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산줄기이야기(영산기맥편)
아래 수체계도를 보면
영산기맥은 1기맥 6지맥 1분맥 26단맥 34개산줄기 약897km로 이루어진 것을 알수 있다
소계 34 | 6 | 1 | 26 | 897.0 | |||
내장산 새재 북측 |
영산기맥 | 160 | 정읍 | ● | |||
시루봉 | 영산성미단맥01 | 23.3 | 장성 | ||||
방장산 | 영산변산지맥01 | 63.6 | 고창 | ● | |||
소갈재 북측 | 영산변산두승분맥01 | 38.1 | 정읍 | ● | |||
밤고개 북측 | 영산변산두승성내단맥02 | 11 | 고창 | ||||
두승산 | 영산변산두승동소단맥03 | 14.4 | 정읍 | ||||
천태산 | 정읍 | ● | |||||
백산 | 부안 | ● | |||||
정읍시 백산면 금판리 고부천과 동진강 합수점終 약38.1km |
정읍 | ● | |||||
유정재 동남측 | 영산변산베메단맥04 | 22.5 | 부안 | ||||
상여봉 북측 | 영산변산울금단맥05 | 17 | 부안 | ● | |||
망포대 남측 | 영산변산닭이단맥06 | 12.7 | 부안 | ||||
쌍선봉 | 부안 | ● | |||||
부안군 변산면 대항리 해창마을 서해 終 63.6km |
부안 | ● | |||||
방문산 | 영산소요단맥07 | 24.2 | 고창 | ||||
문수산 | 영산필암단맥08 | 11 | 장성 | ||||
살우치 서남측 |
영산수련단맥09 | 26.6 | 장성 | ● | |||
구황산 동측 | 영산소시랑단맥10 | 15 | 고창 | ||||
구황산 | 영산선운지맥02 | 33.8 | 고창 | ● | |||
과치 동남측 | 영산선운초포단맥11 | 20 | 고창 | ||||
무장읍성 서남측 | 영산선운송림단맥12 | 19.2 | 고창 | ||||
장사산→영산선운송림봉대단맥13 | 14.5 | 고창 | |||||
선운산 | 고창 | ● | |||||
고창군 심원면 용기리 꿩치 주진천과 서해 합수점 終 33.8km |
● | ||||||
고산 서남측 | 영산채동단맥14 | 17.7 | 고창 | ||||
고성산 | 영산팔암단맥15 | 15.2 | 장성 | ||||
태청산 | 영산나주(금성)지맥03 | 43.6 | 장성 | ● | |||
가암산 동남측 | 영산나주복룡단맥16 | 15.4 | 광주 | ||||
희지치→영산나주복룡노안단맥17 | 12.5 | 광주 | |||||
망산 남측 | 영산나주백룡단맥18 | 23 | 나주 | ||||
대오리골재 남측 |
영산나주신걸단맥19 | 10.5 | 나주 | ||||
금성산 | 나주 | ● | |||||
별봉산 | 나주 | ● | |||||
나주시 삼영동 택촌 영산강변 終 43.6km |
● | ||||||
장암산 | 영산영광(장암)지맥04 | 35 | 영광 | ● | |||
봉화령 | 영광 | ● | |||||
영광군 백수읍 구수리 와탄천과 서해 합수점 終 35km |
● | ||||||
모악산 용봉 | 영산철성지맥05 | 31.6 | 함평 | ● | |||
복산도로 서북측 |
영산철성고산단맥20 | 12.7 | 함평 | ||||
철성산 | 함평 | ● | |||||
함평군 학교면 곡창리 사포 함평천과 영산강 합수점 終 31.6km |
● | ||||||
모악산 서남측 |
영산용성단맥21 | 11.6 | 함평 | ||||
군유산 | 영산상치단맥22 | 22.3 | 함평 | ||||
감방산 | 영산엄다단맥23 | 10.3 | 함평 | ||||
