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명: Albizia julibrissin Durazz.
이명: 합환목(合歡木)·합혼수(合婚樹)·야합수(夜合樹)·유정수(有情樹)/영명: Mimosa Tree
원산지: 한국 /꽃말 : 가슴의 두근거림, 환희
붕류 : 콩목 콩과 자귀나무속 /분포: 아시아/서식: 산, 들/크기: 약 3.0m~5.0m
콩과(─科 Fabaceae)에 속하는 관목으로 키는 3~5m 정도 자란다.
가지는 드문드문 옆으로 길게 퍼진다. 잎은 깃털 모양의 겹잎으로 어긋나는데, 길이가 6~15m인
잔잎은 낫 같은 모양의 비대칭이며 원줄기를 향해 굽는다. 꽃은 양성으로 7월에 새 가지 끝에서
길이가 5㎝ 정도의 꽃대가 나와 피는데, 15~20개의 꽃들이 산형(傘形)꽃차례를 이루며 핀다.
꽃받침은 불분명하게 5개로 갈라지며, 종(鐘) 모양의 꽃부리[花冠]는 길이가 6㎜ 정도이며 5개로 갈라진다.
길이가 3㎝로 꽃잎보다 긴 수술이 25개 정도 달리는데 끝부분은 홍색, 밑부분은 흰색이다.
열매는 9~10월에 익으며, 길이가 12㎝ 정도인 납작한 모양의 꼬투리에는 5~6개의 씨가 들어 있고, 이듬해까지 그대로 달려 있다.
외국에서 도입되었으며 주로 황해도 이남의 따뜻한 곳에서 자란다. 넓게 퍼진 가지 때문에 나무의 모양이 풍성하게
보이고 특히 꽃이 활짝 피었을 때는 술 모양으로 매우 아름다워 정원수로 많이 심는다.
잎은 낮에는 옆으로 퍼지나, 밤이나 흐린 날에는 접힌다. 자귀나무라는 이름의 유래는 확실하지 않지만
밤에 잎이 접혀져 마치 자는 듯한 느낌을 주어서 잠자는 데 귀신 같다는 의미가 내포된 것이 아닌가 생각된다.
자귀나무의 한자 이름은 모두 비슷한 뜻의 합환목(合歡木)·합혼수(合婚樹)·야합수(夜合樹)·유정수(有情樹) 등으로
예전에는 부부의 금실을 위해서 이 나무를 집안에 심었다. 본 종(種)과 비슷한 식물로는 목포 유달산을 비롯하여
그 근처에서 자라는 한국 특산종인 왕자귀나무(A. coreana)가 있는데, 이는 자귀나무에 비해 잎이 훨씬 크고
수술이 많으며 꽃이 보다 흰 것이 특징이다.
'야생화 자료'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석잠풀(Stachys japonica Miq.) (0) | 2012.07.03 |
---|---|
초롱꽃 (0) | 2012.06.25 |
기생초 (학명: Coreopsis tinctoria Nutt.) (0) | 2012.06.20 |
향유 [Elsholtzia ciliata, 香薷] (0) | 2012.06.20 |
나리 [lily] (0) | 2012.06.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