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침반 보는 법
1. 독도의 필요성
가. 등산을 하는데 지도와 나침반이 없이 행동하는 것은 생각할 수 없다. 특히 등산을 계획하고 일정을 짜는 데에는
지도 없이는 불가능하다. 지도상에서 막영 할 곳을 정하고 등산루트를 세워야 한다.
나. 또한 등산하는 동안에도 계획된 코스를 거듭 대조하며 올라가야 한다. 산길은 꼭 정확하게 나타나 있는 법이 아니고
경우에 따라서는 기존의 산길을 벗어나 행동할 때도 있다. 그 밖에 산에서는 예기치 않는 기상변화에 부닥치게 된다.
짙은 안개가 끼어서 갈림길을 잃고 당연히 있어야 할 산길이 깊은 적설로 분간하기 어려울 때 지도는 지표를 가리켜
준다.
다. 따라서 지도는 계획에서부터 신중한 검토를 게을리 하지 말아야 하고 미리부터 지도 읽는 법을 익숙하게 알아 두어야
한다. 아무리 지도를 갖고 있다고 하더라도 자기의 위치를 지도에서 찾아내고 방위를 판정할 줄 모르면 지도는 무용
지물이 된다.
그러므로 지도와 나침반을 이용하여 방위 판정과 자기위치 확인을 정확히 할 수 있게 연습해 두어야 한다.
라. 독도법이란 이와 같이 지도를 관찰하여 자연경관과 인문현상을 정확히 판독할 수 있는 방법 이다.
2. 독도에 필요한 도구
지도, 나침반(Compass), 고도계(기압계 겸용), 곡선계, 만보계, 지도케이스, 연필, 지우개
3. 지도의 정의
가. 지도는 지구 표면의 일부 또는 전부를 일정한 비율로 축소하여 여러 가지 기호, 선, 색깔, 형태로서 평면상에 나타
낸 그림이다.
나. 지도는 우리에게 방향, 지형과 거리, 어떤 지형지물의 위치와 명칭, 그 밖의 다른 사항들을 세밀히 알려준다.
4. 등산에 있어 지도의 효용성
가. 등산계획의 수립 : Indoor Climbing
나. 안전하고 보람된 산행 : 자기위치 파악
다. 산행기록 정리
5. 등산에 필요한 지도
국립지리원 제작 지형도 및 등산용 지도/대상지와 산행목적에 따라 지도를 선택
가. 1/50,000 : 남한 전역 239매
나. 1/25,000 : 남한 전역 762매
6. 지도상의 거리와 실제거리
가. 축척 : 거리를 축소한 비율
나. 실제거리 = 지도상의 거리 × 축척의 분모
- 1/25,000 지도의 1cm는 실제거리 250m
- 1/50,000 지도의 1cm는 실제거리 500m
다. 그러나 이것은 평면상의 거리이므로 고도차와 루트의 굴곡이 고려되어야 한다.
라. 지도를 이용한 실제거리 측정법(대략적 계산임)
- 곡선계(곡선길이 측정), 커버미터(곡선길이 + 도상거리 자동환산) 또는 등산로에 실을 대어서 곡선의 길이 측정
(실의 신축성 때문에 실을 너무 당기면 정확한 도상거리 보다 길어질 수 있음)
- 이렇게 측정한 길이를 축척만큼 곱한다.
- 경사도를 감안하여 일정비율을 곱해준다.
* 도상거리 1km(1/25,000에서 4cm, 1/50,000에서 2cm)의 표고차가 100m이내일 때 : 실제거리는 도상거리와 거의
비슷한 1km
* 도상거리 1km간 표고차가 100~150m이내일 때 : 실제거리는 도상거리의 1.2배
* 도상거리 1km간 표고차가 150~200m이내일 때 : 실제거리는 도상거리의 1.5배
* 도상거리 1km간 표고차가 200~300m이내일 때 : 실제거리는 도상거리의 1.75배
* 도상거리 1km간 표고차가 300~400m이내일 때 : 실제거리는 도상거리의 2.5배
* 우리나라 산지의 능선의 경우는 도상거리 1km간 표고차가 대략 200m 안팎으로 간단히 1.5배를 곱하여 계산해도
크게 틀리지 않는다.
7. 지도에서의 색깔
가. 흑색 : 대다수의 문화적 또는 인공적 지물
나. 청색 : 호수, 강, 늪과 같은 배수 관계
다. 녹색 : 수림, 관수원 및 포도원 같은 식물 관계
라. 갈색 : 기복 및 고지
마. 적색 : 주요도로, 밀집된 건물, 지역 및 특수 지물
8. 등 고 선
가. 해수면(해발 0m)에서부터 수직으로 일정한 높이의 지점을 연결한 선(5m, 10m등의 일정한 간격)
나. 종류
|
구분 |
계곡선 |
주곡선 |
간곡선 |
조곡선 |
|
1/50,000 지도 |
100 m |
20 m |
10 m |
5 m |
|
1/25,000 지도 |
50 m |
10 m |
5 m |
2.5 m |
※ 5개의 등고선마다 계곡선(굵은 실선)이 그어지고, 그 높이가 등고선마다 표시됨
※ 주곡선의 간격이 0.2mm이하이면 주곡선을 생략한다. 즉경사도 64도 이상이면 등고선
으로 표현이 불가능하므로 특수기호로 표현한다.
다. 등고선의 원리
- 낮은 쪽으로 내민 것이 능선
- 높은 쪽으로 내민 것이 계곡
- 간격이 좁을수록 경사가 급함
- 간격이 넓을수록 경사가 완만