병산 북측 | 영산해제지맥06 | 54 | 무안 | ● | |||
현경고교 | 영산해제운남단맥24 | 16.2 | 무안 | ||||
검무산 | 무안 | ● | |||||
이성산 | 무안 | ● | |||||
봉대산 | 무안 | ● | |||||
천마산 | 무안 | ● | |||||
대월산 | 무안 | ● | |||||
한봉산 | 신안 | ● | |||||
중매산 | 신안 | ● | |||||
꽃봉산 | 신안 | ● | |||||
삼암봉 | 신안 | ● | |||||
신안군 지도읍 감정리 점암마을 서해 바다 終 54km |
신안 | ● | |||||
구리재 남측 | 영산망모단맥25 | 22.5 | 무안 | ||||
사자바위산 북측 | 영산상욕단맥26 | 16 | 무안 | ||||
유달산 | 목포 | ● | |||||
목포시 온금동 다순금마을 영산강 서해 합수점 終160km | ● |
영산기맥
종주에 필요한 5만분의1 지형도 도엽명 :
담양, 고창, 나주, 와도, 목포, 정읍(참고도면)
백두대간이 영취산에서 금남호남정맥을 분기하고 주화산에서 금남정맥과 호남정맥이 분기되어 호남정맥이
남으로남으로 달리다가 내장산에서 또 한줄기를 내어 전라남도와 북도의 경계선을 그리며 서진하다가
고창 방장산 벽오봉에서 남진하여 서해안을 따라 줄기차게 남으로 흐르다가 목포 유달산에서 삼학도를
바라보며 끝이나는 약160km를 이름하며 영산강의 북쪽 서쪽 울타리를 이룬다
주요산과 고개로는
장성새재, 입암산, 갓바위, 노령, 방장산, 양고살재, 솔재, 문수산, 서우치, 살우치, 구황산, 무금치(암치재), 고산,
가래재, 고성산, 깃재, 월랑산, 몰치재, 태청산, 마치, 장암산, 연정재, 뱃재, 선치(밀재), 불갑산,
구수재, 모악산, 노은재, 지경고개, 구봉산, 군유산, 해인마을, 노승산, 건김재, 발봉산,
신광터널, 감방산, 병산, 남산, 연증산어깨, 대치령, 마협봉, 구리재, 구리봉,승달산, 국사봉, 대봉산, 지적산,
대박산, 양을산, 유달산 아리랑고개 등이 있다
정확한 분기점은
호남정맥 내장산 신선봉 지나 소죽엄재로 내려섰다 순창새재 가기 직전 무명봉에서 서쪽으로 흐른
산줄기를 타야 제대로 기맥을 찾았다고 할 수 있다
그곳엔 산선배 박성태님의 영산기맥 설명문을 코팅하여 나무에 묶어 놓았다
01. 영산성미단맥
종주에 필요한 5만분의1 지형도 도엽명 : 담양
호남고속도로를 따라 남진을 하며 정읍을 지나 노령터널을 빠져나가면서 좌측으로 바위병풍을 둘러친
예사롭지 않은 산줄기가 한동안 계속되며 산줄기를 좋아하는 산꾼의 마음을 설레게 하곤 하는
멋들어진 산줄기가 하나 있으니
그 산줄기의 흐름을 따라가보면
영산북기맥이 호남정맥 내장산에서 서쪽으로 분기하여 입암산 지나 장성갈재로 내려서기전 등고선상 630봉에서
영산북기맥은 장성갈재를 향하여 서진하고 한줄기가 동남쪽으로 분기하여 장성군 북하면과 북이면의
경계를 따라 △562.2봉(2)-1번국도 고갯마루(170, 4.7/6.7)에서부터 바다같이 너른 장성호수 서쪽 산줄기를
따라 대체적으로 남진을 한다
△215봉-임도(170)-月峰산(290, 1.3/8)-수리재 임도(130, 2.5/10.5)-
成美산(△383, 1/11.5)에서 북일면과 장성읍의 경계를 따라 검바위재 호남고속도로 898번지방도로
(110, 3.2/14.7)-九峰산(△308, 1.5/16.2)에서 장성호수를 지나 황룡강을 따라 장성읍내로 들어간다
장동촌임도(130, 3.8/20)-△127.8봉(1.5/21.5)-호남선 철로 지나 방장산이 발원지인 개천이 내장산이 발원지인
