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니산 [摩尼山]
높이 : 470m
위치 : 인천광역시 강화군 강화도
우리 민족의 시조 단군이 하늘에 제사를 지냈다는 참성단이 있고, 지금도 개천절에 제를 올리고, 전국체전의 성화를 이곳에서 채화한다. '77년에 국민관광지로 지정되었다. 마니산은 500m도 안되지만, 해발 0m에서 시작되므로 그렇게 만만치가 않다. 그러나 교통이 편리하고 주위에 유적지가 많아 탐방객들의 발길이 끊이지 않는 곳이다.
정상의 참성단(塹星檀, 468m)까지의 등산로가 계단길로 포장된 이후에는 노약자나 초심자들에게도 큰 인기를 모으고 있다. 계단길은 오르기가 만만치 않다. 오른쪽 능선따라 계단이 없는 단군로(길)가 있다. 이 등산로는 비교적 완만하다. 중간 정도와 참성단 바로 아래 다소 가파른 구간이 2군데 정도 있을 뿐이다.
마니산에는 고찰인 정수사 등이 있고 사계절을 통하여 변화무쌍하여 그윽하기로 저명할 뿐 아니라 가을철 강도팔경의 하나로 손꼽혀 자연경관이 기이하기로 이름 나 있다.
참성단이나 정상에 서면 강하 명물 염전, 서해바다, 영종도 주변 섬들이 시원하게 펼쳐진다. 마니산은 산과 바다를 동시에 즐길 수 있을 뿐 아니라 유적지도 둘러 볼 수 있는 문화역사 산행지이기도 하다.
볼거리
참성단(사적 136호), 삼량성(사적 130호), 정수사(보물 161호)
인기명산 [66위]
단군이 하늘에 제사를 지내던 참성단이 있고, 성화를 채화하는 마니산은 산과 바다를 동시에 즐길 수 있는 산행지로 사계절 두루 인기 있다.
산림청 선정 100대 명산
단군시조의 전설이 간직된 산으로 역사·문화적 가치 등을 고려하여 선정되었다. 사적 제136호인 참성단(塹星壇), 함허동천, 사적 제130호인 삼랑산성이 있음. 또한 많은 보물을 보존하고 있는 정수사(淨水寺) 및 전등사(傳燈寺)등이 있으며, 성화를 채화하는 장소이기도 하다
▶ 마니산의 개요
인천광역시 강화군 화도면 흥왕리에 있는 해발 469.4m의 마니산(摩尼山)은 강화도에서 가장 높은 산으로 1977년 3월 국민관광지로 지정되었다.
원래 '우두머리 산'이라는 뜻으로 마리산(摩利山) 또는 이를 한자로 풀이한 두악산(頭嶽山)이라 불렀다.
정상 북서쪽에는 참성단(塹星檀)이라는 하늘 제사 올리는 제단이 있고 전국체전 성화를 이곳에서 채화하는 등 성스러운 산으로 중시된다.
백두산과 한라산의 중간지점에 위치한다든지, 전국의 산 가운데서 가장 기(氣)가 센곳이라는 설 등 마니산이 지닌 신비로운 매력을
뒷바침하는 이야기들이 후세 사람들에 의해 덧붙여지지만,
이 산이 한국 사람들에게 지닌 이야기가 점점 더 크고 영험한 곳으로 발전해왔다.
마니산은 산세가 수려하고 산행내내 바다를 조망할 수 있고 수도권 가까이에 있어 많은 사람들의 사랑을 받고 있다.
마니산 주능선은 정상 서쪽 1.2km 떨어진 참성단을 중심으로 동쪽능선은 암릉, 서쪽능선은 부드러운 흙길로 되어 있다.
주능선이 암릉으로 되어 있어 등산의 묘미를 만끽할 수 있는데
동남쪽으로 가느다랗게 뻗은 능선을 따라 오르다 보면 그 시원한 조망에 가슴이 탁 트인다.