라 각종 지형표현
능선, 골짜기, 안부, 산꼭대기/특수지형(절벽, 바위, 오목지, 사태지역)

마. 응용지형도
- 채단식(단채식)지도
- 단채음영식 지도 : 평행광선이 북서방향에서 비친다는 가정 하에 작성된다.
- 개념도
* 능선 : 가장 높은 산봉우리부터, 위쪽이 굵게, 적색으로 그린다.
* 계곡 : 하류쪽부터, 아래쪽이 굵게, 청색으로 그린다./능선과 계곡은 겹치거나 만나면 안 된다.
9. 국립지리원 지형도 도식규정 중 지형도 표시대상 및 일반원칙
가. 지형도에 표시하는 대상들은 영속성이 있는 현존물들과 건설 중인 시설물로서 1년 이내에 완성 예정인 것을 대상으로 한다.
나. 대상물의 취사선택은 중요도 여부와 형태를 충분히 고려하여 중요도가 높은 것이 생략되지 않고 형태 표시는 실지와 상위한 표현이 되지
않도록 표시해야 한다.
다. 표시 대상물은 정사영(正射影)으로 표시하되 정사영으로 표시하기 곤란한 것은 정해진 기호에 의하여 표시한다.
라. 기호는 진위치(眞位置)에 표시해야 하며 평면 위치의 허용오차는 도상 0.5mm 이내로 하고, 부득이한 경우에는 1.2mm까지 이동할 수 있다.
10. 지형도 이용시 유의할 점
가. 지형도에는 생략, 과장이 있다
나. 나의사항숙지, “편집” 및 “수정” 날짜 확인(인쇄날짜가 아님)
다. 암벽, 암릉지대 표시미비
- 예 : 북한산 인수봉, 백운대, 만경대, 노적봉, 설악산 등
- 등산로 중간에 등고선이 유달리 조밀한 곳 : 암릉일 가능성
- 경험상의 암반지대 판단법 : 1/25,000 지형도에서 직선거리 2cm이내의 고도차가 200m이상 되는 곳(1/50,000 지형도에서 직선거리 1cm
이내의 고도차가 200m이상 되는 곳)
라. 등고선으로 표시되지 않는 지형
- 1/25,000 : 10m 미만
- 1/50,000 : 20m 미만
마. 무명 하천, 폭포 : 도식 규정상 하천의 표시는 도상길이 10mm미만과 평상시 유수 폭이 2m이하인 것은 용도상 중요한 것을 제외 하고는
생략할 수 있고 폭포는 높이 5m이상인 것은 표기하도록 되어 있으나 인적이 드문 산속에는 도상길이 10mm이상 되는 하천이나 높이
5m 이상의 폭포의 표기가 누락된 경우가 가끔 있다.
바. 삼각점의 높이가 반드시 최고봉은 아니다.
사. 인적이 드문 소로 : 지형도에는 표기되어 있으나 오랜 기간 사람이 다니지 않아 수풀에 묻혀버린 길이 종종 있다.
아. 지형지물의 오기, 누락, 틀린 위치 표기
자. 해발, 표고 : 큰 차이가 없으므로 같이 사용
※ 지형도가 이처럼 문제점이 많으므로 믿을만한 등산용 지도를 함께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 함.
11. 방 위