황룡강과 만나 황룡강물이 되는 장성읍 장안리(50, 1.8/23.3)에서 끝이나는 약23.3km의 산줄기가 이름이 없어
그 산줄기중 이름이 있는 산으로 제일 높은 성미산의 이름을 차용하여 영산기맥에서 분기하였으므로
영산성미단맥이라 부르기로 한다
01. 영산변산지맥
종주에 필요한 50000분의1 지형도 도엽명: 고창 담양 부안 참고도면(위도, 정읍)
백두대간이 영취산에서 호남정맥을 분기하고 호남정맥 내장산에서 영산북기맥을 분기해 입암산 갓바위
노령 장성갈재 지나 전라남북도를 가르며 흐르다 첫 번째 방장산에서 영산북기맥은 서남 방향으로
유달산을 향해 계속 전라남북도를 가르며 흐르고 이 방장산에서 정북쪽으로 뻗은 산줄기가 하나
더 있으니 바로 변산국립공원으로 내달리는 산줄기이다
산줄기의 흐름을 살펴보면
고창군과 정읍시의 경계능선을 형성하고 있는 방장산 소갈재 347봉 지나 한껏 고도를 낮추어 온전한
고창군 신림면내로 들어가 비산비야 구간을 지나가게 되는데 월계재 234봉 708번지방도로 송촌리
법지리 흥덕리 109봉(배풍산) 신기삼거리 이후 23번국도를 따라 신덕삼거리 지나 고속도로에서
23번국도를 비켜나 화전마을 장동육교 연중 707번지방도로 사창사거리까지의 구간이 바로 거기에 해당된다
이 산줄기는 서해로 빠지는 작은 물줄기와 고부천과 동진강을 가르는 중요한 역할을 한다
혹자는 변산을 독립된 산군이라 하나 인위적인 물길을 만들어 섬이 되었을 때의 이야기이다 혹 그렇더라도
그것은 인위적으로 산줄기를 끊어버린 것이지 본래의 자연적인 산줄기의 흐름은 아닌 것이다
이 사창에서부터 본격적인 변산국립공원내로 들어가며 능선은 전체적으로 서진을 한다
그 줄기를 따라 가보면
사창재 상여봉 바드재 옥녀봉 매봉갈림봉 세봉 관음봉 재백이고개 대소재 309봉 신산봉(신선대)
북재 망포대 492봉에서 북동진하여 북재 분초대 낙조대 이후 대체적으로 북진을 하여
남여치 310봉 330봉 대항재 석포저수지(부안호) 물이 바다로 빠지는 30번 국도상 변산교에서
(도면상 해창선착장이라 표기된 곳) 그 끝을 바다에 담그는 약63.6km의 산줄기를 나는 영산변산지맥이라고
이름지어 본다
물론 격포항 북쪽에 있는 침식해안의 절경인 채석강이 있는 닭이봉으로 마루금을 그어 볼 수도 있으나
어느 것이 맞는다고 단정 할 수는 없다
단지 나는 뚜렷한 산줄기를 형성하고 있는 변산교까지로 마루금을 그어본 것에 불과할 뿐이다
다만 채석강 닭이봉으로 연결되는 산줄기는 극히 미약하여 바닷가 해안선이 조금 올라온 부분에
불과하기 때문이라고 나름대로의 의견을 갖고 있다
중요한 것은 변산의 최고봉인 의상봉(도면상 崎上峰)이 주능선상에 비켜 있다는 점이다 이 산줄기도
지맥을 끝내고 올라볼 요량이다
왜냐하면 우리의 선각자인 여러 선지자들의 수행 장소로 사용된 민족의 얼이 뭉쳐있는 개암사 울금바위
부사의방이 여기에 있고 삼국시대에 축조했을 주유(우금 또는 울금)산성이 바로 이 산줄기에 있기 때문이다
여기서 그 산줄기가 중요한 의미를 갖고 있는 내용을 잠시 살펴보고자 한다
변산 부사의방(不思義房) 아랫마을에서 태어나 부사의방이 있는 개암사에 입산하여 승려가 된 후
부사의방을 찾아가 구도하여 우리 민족사의 대예언서인 정감록을 판독하여 현대의 지성에게 열어보인
정다운 스님의 정감록 해설에 의하면
정감록은 단기3085(서기 752)년 3월 15일 진표율사가 부사의방에서 미륵불을 만나 최초로 정감록을
예언 받아 비밀리에 전수되어 오면서 신라 소멸 고려 창업을 위시한 왜정시대와 해방 그리고 남북분단