참성단 위에 오르면 동쪽으로 정상이 손에 잡힐듯 가깝게보이고,
남쪽 아래로는 푸른 물결리 넘실거리는 넓은 바다가 펼쳐지고, 동남쪽 멀리 인천시가지가 아득히 보인다.
억새와 철쭉이 장관을 이루는 서쪽능선에서는 멀리 임진강과 북녘땅을 볼 수 있다.
마니산을 오른 등산객들은 참성단에서 정수사까지 이어진 바윗길을 산행의 백미로 꼽는다.
정상 서쪽 기슭에는 신라 선덕여왕 8년(639년)에 창건했다는 정수사와 함허대사가 수도하였다는 함허동천이 자리잡고 있다.
함허동천에는 1백여m의 암반위로 물이 흐르고 암반에는 함허대사가 새겼다는 함허동천(涵虛洞天)이란 글자가 음각되어 있다.
동천이란 '구름 한점 없이 맑은 하늘에 잠겨 있는 곳'이라는 뜻으로 '하늘에 닿을 수 있는 길'을 의미한다.
그밖에도 많은 유적들이 산재해 있는 강화도 마니산은 유적답사를 겸한 산행지로 최적이다.
▶ 강화도 관광안내도
▶ 마니산 산행지도
이동 교통편 안내
시외버스
신촌터미널 →김포공항(송정역1번출구) →강화초지대교 →온수리(전등사) →화도터미널(마니산)
● 강화초지대교가 개통된 후 신촌시외버스터미널에서 마니산 북쪽 입구 근처의
화도터미널까지 버스노선이 새로 생겼습니다.
● 신촌터미널 ☎ 02-324-0611(2호선 신촌역 7번출구 200m)
화도터미널 ☎ 032-937-3645(마니산)
● 2003.11.20 현재 시간표
신촌발 : 06:40, 07:40, 08:40, 09:40, 10:40, 11:40, 12:40,
13:40,
화도발 : 06:50, 07:50, 09:00, 10:00, 11:00, 12:00, 13:00,
14:00,
관람정보
구분 |
개인 |
단체 |
대상 |
기타 |
어린이 |
500 |
300 |
7세이상 |
마니산관리사무소 ☎032-937-1624 2004.10.1 부터 유료화.
|
청소년 |
800 |
600 |
중,고,대학생,군인(사병) | |
어른 |
1500 |
1200 |
65세 미만 | |
노인 |
무료 |
무료 |
65세 이상 |
원점 회귀 등산로
● 마니산국민관광단지↔계단길 또는 단군로↔참성단까지 왕복.
왕복 약 4.8km, 2시간 30분 ~ 3시간 정도 소요됨. 매표소에서 교회가 있는
계단길의 계단이 시작되는 곳 까지는 준비없이 오를 수 있는 포장된 산책로이고,
가을철 단풍이 좋은 구간이다.
계단길이 시작되는 부분에서 계단길로 오를때에는 이후 에는 식수가 없으므로
이곳 음료수대에서 식수를 보충해야 한다.
계단길로 내려오면 무릎에 무리를 주기 때문에 올라갈 때는 계단길(918계단)로,
내려올 때는 단군로를 이용할 것을 추천한다.
단군로를 이용하여 하산할 때에는 참성단 조금 아래부터 밧줄이 있는 급경사가
있다. 도중에 약수터로 가는 갈림길이 있고, 이곳 부터는 경사가 급하지 않은
능선길이 계속된다. 단군로와 선수로가 갈라지는 이정표 있는 곳까지 가서
단군로로 접어들면 된다.
● 함허동천↔마니산 정상↔정수사방향 바위 능선길↔함허동천
왕복 2시간 정도 소요된다. 함허동천에서 출발하여 함허정을 지나 능선을 따라
마니산 정상에 이르는 길을 올라가는 것이 좋다. 올라갈 때는 마니산 정상
동쪽 능선 끝 가까이 에서 경사가 급한 부분이 있지만, 초등학생도 잘 올라간다.
내려갈 때에는 정수사쪽 바위능선길을 따라서 내려가는데, 기술을 필요한 부분은
없으나 절벽이므로 조심해야 한다. 고소공포증이 있는 사람은 우회로를
이용하는 것이 좋다.