가. 도북 : 지도상의 북쪽, 실제 지구(지형)의 북쪽과 약간 차이가 있다
나. 자북 : 실제 지구(지형)의 북쪽이다. 캐나다 허드슨 만 북쪽 자북점.
매년 서편으로 1분(1/60)씩 이동/ 지도의 연도표시 주의
다. 진북 : 정말(?)로 북쪽이다. 북극성이 있는 방향이다.
라. 기본 편차각
- 도편각 : 진북과 도북이 이루는 각 (알 필요는 없음)
- 도자각 : 도북과 자북이 이루는 각(이 각을 무시하고 지도대로만 간다면, 결국 이 각 만큼 엉뚱한 곳으로 가게 됨)
도자각은 지구상의 지역마다 조금씩 다르며 지도상에 표기되어 있다.
※ 북한산이 6도, 설악산이 7도이다.
- 자편각 : 진북과 자북이 이루는 각
12. 나 침 반
가. 나침반의 유래
B.C 1,500년경 중국에서 자석이 쇠를 끌어당기는 것을 알고 있었던 것 같으나 북쪽을 가리키는 성질이 있음은 모르고 있는 듯 하다.
그 후 A.D 300년경 자석으로 자북성을 발견하고 이 무렵에 항해에도 사용했었던 것으로 추정된다.
나. 나침반의 기능
나침반의 기능에는 정확한 진행방향의 결정, 현재위치의 확인, 지형과 지도의 합치, 거리의 측정, 자북선 기입 등이 있다.
다. 나침반 사용상의 주의사항
나침반을 수평으로 유지하고 시계, 회중전등, 칼, 라디오, 무전기, 고압선 등 전기. 자기, 철물에서 떨어져서 사용해야 하며 직사광선에
장시간 노출은 금지하고 반드시 끈을 달아 휴대한다.
13. 나침반의 구조

①북방지시화살표 : 북방선이나 북방보조선은 방위각의 0도(N)에 맞춰져 있다. 나침반 조작 시
이 북방선이 지도상의 자북선과 일치되게 맞추어야 한다.
②자침 : 자침은 수평상태에서는 늘 붉은 쪽은 지구의 북쪽(N)을, 흰 쪽은 지구의 남쪽(S)을 가리킨다.
(지구 자체가 하나의 거대한 자석이며 자침의 붉은 쪽이 N극이다)
③센티자 : 지도상에서 두 지점간의 도상거리를 측정할 때 사용함.
④확대경 ⑤축척자
⑥진행선(진행화살표) : 목표지점으로 향할 방향을 알려주는 선이다
⑦기저판 : 나침반의 바탕
⑧다이얼 눈금 : 방위각(4방을 360도로 나눈 각도)을 나타내는 수치 正東은 90도 正南은 180도 正西는 270도 正北은360도(또는 0도)
⑨보조지시선 : 북방지시화살표와 평행하게 그어진 보조선
⑩나침반집 : 나침반이 들어있고, 북방선이 그려져 있으며 360도 자유롭게 회전된다.
⑪눈금테 : 다이얼과 함께 돌지 않으며 진행선과 같은 방향으로 일치되어 있다.
14. 자북선 표시법
가. 지도에 나타난 경선(세로줄)은 도북을 향한 방향이며 나침반의 북쪽(자북)은 여기에서 약간의 편차(우리나라는 서편각 5.5도~8.5도)가 난다.
나. 자북선 표시법
- 지도의 방위표에 표시된 도자각을 확인한다(서편각 6도의 경우)
- 나침반의 다이얼을 돌려 눈금테에 360도에서 5도를 뺀 354도에 고정한다.
- 북방지시화살표 또는 보조지시선과 도북선(경선)을 일치시킨다.
- 기저판의 긴변을 따라 직선을 그으면 되며, 이 자북선은 도북선의 왼쪽으로 도자각 만큼 기울어져 있다.
※ 지도를 구입한 후 미리 자북선을 그어야 하는데 보통 4cm 간격으로 평행을 이루는 자북선을 그어 놓으면 2만5천 지도의 경우 지도상의
4cm는 실제거리 1km이므로 거리 판단하는데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다.