등을 예언하여 적중한 우리 민족사의 대예언서이며 길지와 도읍지 등을 예언한 천문지리서이다
그 대의를 요약하면 천시론 지리론 인물론 방법론 말속론 새 시대가 전개될 시기를 감지하고 있는 청구비결이 있다
우리가 흔히 접할 수는 없으나 어디서 한번은 들어본 듯한 도선비결 무학비결 서산대사비결 토정비결
남격암산수십승보길지지 등도 이 정감록의 극히 일부를 차지할 뿐이다
이러한 예언들을 무조건 비과학이니 미신이니 하여 무시할 것이 아니라 옛 성현들의 지혜를 이해하고
현실과 미래를 대처하는 것이 현재 우리가 하여야 할 일일 것이다
예수 석가 마호멧 등 성현들이 태어나거나 많은 활동을 한 지역을 성역이라 하여 지금도
성지 순례 등을 통하여 신성시하고 있지 아니한가
그러한 맥락으로 보았을 땐 이곳 부안땅도 성역지임이 분명하다
이러한 민족의 대예언서가 잉태된 산줄기이니 그 어찌 중요하지 않을 수 있는가
그리고 그끝은 사창재-341봉-우금암-주유산성-우슬재-261봉-쇠뿔바위-의상봉 지나 지맥의 끝인
묵정마을 변산교 건너편 해창산 밑 해창마을 도면상 해창선착장이 되며 석포(부안)호를 가운데 두고
원을 그리며 다시 변산교에서 만나 물꼬를 바다로 트고 있는 것이다
바로 이곳이 새만금간척사업의 현장이며 오래전부터 뜻있는 선각자와 주민 및 환경단체에서
우리는 미래세대로부터 이 자연을 잠시 빌려쓰고 있는 것에 불과할 뿐이니 잘 보존하여
후세에 물려주어야 한다는 당위성을 주장하면서 지금도 불철주야 몸을 던져 힘든 겨루기를 하고 있는 곳이다
녹색친구들 간사인 조태경님께서 바로 이 곳 국립공원 해창산이 바다를 메우기 위해 해체되는 것을
막기 위하여 절벽에 밧줄을 걸고 단식투쟁에 들어갔던 곳이기도 하다 조간사님 수고 많이 하셨습니다
그러나 이러한 다수의 마음들을 헤아리지 못하고 지금도 공사가 계속되고 있는 것으로 알고 있다 가슴이
답답한 부분이다
바로 이 원으로 된 폐쇄곡선을 일주하는 것이 변산종주가 되는 것이다
원 바깥을 외변산 원 내부를 내변산이라 한다
01. 영산변산두승분맥
종주에 필요한 5만분의1 지형도 도엽명 : 담양 정읍
영산기맥이 호남정맥 내장산 새재 북측에서 분기하여 전라남북도의 경계를 따라 입암산 시루봉을
지나 1번국도 갈령으로 내려왔다가 올라간 방장산에서 북쪽으로 한줄기를 분기하여 고창군과 정읍시의
경계를 따라 소갈재로 내려왔다가 올라간 도면상 △347.3봉 동측 등고선상 330m 둔덕에서 변산지맥은
고창군내를 가르며 서진하고 다시 북동방향으로 한줄기를 분기하여 고창과 정읍의 경계를 따라 708번지방도로
밤고개(2.2)에서 정읍시내로 들어와 △191.1봉에서 서북방향으로 성내단맥을 떨구고 북동진한다
매봉산(162, 2.1/4.3)-안양동마을 (70)-지선마을 도로 사거리(70, 1.2/5.5)-飛龍산(△213.7, 1.5/7)-182봉-
國師봉(253.0, 2/9)-鷄動산(131)어깨130봉을 지나 와룡마을 도로(50, 2/11)에 이른다
반월마을(50)-102봉-태봉(△151, 2.4/13.4)-114봉-주동마을을 지나 22번국도(2.1/15.5)에 이르고 98봉-
△110.1봉을 지나 29번국도 덧고개(50, 2/17.5)로 내려선후 129봉-341봉-斗升산 말봉(△443.5, 2.2/19.7)에서
동쪽으로 東所산(225 단맥)을 떨구고 서북진하여 돌짐재-155봉-204봉 지나 천치도로(90, 2.6/22.3)로 내려선다
△144.9봉-10번군도 자라고개(70, 1.4/23.7)-182봉-天台산(190, 1.3/25)-736번 지방도로(30, 0.8/25.8)를 지나 이후
