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범여(梵如)의 世上사는 이야기
일반 계시판

24절기중 망종의 뜻

by 범여(梵如) 2013. 6. 5.

 

 

정의

24절기 중 아홉 번째에 해당하는 절기.

소만(小滿)과 하지(夏至) 사이에 들며 음력 5월, 양력으로는 6월 5~6일 무렵이 된다.

태양의 황경이 75도에 달한 때이다.

 

망종이란 벼, 보리 같이 수염이 있는 까끄라기 곡식의 종자를 뿌려야 할 적당한

시기라는 뜻이다.

이 시기는 모내기와 보리베기에 알맞은 때이다.

그러므로 망종 무렵은 보리를 베고 논에 모를 심는 절후이다.

  

내용

 “보리는 망종 전에 베라.” 는 속담이 있다.

망종까지 보리를 모두 베어야 논에 벼도 심고 밭갈이도 하게 된다는 뜻이다.

망종을 넘기면 보리가 바람에 쓰러지는 수가 많으니 이를 경계하는 뜻도 담고 있다.

 

“보리는 익어서 먹게 되고, 볏모는 자라서 심게 되니 망종이요.”,

 “햇보리를 먹게 될 수 있다는 망종” 이라는 말도 있다.

아무튼 망종까지는 보리를 모두 베어야 빈터에 벼도 심고 밭갈이도 할 수 있다.

 

또 이 시기는 사마귀나 반딧불이 나타나기 시작하며, 매화가 열매 맺기 시작하는 때이다.

모내기와 보리베기가 겹치는 이 무렵에는 보리농사가 많은 남쪽일수록 더욱 바쁘다.

그래서 이때는 “발등에 오줌 싼다.” 라고 할 만큼 일년 중 제일 바쁜 시기이다.

비가 끊임없이 내리며, 농가는 모내기 준비로 바쁘다.


망종에는 ‘망종보기

’ 라 해서 망종이 일찍 들고 늦게 듦에 따라 그해 농사의 풍흉을 점친다.

음력 4월에 망종이 들면 보리농사가 잘 되어 빨리 거두어 들일 수 있으나,

5월에 들면 그해 보리농사가 늦게 되어 망종 내에 보리농사를 할 수 없게 된다.

 

곧, 망종이 일찍 들고 늦게 듦에 따라 그해의 보리수확이 늦고 빠름을 판단하는 것이다.

망종이 4월에 들면 보리의 서를 먹게 되고 5월에 들면 서를 못 먹는다.”고 하는 속담이 있다.

보리의 서를 먹는다는 말은, 그해 풋보리를 처음으로 먹기 시작한다는 뜻이다.

 

예전에는 양식이 부족해서 보리 익을 때를 기다리지 못하고 풋보리를 베어다 먹었다고 하니

그때의 삶을 엿보이게 한다. 그래서 망종 시기가 지나면 밭보리가 그 이상 익지를 않으므로

더 기다릴 필요 없이 무조건 눈 감고 베어야 한다는 것이다.

이와 관련하여 “보리는 망종 삼일 전까지 베라.” 는 말이 있다.

 

지역사례

 경남 도서 지역에서는 망종이 늦게 들어도 안 좋고 빠르게 들어도 안 좋으며

중간에 들어야 시절이 좋다고 한다.

특히 음력 4월 중순에 들어야 좋으며, 망종이 일찍 들면 보리농사에 좋고,

늦게 들면 나쁘다는 말도 있다.

 

부산 남구와 강서구 구랑동 압곡에서는 망종에 날씨가 궂거나 비가 오면 그해

풍년이 든다고 한다.

 

제주도에서는 망종날 풋보리 이삭을 뜯어서 손으로 비벼 보리알을 모은 뒤 솥에 볶아서

맷돌에 갈아 채로 쳐 그 보릿가루로 죽을 끓여 먹으면 여름에 보리밥을 먹고 배탈이 나지

않는다고 한다.

 

남 지역에서는 이날 ‘보리그스름(보리그을음)’ 이라 하여 풋보리를 베어다 그을음을

해서 먹으면 이듬해 보리농사가 풍년이 든다고 한다.

보리가 잘 여물어 그해 보리밥도 달게 먹을 수 있다고 한다.

 

또한, 이날 보리를 밤이슬에 맞혔다가 그 다음날 먹는 곳도 있다. 이렇게 하면

허리 아픈 데 약이 되고, 그해에 병이 없이 지낼 수 있다고 믿었다.

 

망종날 하늘에서 천둥이 치면 그해의 모든 일이 불길하다고 한다.

그러나 이날 우박이 내리면 시절이 좋다고 말하기도 한다.

 

전남과 충남, 제주도에서는 망종날 하늘에서 천둥이 요란하게 치면 그해 농사가 시원치

않고 불길하다고 한다.