15. 지도 정치(正置)
가. 지도를 정 위치에 놓는다 함은 “지도상의 바북선과 나침반ㅇ? 자침이 일치되도록 지도를 놓는 것”을 말한다. 지도를 볼 때는 실제
지형과 비교하면서 보게 되는데 이를 위해 지도 정치가 필요하게 된다.
나. 지도를 정치하는 방법은
- 먼저 나침반을 지도위에 수평하게 놓고
- 지도상의 자북선과 나침반의 북방지시화살표 또는 보조지시선이 북쪽으로 일치하도록 놓는다.
- 나침반과 함께 지도를 돌려 자침이 북쪽과 일치시킨다.
- 이렇게 자북선과 북방지시화살표, 자침의 붉은선이 모두 북쪽으로 일직선이 되면 지도가 정치된 것이다.
- 이때 주의할 것은 나침반 주위에 자석 등 나침반의 자성에 영향을 미치는 물체가 가까이 있으면 안된다는 점이다.
다. 이렇게 지도정치를 한 후 실제지형과 지도를 비교해 보면 지도상의 봉우리, 능선, 계곡 등이 실제지형의 방향대로 잘 표시되어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사실 독도를 하는데 있어 가장 많이 사용되는 것이 바로 이 지도정치 이다.

라. 목표물의 방위각 측정방법
- 똑바로 서서 나침반을 한손 위에 수평으로 올려놓고 살짝 쥔다
- 그 상태로 손을 명치부근에 갖다 대고 진행화살표가 목표물을 향하도록 한다.
- 나침반을 그대로 둔채 다이얼을 돌려 자침의 북쪽과 북방지시화살표를 일치시킨다.
- 도수선이 가리키는 다이얼 눈금이 목표물의 자북 방위각

16. 후방 교차법
지도상에서 현재의 위치를 모를 경우 2~3개의 이미 알고 있는 지형지물의 방위각 측정에 의해 현재의 위치를 찾아내는 방법
가. 지상의 2~3갱의 지형지물(A, B, C)을 찾아 지도상에 표시
나. A지점에 대한 방위각 측정
다. 정치된 지도를 수평으로 놓고 A지점에 나침반 기저판의 진행화살표쪽 긴변을 고정시킴
라. A지점을 긴변에 고정시킨채 나침반 전체를 돌려 자북선과 북방지시화살표가 평행이 되게 함(자침은 무시)
마. A점을 지나 기저판의 긴변을 따라 선을 그음
바. B점에서도 동일한 방법으로 함
사. A지점을 지나는 선과 B지점을 지나는 선의 교차점이 현 위치
아. C지점으로 그 교차점을 확인하여 일치하면 정확한 현재 자기 위치가 됨
17. 진행방향 측정 및 진행법
가. 목적지쪽이 진행화살표의 방향과 일치하게 목적지와 현재 위치를 기저판 긴변에 위치
나. 다이얼을 돌려 북방지시화살표(보조선)와 자북선을 평행이 되게 하면 눈금에 나타난 각도가 자북방위각(진행 방위각)
다. 나침반을 진행화살표가 전방이 되게 수평으로 든다.
라. 자침이 북쪽과 북방지시화살표가 일치되게 몸을 돌린다.
마. 진행화살표의 방향에 있는 목표로 간다.
18. 방향 유지법
가. 목적지와 현재 위치와의 거리 소요시간을 산출한다.
나. 목적지와 현재 위치를 그은 직선상에 찾기 쉬운 지형지물을 중간목표로 선정한다.
다. 각 중간목표와의 거리, 소요시간을 산출하여 중간목표지점을 거쳐 간다.
라. 장애물 우회시 방향 유지법
- 건너편이 보이는 장애물(호수, 경작지 등) : 건너편의 진향방향상의 뚜렷한 목표물을 설정하고 우회하여 그 위치
에서 출발점의 후퇴방위각을 측정하여 일치 되는가 본다.
- 건너편이 보이지 않는 장애물(밀림, 절벽 등) ; 90도 우회법으로 들어간다.
나침반은 여러 종류가 있어요.
1. 2. 3.