비산비야를 달리며 조소마을도로(2.7/28.5)-정애원을 지나 봉동마을 705번지방도로(10, 2.4/30.9)로 내려선다
이후 도로따라 부안태인간 고속도로 백산인터첸지(2.5/33.4)-백산(47.4, 0.7/34.1)-30번국도-신금마을-신성마을을
거쳐 서해안고속도로를 지나 백산면 금판리 현호마을 고부천과 동진강이 만나는 곳(4/38.1)에서 끝이나는
약38.1km의 산줄기에 이름이 없다
그래서 그 산줄기 중 가장 높고 동학혁명의 발원지로 이름을 얻고 있는 두승산의 이름을 빌어
영산변산지맥에서 분기한 30km 이상 100km 미만 산줄기임으로 영산변산두승분맥이라고 부르기로 한다
02. 영산변산두승성내단맥
종주에 필요한 5만분의1 지형도 도엽명 : 정읍
영산변산두승분맥 밤고개에서 올라친 191.1봉에서 분맥은 북동쪽으로 흐르고 한줄기를 북서쪽으로 분기하여
시종일관 마을과 밭두렁 논두렁을 달려가며 은골도로(1)-계동마을 성내면 22번국도(3/4)-점촌도로-75.3봉(2/6)-
동촌마을-기동마을-23.4봉(2.3/8.9)-6번군도 운룡도로(1/9.9) 지나 소성천이 고부천을 만나는 곳(1.1/11)에서
끝이나는 약11km의 산줄기를 말한다
03. 영산변산두승동소단맥
종주에 필요한 5만분의1 지형도 도엽명 : 정읍
영산변산지맥이 영산기맥 방장산에서 북쪽으로 분기하여 소갈재로 내려왔다가 올라간 무명봉에서
동쪽으로 영산두승지맥을 분기하여 흐르다가 두승산에서 분맥은 북쪽으로 흐리고 동쪽으로 한줄기를
분기하여 7번군도 치재(1.2)-東所산(225, 1.1/2.3)-10번군도 소리개재(1.6/3.9)-
매봉(114.0)-신봉 7번군도(1.4/5.3)-14번군도 황토재(0.5/6.8)-
705번지방도로(2.2/9) 이후 도로따라 이평면(2.2/11.2)-창전마을(1.5/12.7)을 지나 논바닥을 가르며
상학천과 동진강이 만나는 곳(10, 1.7/14.4)에서 끝이나는 약14.4km의 산줄기를 말한다
04. 영산변산베메단맥
영산변산지맥이 본격적인 변산으로 오르면서 첫 번째 나오는 109.5봉에서 북동방향으로 분기하여
23번국도 용사동고개-매복재산(149.4, 1.2)-베매산(231.1, 2/3.2)-707지방도로-주산면사무소(3.5/6.7)-
707번지방도로를 따라 28.4봉(1.8/8.5)-승암산(84.3, 1.5/8.2)-16번군도102.9봉(1.8/10)-부안소방서-
부안초교-부안음사무소(2.7/12.7)-114.9봉-23번국도-도로-고성산(68.3, 2/14.7)-도로-도로-장군산(1/15.7)-
14, 16번군도 사거리-16번군도를 따라 증산리 사거리(3/18.7)-죽림리 사거리(2/20.7)-안성리 삼거리-
19.5봉(1.2/21.9)을 지나 부안군 동진면 안성리 분포마을 바닷가(동진강)(0.6/22.5)에서
끝나는 약22.5km의 산줄기를 말한다
05.영산변산울금단맥
종주에 필요한 5만분의1 지형도 도엽명 : 부안
호남정맥 전북 정읍 내장산에서 분기된 영산북기맥이 서진하여 대한민국 1번 국도상 전라남북도를
넘나드는 장성갈재를 지나 방장산에서 영산기맥은 남진을 하고 변산지맥은 정상 조금 못미친 바위
전망대에서 북진을 한다
한동안 비산비야 구간을 누비다가 전북 부안군 보안면 남포리 사창마을에서 본격적인 산줄기를 형성하여
작은 반원을 그리며 임도인 사창재로 떨어졌다가 올라친 330봉에서 변산지맥은 상여봉쪽으로 남진을 하고
해창단맥은 북진을 하여 도면상 341봉 학치 우금암(울금바위) 주유산성(울금산성) 우슬재 261봉 440봉어깨