정수사와 함허동천 이정표에서 함허동천 방향으로 하산해도 되며, 정수사를 거쳐
포장도로를 따라 내려가다가 초소에서 계곡길을 따라 내려가면 함허동천이 나온다.
정수사 쪽 바위능선길을 좋아하는 사람들은 바위능선길로 오르내리기도 한다.
● 마니산국민관광단지↔계단길 또는 단군로↔참성단↔함허동천 또는 정수사
편도 약 5.1km, 3시간 30분 ~ 4시간 정도 소요됨. 함허동천에서는 야영할 수 있고,
● 함허동천 또는 정수사에서 출발하여 참성단을 거쳐 선수포구에 이르는 길.
편도 약 8.5km, 4~5시간 소요. 선수포구쪽으로 하산할 경우 참성단에서 마니산
남북관통로 까지 내려가는 길이 경사가 급한 내리막길이 몇 곳 있다.
그러나 관통로에서 첫 봉우리까지 급경사 오르막길(약 8분)을 제외하면 급하지 않은
능선길 이어서 선수포구까지는 1시간 10분이면 이동할 수 있다. 선수포구 도착
선수포구 횟집촌에서 맛있는 해산물을 맛볼 수 있고, 해수 사우나를 즐길 수 있다.
선수포구에서 오를 때에는 송강돈대(선수돈대)까지 처음 10분 동안 경사가 급하고,
이후 마니산 관통로까지는 능선길로 어렵지 않아 1시간10분 정도 소요된다.
마니산 관통로에서 참성단까지는 지도상 거리는 짧지만, 경사가 급한 곳이 많아
1시간 40분 정도 소요된다.
시간이 오래 소요되고, 특히 선수로와 단군로가 갈라지는 곳 부터 선수포구까지
등산객이 거의 없기 때문에 초보자들은 지루하여 권하지 않는다.
산불방지기간에 폐쇄하는 것이 보통이므로 마니산관리사무소(☎032-937-1624)에
문의하여 계획을 짜는 것이 좋다.
능선길
● 참성단↔마니산정상 능선길
참성단 동쪽의 헬기장 넘어로 멀리 보이는 봉우리가 참성단보다 4.6m 높은
마니산 정상이다. 이 능선길은 바위 능선으로 되어 있는데,절벽인 곳에서는
조심해야 한다.(추락사고 주의) 헬기장에서 동쪽으로 이동하면 길 왼쪽에
참성단중수비가 있다.
마니산 정상에는 삼각점이 있는데 다른 곳들과는 달리 바위에 새겨져 있다.
30분 정도 소요된다.
● 마니산 정상↔정수사 능선길
마니산 정상↔정수사 능선길은 바위능선길로 이곳이 마니산에서 가장 멋진 구간이다.
바위능선길은 모두 우회할 수 있는 길이 있는데, 조심하면 초보자도 바위능선길을
지날 수 있다. 위험표지가 있는 곳은 주의해서 지나야 한다.
(추락사고 주의, 고소공포증이 있는 사람은 지나기 어렵다.) 겨울철에 바위에 눈이 있을
경우에는 우회하는 것이 안전하다. 마니산 정상에서 정수사 쪽으로 내려갈 때 능선 끝에서
하산로로 2m 또는 10m 정도 내려가서 오른쪽 길로 들어서면 바위능선길이고,
10m 정도 더 내려가서 함허동천, 정수사 이정표가 있는 곳에서 정수사 방향으로 가면
우회로이다.
'♣ 100대 명산 자료 ♣' 카테고리의 다른 글
대암산 [大巖山] 자료 (0) | 2014.09.03 |
---|---|
100대 명산 위치도 (0) | 2014.09.01 |
운악산의 개요와 지도&교통편 (0) | 2013.10.05 |
입장객 순위로 본 인기100대 명산 (0) | 2013.10.05 |
100대 산림청 선정 산 (0) | 2012.06.0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