보통의 지도상에서 위쪽은 북쪽을 가리키고 아래쪽은 남쪽을 가리킵니다.
이와 같이 오른쪽과 왼쪽은 동쪽(E)과 서쪽(W)을 가리키구요.

1번은 우리가 많이 갖고 있는 나침반이구요
2번도 많이 갖고 있을 거에요
3번은 방향을 전문으로 보는 사람들이 갖고 다니는 거에요
1, 2번은 비슷하지만
1번은 회전링이 없는 것처럼 보이고
2번은 눈금을 돌릴 수 있는 회전링이 있어요
3번은 그냥 고정되어 있지요
그런데 1,2번과 3번이 좀 다르지요
1번과 2번의 E, W방향은 보통 지도상의 동쪽, 서쪽을 가리키지만
3번은 E(동쪽)와 W(서쪽)방향이 반대로 되어 있어요
처음부터 골치아프지 않으세요.
대충 이정도로만 하고 다음으로 넘어가지요.
도북(지형도상의 북쪽), 자북, 편차
북쪽은 두 종류가 있는데
1. 도북과
2. 자북 (지구<나침반>)의 자성이 북쪽을 가리키는 북쪽)이 있습니다
도북은 지리적으로 정의되고 지도상의 북쪽을 나타냅니다.
지도상의 수직선(경선)은 남북으로 연결된 방향을 나타내는데
이것은 나침반의 자침이 가리키는 자북과는 다른 방향을 나타냅니다.
자북은 전 세계의 각 위치마다 다르게 나타나고,
자북(극)은 도북과 근접해 있으나 일치하지는 않으며,
도북과 자북극의 차이를 편차라고 부릅니다
편차는 위치마다 다르고 지형도는 지역적인 편차가 얼마나 되는지 알려줍니다
(각 지형도면의 하단에 각도가 표시됨--우리나라는 6~7도 정도입니다)
편 차

나침반 사용하기
아래 그림은 나침반의 용어를 나타냅니다.

지난 번에 기록한 것을 잠깐 뒤돌아보면
‘우리가 나침반을 이용하는 것은
나침반의 북쪽자침은 항상 북쪽을 가리킨다는 사실을 이용하는 것입니다‘
라고 적은 것이 있을 거에요
- 아래 그림을 자침의 북쪽(붉은 것이 북쪽)이 지도상의 방향과 일치한다고
가정합니다
- 아래 그림은 내가 진행하는 방향에 따른 나침반의 방향을 나타냅니다.
1. 북쪽으로 진행할 때와
2. 동쪽으로 향한 것
3. 서쪽으로 향한 것입니다
3. 1. 2.

각 나침반의 자침은 공통적으로 한 곳(방향)을 가리킵니다.-----> 자북을 가리킵니다.