쇠뿔바위 기상(의상)봉 해창산 해창선착장에서 그 맥을 다하는 약 17km의 산줄기를 나는 영산변산울금단맥이라
부르기로 한다
사창재-세봉-남여치-묵정마을 변산교에서 끝나는 지맥은 내변산 남쪽과 서쪽의 울타리를 만들고
사창재-울금바위-우슬재-기간(의상)봉-해창산에서 끝이 나는 단맥은 내변산 동쪽과 북쪽 울타리를 만든다
이 두줄기는 내변산을 에워쌓는 원을 그리며 부안호가 바다로 빠져나가는 변산교에서 서로 마주보며 그 맥을 다한다
이 원이 변산 종주코스가 되는 것이다
변산의 최고봉인 기간(의상)봉이나 정감록을 탄생시킨 울금바위 중 최고봉인 의상봉보다는 우리나라
대예언서요 민중들의 삶에 깊숙이 뿌리박은 정감록에 비중을 두어 변산지맥에서 다시 분기하였으므로
영산변산울금단맥이라고 부르기로 한다
한편 지금은 새만금방조제 공사용으로 해체되어 없어져 버린 해창산을 단맥의 이름으로 삼으려고 하였던바
그 사연은 우리 녹색친구들 조태경간사외 회원들이 새만금간척사업 반대를 위해 절벽시위가 있었던 산이고
현재 진행중에 있는 종교지도자들과 뜻 있는 인사들의 삼보일배의 기나긴 고행의 시작점이 지금은
비록 없어지고 그 뿌리만 간신히 남아 있는 해창산 밑 바닷가 도로에서부터 시작하였으니
지금은 없어져 버렸지만 글로나마 내 마음속에 새겨두고 뜻 있는 님들과 공유하기 위해 나름대로의
의미를 두고 있는 바이었지만 래도 민족의 대예언서를 탄생시킨 울금바위가 더 비중이 커 나중에
울금단맥으로 이름을 정정하였다
06. 영산변산닭이단맥
영산변산지맥 망포대 남측 등고선상490봉에서 서남방향으로 분기하여 736번지방도로 말재(90, 2.3)-
갑남산(350.9)전뉘봉인 등고선상350봉(1.2/3.5)-익산봉(151.5, 2.8/6.3)-구30,77번국도-신30,77번국도(30, 1.7/8)-
수리봉(125, 1.5/9.5)-반월마을 도로-격포해수욕장-채석강 닭이봉(86, 3/12.5)을 지나 격포선착장 터미널
해식동굴이 있는 바닷가(0.2/12.7)에서 끝나는 약12.7km의 산줄기를 말한다
07. 영산소요단맥
영산기맥 방장산 지나 방장산휴양림을 품고 있는 또 다름 방장산(방문산, 640.4)인 고창군 고창읍 신림면
장성군 북이면의 삼면봉에서 서쪽으로 분기하여 311.4봉-23번국도 관은정고개(50, 4.2)-179.1봉-서해안고속도로
고창휴게소 13번군도 사실터고개(50, 3.2/7.4)-화실봉(403.2)어깨-선운사~흥덕간 도로 먹방터널(6/13.4)-임도-
171.3봉-22번국도(1.5/14.9)-사자봉(344.6, 2.2/17.1)-소요사 연기재-소요산(444.2)전위봉(350, 1/18.1)-
16번군도 질마지재(1.2/19.3)-산정재 임도(1.6/20.9)-734번지방도로(50, 1.6/22.5)-석암마을-쥐섬등을
지나 신농원천주교회 서해바다 곰소만(0, 1.7/24.2)에서 끝나는 24.2km의 산줄기를 말한다
08. 영산필암단맥
영산기맥 문수산(축령산, 621.6)에사 동남방향으로 분기하여 임도-임도-
269.2봉-백치도로(150, 3.5)-꿀재-용전 임도(110, 2.2/5.7)-
필암서원(2.1/7.8)-홍길동체육관(2.1/9.9)을 지나 도로 두곤데를 건너 장성읍 기산리 와우천이 황룡강을 만나는 곳(1.1/11)에서 끝나는 약11km의 산줄기를 말한다
09. 영산수련단맥
영산기맥이 살우치에서 구황산으로 으로 가면서 오른 등고선상510봉이며 고창군 고수면 장성군 황룡면
삼계면의 삼면봉인 장군봉(510)에서 남쪽으로 분기하여 507.5봉-418.2봉-수련산(541, 5)-
떡보통산(399.5, 1.4/6.4)-떡보통재-6번군도 삽치(130, 1.2/7.6)-동귀산(295.6, 1.4/9)-
