갑)지맥, 국망분맥 개념도와 지도 (0) | 2012.12.05 |
경안(앵자)지맥의 개념와 지도 (0) | 2012.11.2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