그런데 2번 나침반의 장축(나침반의 긴 방향)이 가리키는 방향(내가 진행할 방향)은
N과 E사이에 위치합니다. (자침의 북쪽은 고정입니다). 북동쪽 몇도쯤 되겠지요.
3번 나침반의 장축(나침반의 긴 방향)이 가리키는 방향(내가 진행할 방향)은
N과 W사이에 위치합니다. (이 때도 북쪽은 고정입니다). 북서쪽 몇도쯤 되겠지요
당연하겠지요. 고정된 나침반의 바늘에 대해 상대적으로 내가 어디로 움직였는가
하는 것이 관건이니까요
기준은 항상 나침반의 붉은 자침과 상부에 그려진 기준선(방향지시선-내가 진행할<하는>방향)
이 기준이 됩니다.
내가 진행하는 방향(기준선)이 북쪽 붉은 자침에 비해 오른쪽에 위치하느냐
왼쪽에 위치하느냐에 따라서 내가 현재 어디로 진행하는 것인지를 알겠지요.
목적물의 방향을 나타내는 방법
당신이 목표물을 볼 수 있다고 가정합니다
(현재의 위치를 알아야 함 -- 항상 나침반을 보유하고 있는 지점의 위치가
지도상에 어디에 위치하는지를 알아야 합니다 -- 그러니 항상 등고선에 유의해야 하지요)
예를 들어 목표물을 호수라고 가정합니다.
당신이 호수를 걸어가는 동안 내내 호수를 볼 수 있는 경우에는 문제가 되지 않습니다
그러나 호수로 가는 동안 숲을 지날 수도 있고 계곡을 지날 수도 있습니다.
그럴 경우엔 호수를 볼 수 없고 호수의 방향을 직접 볼 수 없습니다.
이럴 경우에 호수로 가기 위해서 나침반을 이용하게 되며 나침반은 매우 유용하게 이용됩니다
1) 당신의 나침반을 가슴이나 배 앞에 가능한 한 수평으로 놓고 호수의 방향으로 나침반내의
기준선(진행방향선)을 일치시킵니다
(이 때 나침반 주변에 자성을 띠는 물체가 있으면 오류가 발생합니다)

2) 나침반의 겉에 있는 회전링과 북방지시화살표를 자침의 북쪽으로 돌려서
북쪽 자침과 회전링의 북방지시화살표를 일치시킵니다.

3) 기준선과 회전링의 눈금을 일직선이 되도록 일치시켜 그 때의 눈금을 읽습니다.
목표물의 방향은 북쪽에서 동쪽으로 40도 방향입니다
4) 호수에 도착한 다음에 호수에서 저멀리 왼쪽에 가고자하는 펜션이 있다고 가정하지요.
- 호수에 도착해서 나침반의 회전링을 원위치시킨 다음
펜션을 향해서 나침반을 처음과 같은 방법으로 방향을 펜션향으로 고정시킵니다

처음과 같은 방법으로 회전링의 북방지시화살표를 돌려 자침과 일치시킵니다

펜션은 호수에서 북쪽을 기준으로 60도 서쪽(300도)방향에 위치합니다
도상에 보이는 목표물에 어떻게 도달할까(편차를 고려함)
도상에서 보이는 목표물을 찾기 위해서, 현재의 위치와 목표물의 방향과 자북을 알아야 합니다.
1) 지도를 펼치고, 도상에 각 지역마다 정해진 편차에 따라 자북선에 평행하게 선을 긋습니다. 선을 긋기 위해서 나침반의 옆면(장축선)을 이용합니다.
예를 들어, 편차가 서쪽으로 6도라면 360도에서 6도를 빼면 354도가 되는데 나침반내의 지시선과 자침을 354도에 일치시킵니다.

다음에 지도의 자북선(원래 그려진 경도가 아닌 354도의 자북선)을 나침반내의 지시선과 일치시키고 나침반의 측면을 이용하여 산행 예정지 부근에 일정한 간격(나침반의 폭정도)으로 여러 개의 자북선을 긋습니다. 이 때 회전링은 움직이지 않고 선을 긋습니다.

2) 현재의 위치와 도상의 목표물을 확인하고 도상에서 이들 두 위치 사이에 직선을 긋습니 다. 여기서 당신의 나침반을 목표물의 방향선(직선)상에 위치시킵니다.