24번국도 목청재(110, 1.2/10.2)-신24번국도-금강산(148.5)-나신마을 도로(90, 2.4/12.6)-황새봉(150)-
816번지방도로(70, 3.1/15.7)-3번군도 온골도로(1.9/17.6)-도로(3/20.6)-쓰레산(190, 1.8/22.4)-
장등마을 도로(1.4/23.8)-풍숙마을-죽산마을을 지나 운평교 인근 도로(2.6/26.4)를 지나 광주시 광산구
송산동 평림천이 황룡강을 만나는 곳(0.2/26.6)에서 끝나는 약26.6km의 산줄기를 말한다
10. 영산소시랑단맥
영산기맥 구황산에서 북동으로 분기하여 313.9봉-소시랑봉(250, 3)-
205.7봉(1.4/4.4)-23번국도(2/6.4)-8번군도 고창~담양고속도로(2.5/8.9)-
서해안고속도로(1.3/10.2)-태봉(110.8, 0.8/11)-13번군도(1.5/12.5)-15번국도(1/7/14.2)를 지나 논둘헝을
진행해 고창군 아산면 상갑리 고창천이 주진천을 만나는 곳(0.8/15)에서 끝나는 약15km의 산줄기를 말한다
02. 영산선운지맥
종주에 필요한 5만분의1 지형도 도엽명 : 고창 부안
백두대간이 덕유산 지나 함양 백운산 가기전 영취산에서 서쪽으로 금남호남정맥을 분기하여
서쪽으로 흐르며 장안산 팔공산 마이산 지나 전북 진안 주화산에서 북으로 금남정맥을 분기
시키고 다른 한줄기가 전라남북도를 디긋자로 휘돌아 전남 광양 백운산 지나 매화마을을
아우르고 망덕포구에서 긴 여정을 마감하는 산줄기가 있으니 이를 산경표에서 호남정맥이라 한다
이 호남정맥이 전북 정읍 내장산 국립공원을 지나며 무명 둔덕에서 서쪽 입암산 쪽으로 한줄기를
분기하니 바로 영산강의 북쪽 울타리를 치며 목포 유달산 바닷가 다순금마을에서 그 소임을 다하는
긴 산줄기가 있으나 산경표에는 그 흐름만 있고 이름이 없는지라 후손이 영산기맥이라 이름을 짓고 종주를 한 바 있다
이 영산북기맥이 전라남북도의 도계를 따라 남하하며 방장산 문수산 지나 전북 고창군 성송면과
고수면 전남 장성군 삼계면의 경계를 이루고 있는 구황산 지난 둔덕봉에서 순수한 고창군 성송면내를
남북으로 가르며 서진하는 산줄기를 하나 분기하고 있으니 바로 전북 고창군 선운산도립공원으로 가는 산줄기라
그 흐름을 살펴보면
읽는방법 : 지명(삼각점△고도m, 거리km/거리누계km)
구황산(490m) 지난 둔덕(450m)-23번국도(49.3m, 3km)-181봉-삼태봉(△197, 1.5/4.7)-이후 비산비야
들판 구릉 논밭 도로를 헤집으며 대체적으로 북진을 한다
서해안고속도로 성남1육교(50, 3.2/7.9)-태봉산(△95.3)-△120.8봉(3.5/11.4)-
미륵골-796번지방도로-고창군 무장면내 무장토성 15번국지도(50, 5.5/16.9)-
지내실 궁동마을을 지나 한제산(△209.7, 2.8/19.7)으로 오른다
지장제산(150)-해리와 고창읍을 이어주는 733번 지방도로(90, 1.7/21.4)에서 비산비야 구간도 끝이나고
본격적인 선운산도립공원내로 들어간다
선운산종주코스와 만나는 지점(250, 1/22.4)-국기봉(330)-쥐바위(310)-
(청룡산, △314, 1.4/23.8)-천마봉(낙조대, 290, 1.1/24.9)-
개이빨산(△345.1, 1.8/26.7)-선운산(도솔산, 천왕봉, 수리봉, 330, 1.5/28.2)-
선운산 도립공원의 최고봉 내이름과 같은 경수산(△444.3, 2.6/30.8)-22번국도 고막재-△20.6봉(3/33.8)