오늘 양력 6월 5일 부터 계사년(癸巳年) 무오월(戊午月)이 시작 된다.

본격적으로 태양의 계절이 시작 되는 것이다.

 

지금까지는 따뜻한 열기로 대지를 따듯하게 데우는 역할을 하였으면 이제는

작열하는 태양의 힘을 우리 피부로도 느낄 수 있는 시간이기도 하다.

 

태양의 빛이 강열해지고 태양에 노출되면 화상을 입을 수도 있다.

식물은 태양아래서 꽃을 피우고 결실의 열매를 만들기 위한 준비를 한다.

여름의 열기를 맘껏 느낄 수 있는 달이기도 하다.

 

올해는 무오월(戊午月)이기에 태양과 대지가 하나가 되는 달이다.

무(戊)는 천간의 5번째로 토(土)에 해당하며 만물을 생산하고 씨앗을 품고

부화시키는 역할을 한다.

 

토는 어머니이자 만물의 보금자리이기도 하다.

어느 편에도 기울지 않고 아무런 불평 없이 묵묵히 자신의 일을 수행 하는 것

또한 토의 역할이다.

 

토는 생과 사를 초월하여 묵묵히 자신에게 들어온 것을 품어주고 기르며 자신의

역할을 다 하는 것이다.

 

이렇듯 자신의 역할에 충실한 무토를 하늘의 기운으로 삼고 오(午)열의 열정이

시작 되는 것이다.

 

오월에 해당하는 오(午)는 십이지지의 7번째로 말을 상징한다.

여름의 왕성한 기운을 나타내며 말이 달리는 활동성을 나타내듯이 빠르고 밝음의

대명사이기도 하다.

 

오월은 많은 것들을 펼쳐내어 보이며 노출되어 있기에 비밀이 없고 드러나거나 드러낸다.

대낮이기에 밝고 화려함의 대명사로 불리어 지며 적극적이며 활동적이기도 하다.

 

무오월(戊午月)인 이달은 계사년인 음의 기운으로 시작 하였으며 1년을 지배하고 있으니

물로서 불을 덮으려는 기운을 내재하고 있는데 무오월이 시작됨과 동시에 물의 기운을 멀리

달아나게 하여 덥고 무더운 날씨를 만들어 간다.

 

보리수확

 

망종까지는 보리를 베어야 논에 모도 심고, 밭을 갈아 콩도 심게 된다.
망종을 넘기면 모내기가 늦어지고, 바람에 보리가 넘어져 수확하기가 어려워진다.
특히 보리는 "씨 뿌릴 때는 백일, 거둘 때는 삼일" 이라 할 정도로 시간이 촉박했다.
 보리를 수확한 후에는 보리짚을 태워야 모내기 하기가 편리하며, 모를 심어도 빨리 뿌리가 활착하게 된다. 그래서 보리수확이 끝난 논마다 보리짚 태우는 연기로 장관을 이루게 된다.
농가에서는 이맘 때 쯤이면 보리수확과 모내기가 연 이어져 무척 바쁘게 된다.

이때의 바쁨을 일러 "발등에 오줌 싼다" 고 말한다.


망종때는 농사일이 끊이지 않고 연 이어져 일을 멈추는 것을 잊는다고
'망종(忘終)'이라고도 했다. 말 그대로 농번기의 최고 절정기인 것이다.
보리수확과 타작이 끝나는 망종때부터 모내기가 대대적으로 시작된다.  
 
보리타작
 특히 이모작을 하는 남부지방에서는 보리나 밀을 베랴, 논을 갈고 써래질하고 모를 심으랴, 눈코 뜰새없이 바쁘다. 이렇게 바쁘다 보니 자연 "불 때던 부지깽이도 거든다,
별보고 나가 별보고 들어온다."
말까지 생기게 되었다.
이때의 바쁨을 동시(童詩) '오뉴월'에서 이렇게 감칠맛 나게 표현했다.

 
엄마는 아침부터 밭에서 살고
아빠는 저녁까지 논에서 살고
아기는 저물도록 나가서 놀고
오뉴월 긴긴 해에 집이 비어서
더부살이 제비가 집을 봐주네
 
 
 
망종(芒種)/ 홍해리  


고향집 텃논에 개구리 떼 그득하것다.
울음소리 하늘까지 물기둥 솟구치것다.
종달새 둥지마다 보리 익어 향긋하것다.
들녘의 농부들도 눈코 뜰 새 없것다.
저녁이면 은은한 등불 빛이 정답것다.
서로들 곤비를 등에 지고 잠이 들것다.

'일반 계시판' 카테고리의 다른 글

오늘이 처서(處暑)인데  (0) 2013.08.23
三伏의 由來  (0) 2013.07.13
스승의날 유래와 의미  (0) 2013.05.15
만우절의 유래  (0) 2013.04.01
한국의 세시풍속[歲時風俗]   (0) 2013.02.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