3) 다음에 위 1)단계의 순서와 같이 회전링을 돌려 나침반의 자북선과 일치시킵니다.
(이 때 처음 셋팅시 제시한 354도 위치가 아니라 자침과 일치시킵니다 -- 왜나하면
나침반의 자침은 항상 자북을 가리키기 때문입니다. 진행방향에서 돌아왔다고 해서
자침의 방향이 변하는 것은 아니니까요)
지금 나침반은 목표물의 방향으로 셋팅되었습니다.

다음에, 나침반을 앞으로 잡고 눈금을 보면서 천천히 링의 북쪽이 나침반의 자침과 셋팅된 상태대로 유지시킵니다. 당신은 자연스럽게 목표물로 향하게 되었습니다. 이제 목표물에 도달하기까지 그 상태를 유지하면서 방향지시선을 따라 진행합니다. 처음 목표물에 이르면 최종목적지까지 이와같은 과정을 반복합니다. 걷는 동안 가끔 나침반을 보면서 방향을 수정해야 합니다. 그리고 가능한 한 목표물과 내가 직선을 이루도록 신경씁니다. 그리고 회전링은 움직이지 않도록 합니다.
어떻게 나침반의 축척으로 거리를 측정할까
암반등반시, 워킹시, 오리엔티어링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도면은 1/25,000이나 1/50,000입니다. 나침반에는 도면의 축척과 같은 축척이 표시된 것들이 있습니다. 이 경우 각각의 축척을 따로 계산하지 않더라도 나침반에 붙어있는 축척으로 간단히 거리를 잴 수 있습니다. 나침반은 cm로 되어 있는 것도 있으므로 자로도 이용 가능합니다.
당신이 현재 위치한 지점을 지도상에서 어떻게 찾을까
도상에서 두개의 특징적인 위치를 볼 수 있는 높은 임의의 지점에 당신을 위치시킵니다. 당신은 당신의 왼쪽에 위치한 산 A와 오른쪽에 위치한 호수 B를 볼 수 있습니다.
산 A를 향하여 기준선을 긋습니다. 그리고 회전링을 돌려 자침선과 셋팅한 다음 나침반의 눈금을 읽습니다. 도상에 나침반을 올려놓고 지도를 정치시킵니다. 이 상태를 유지시키면서 산 A와 나의 지점을 연결합니다. 다음에 호수 B를 향하여 이 과정을 반복하고 또 다른 선을 긋습니다. 이들 두 직선의 교차점은 도상에서의 당신의 위치가 됩니다.
자침이 항상 북쪽을 가리키므로 내가 가고자 하는 방향은 북쪽을 기준으로 몇도 동쪽인지 혹은 서쪽인지를 단시간에 알기 위하여, 전문적으로 나침반의 방향을 이용하는 사람들은 아래와 같이 일반나침반과는 다른 나침반을 사용합니다.
처음 그림으로 돌아가 볼까요
방향을 전문으로 보는 사람들은 나침반내의 방향을 원래 방향과는 반대로 그려놓은 것을 사용합니다

일반나침반의 방향과는 E W가 반대방향으로 쓰여 있지요
즉 동쪽에는 W로 서쪽에는 E로 쓰여 있습니다
이것은 나침반의 자침이 항상 북쪽을 가리키므로 N을 기준으로 내가 가는 방향(나침반의 방향)에 따라 단시간 내에 방향을 읽을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북쪽과 동쪽 사이 즉 북동쪽으로 간다면 그냥 읽으면 됩니다 . 40 E

또 북쪽과 서쪽 사이로 간다면 60W

그냥 읽으면 됩니다
이젠 아시겠지요
여러분이 갖고 계신 나침반이 무엇이건 간에
동쪽과 서쪽의 글자에 관계없이 위와 같이 글자(방향)가 반대방향으로 되어있다고
가정하고 읽어보세요
보다 빨리 내가 가고자 하는 방향을 읽을 수 있을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