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취나물의 종류와 효능
<취나물의 특징>학명은 Xanthium strumarium L.이다.취나물은 대부분 국화과(菊花科 Asteraceae)에 속한다.
취나물의 종류는 100여종인데 우리나라에는 60여종이 분포하는데 식용으로 가능한 것은 24종이라 하며
한국에서 주로 재배하는 취나물은 참취, 곰취, 각시취 등이 있다.
이중에서 참취와 곰취의 향기가 독특하며 수확량이 많기 때문에 농가에서 재배를 선호한다.
자연산 취나물은 보통 자연상태에서 30%정도 차광이 되는 시원한 반음지에서 잘자라고 부식질이
풍부하면서 습도유지가 잘되고 그러면서도 물 빠짐도 잘되는 토양에서 잘 자란다.
취나물은 맛과 향기가 뛰어나고 탄수화물, 비타민 A 등 다양한 영양분이 함유되어 있어 묵나물, 튀김,
부침용으로 이용되며 감기, 두통, 진통, 해독, 항암 등에 효과가 있어 한약재로도 이용된다.
취나물은 봄철에 생것으로 기타 계절엔 봄철에 수확한 생취를 삶아 말려 묵나물로 연중 먹을 수 있다.
취나물은 대개 뜯어서 말려두었다가 올해 또는 이듬해 봄에 먹는데 거기엔 이유가 있다.
취나물에는 수산이 많아 생것으로 먹으면 몸속의 칼슘과 결합하여 결석을 유발하기 때문이다.
하지만 수산은 열에 약하므로 끓는 물에 살짝 데치기만 해도 모두 분해되어 전혀 부작용이 없다고 한다.
<취나물 효능과 복용>
▶ 주요 성질과 성분 및 작용
① 당분과 단백질, 칼슘, 인, 철분, 나이아신, 비타민A,·B1,·B2 등이 풍부하게 함유된,
무기질의 보물창고로 봄철 나른해지기 쉬운 우리 몸에 원기와 활력을 불어넣어 준다.
② 비타민 A의 모체가 되는 카로틴과 비타민 B복합체가 있고, 칼슘과 철분 등을 비교적 골고루
가지고 있다. 취나물 중의 비타민C가 알코올 분해의 도움을 주며, 비타민 B2는 간의 해독작용을
도와주기도 한다.
③ 따뜻한 성질을 지닌 취나물은 혈액순환을 촉진시키고 근육이나 관절이 아플 때 통증을 가라앉히는
작용도 한다. 만성기관지염이나 인후염이 있는 경우엔 장복하면 치료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 효능
① 혈액순환을 촉진시키고, 근육이나 관절이 아플 때, 요통, 두통 등에 효과가 있다.
② 가래를 삭이고, 기침을 멈추게 하는 효과가 있다. ③ 만성기관지염이나 인후염이 있는 경우엔 장복하면 치료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 교사나 목사들처럼 말을 많이 해서 목이 자주 아프거나 목소리가 갈라질 때에도 효과적이다.
이때는 장복하는 것이 좋다.
- 나물로 만들어 먹거나 달여 마시면 되는데 취나물을 하루 5~20g당 200㏄의 물로 달이거나
가루로 빻아 복용하면 된다. ④ 변비가 심한 사람에게 좋다. ⑤ 취나물은 급성적인 질환보다 만성적인 질환에 효과적이다. ⑥ 숙취해소와 간의 해독작용을 한다.
⑦ 술 마실 때에는 안주로 취나물과 깨, 두부를 같이 먹으면 숙취 해소에 좋다. 취나물의 비타민C와
두부의 콜린, 참깨의 메티오닌 성분이 작용해서 간의 알코올 분해작용을 돕는 까닭이다.
⑧ 수험생에게 좋다. 뇌기능을 향상시켜주는 단백질과 무기질 및 비타민, 불포화지방산이 풍부하기
때문이다.
⑨ 당뇨병환자의 식사지침중의 하나로 취나물을 권한다. 공복시에 비교적 쉽게 먹을 수 있는
나물이기 때문이다. 성숙한 참취는 두통 및 현기증 약으로 쓰이며 가정에서도 하루에 5∼10g을
지속적으로 먹으면 당뇨병을 예방할 수 있다고 한다. ⑩ 봄철엔 춘곤증을 예방한다.
<대표적인 취나물의 종류 14가지>
1. 각시취
|
|
|
= 생육상태 : 국화과에 속한 여러해살이 풀.
= 성장환경 : 깊은 산, 높은 곳 음지에 자생한다. 참취와 비슷하여 착각할 정도로 잎이 넓고 몇가닥
나물잎대가 우뚝이 솟아 나온다. 나물로는 많이 알려지지 않은 나물이다. 키 50∼70cm = 채취시기 : 나물 채취 시기는 4월 말∼6월
= 요 리 : 묵나물
2. 곰취
|
|
|
= 과명속명 : 국화과, 곰취속 = 다른이름 : 호토질, 웅채(熊菜), 웅소나물, 태소 = 특 징 : 잎은 하트 모양이며 잎의 가장자리가 톱니모양이고, 가을에 노란 꽃이 핌. = 채취시기 : 5월초~중순 = 용 도 : 어린 잎은 식용, 뿌리는 약용(진정제, 진통제, 보익제) = 식용방법 : 생채 또는 데쳐서 쌈으로 먹으며 데치고 말려서 묵나물로 사용. = 개 화 기 : 7-8월 = 생육상태 : 여러해 살이 풀
= 성장환경 : 곰취는 산채류중세서 드물 게 날 것으로 먹을 수 있는 귀한 산나물의 하나이며,
전국에 걸쳐 깊은 산중의 나무 밑이나 습하고 비옥한 토지 및 산골짜기 등의 계곡에서 자란다.
= 요 리 : 쌈이나 고추장 무침, 튀김, 그 향이 아주 독특하여 인기가 있다. 묵나물로 말림, 냉동,
녹즙으로 사용한다. 잎이 넓고 건강식으로 선호되는 곰취는 채취량도 적을뿐더러, 가격도 비싸다.
= 효 능 : 한방에서는 호토질이라고 하며 진해, 거담 진통 활혈제로 쓰이고 있으며 미역취,
개미취, 참취 등도 건위, 이뇨제, 진해거담제 두통 및 현기증 치료제로 이용되며 한약제로
널리 쓰이고 있다.
* 곰취와 비슷한 동의나물(독초)
|
|
|
3. 단풍취
|
|
|
= 과명속명 : 국화과, 단풍취속
= 다른이름 : 개불딱취, 장이나물 = 특 징 : 키가 작고 잎은 원형에 가까우며 6개의 톱니가 있음. 잎에 작은 털이 많이남
= 채취시기 : 5월초~중순
= 용 도 : 어린 잎은 식용
= 식용방법 : 생채 또는 데쳐서 쌈으로 먹으며 데치고 말려서 묵나물로 사용
= 개 화 기 : 7-9월에 두상화서의 흰색 꽃이핌 = 생육상태 : 국화과에 속한 여러해 살이 풀.
= 성장환경 : 응달진 곳의 나무밑이나 그늘진 곳에 잘자람. 전국 산 그늘진 곳에 군락을 이룬다.
잎모양이 단풍나무 잎과 비슷하다 하여 단풍취. 4월말∼5월초 새순이 나올 때 모양이 게발과 같다 하여
게발딱지. 단풍취는 다른 나물에 비해 나물 따는 시기는 잎이 나옴과 동시에 10일이 지나면 억세져서
먹을 수가 없다. 가을에 흰 꽃이 피어 홀씨되어 날린다. 키 20∼ 40cm
= 요 리 : 어린 순을 따다가 회, 고추장 무침
4. 더덕취
|
|
|
= 생육상태 : 국화과에 속한 여러해살이 풀
= 특 징 : 참취보다 잎이 좁고 입자가 반질반질 하다.
= 성장환경 : 전국 산지의 습하고 그늘진 곳에서 자생한다. 4월 중순 새순이 나와 7월까지 나물로
따다 먹을 수 있다. 특히 나물향이 강하며 울릉도 특산물. 울릉도 온 산에 4계절 재배되어 서울 등
대도시로 출하되어 도시 사람들의 미각을 돋운다. 키 50∼ 60cm
= 요 리 : 쌈, 무즙, 볶음나물, 고추장 무침, 묵나물
'약초와 나물' 카테고리의 다른 글
봄나물 잘알고 먹기 (0) | 2013.04.27 |
---|---|
꾸준히 먹으면 좋은 가시오가피의 효능.| (0) | 2013.04.24 |
냉이의 종류와 효능 (0) | 2013.04.13 |
백하수오 (0) | 2013.04.06 |
산나물로 암을 정복 할수 있다 (0) | 2013.03.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