주진천과 서해바다가 만나는 곳에서 그 소임을 다하고 바다가 되는 약 33.8km의 산줄기를 이 지방의
아름다운산 선운산의 이름을 빌어 영산기맥에서 분기하였으니 영산선운지맥이라고 부르기로 한다
11. 영산선운초포단맥
영산선운지맥 무장면 신촌리 율곡마을 뒷산인 등고선상130봉에서 서남방향으로 분기하여 임도-
왕제산(151.1)-신왕초교-796번지방도로(70, 1.5)- 206.4봉(2/3.5)-삿갓산(170)-796번지방도로
달터재(70, 1.7/5.2)-150.3봉- 796번지방도로 그물메기고개(70, 2.1/7.3)-촛불산(199.7, 1.5/8.8)-
임도 산하치재(70)-초포산(208, 3.1/11.9)-9번군도(50, 1.2/13.1)-오봉산(157.6)어깨-22번국도(2.6/15.7)-
법성중교 도로-말미고개 임도(50, 1/16.7)- 인의산(157, 1.8/18.5)-842번지방도로-임도 달한가지고개-
영관군 법성면 진내리 현장마을을 지나 백제불교발생지가 있는 와탄천이 서해바다를 만나는 곳
(1.5/20)에서 끝나는 약20km의 산줄기를 말한다
12. 영산선운송림단맥
연산선운지맥 고창군 무장읍 월림리 비석골 남측에서 서남방향으로 분기하여 박매마을-다락골재-
솔가재 임도(2.4)-송림산(295.3, 1.5/3.9)-임도(130)-장사산(269.6, 2/5.9)-공음면 송곡리
막정삼거리(2/7.9)-임도-부천고개-봉백산(157.8, 1.7/9.6)-양곡도로-107.8봉-용반도로(1.9/11.5)-
12번군도 사뱅이고개 삼거리(1/12.5)-조지산(225.4)어깨-임도(1.6/14.1)-
봉호재-고창군 해리면 동호리 관덕사거리(2.2/16.3)-48봉-1번군도(1.8/18.1)-동호해수욕장-고창군 해리면
동호리 규호동을 지나 동호선찾장 서해바다(1.1/19.2)에서 끝나는 약19.2km의 산줄기를 말한다
13. 영산선운송림봉대단맥
영산선운송림단맥 장사산에서 남쪽으로 분기하여 10번군도-22,77번국도 두암삼거리(3.8)-덕림산(141.5)-
77번국도 가학삼거리(2.1/5.9)-망덕산(105.5)-77번국도(2.5/8.4)-봉대산(226.2, 1.2/9.6)-통신임고개-
842번지방도로(3.2/12.7)-임도를 지나 영광군 홍농읍 칠곡리 목맥마을 구암천이 서해바다(1.8/14.5)가
되는 곳에서 끝나는 약14.5km의 산줄기를 말한다
14. 영산채동단맥
영산기맥 고산 서남측 고창군 대산면 성송면 장성군 삼계면의 삼면지점에서 서쪽으로 분기하여
채동치(309.8)-임도-임도-98봉-22번국도(3.8)-796번지방도로삼거리(1/4.8)-23번국도(1.6/6.4)-2번군도
(1.6/8)-서해안고속도로- 대산초교-통뱀이도로-2, 11번군도 사거리(3.3/11.3)-장자산(95.6, 1.2/12.5)-
서석고새 임도-9번군도 영두마을(2/14.5)-주록동 임도-9번군도 용암마을(1.7/16.2) 지나 논두렁을
진행해 대산천과 와탄천이 만나는 곳(1.5/17.7)에서 끝나는 약17.7km의 산줄기를 말한다
15.영산팔암단맥
영산기맥 고성산에서 동쪽으로 분기하여 도로 좌초고개(170, 2)-임도-276.2봉-
6번군도(2.2/4.2)-팔암산(390, 1/5.2)-발옥산(269)어깨-구24번국도-
신24번국도(3.4/8.6)-4번군도 이곡도로(1.7/10.3)-낭월산(185)-
816번지방도로(2.7/13)-장성군 삼계면 두월리 남계마을 4번군도(1.8/14.8)를 지나 삼계천이 평림천을
만나는 곳(0.4/15.2)에서 끝나는 약15.2km의 산줄기를 말한다
03.영산나주(금성)지맥
종주에 필요한 5만분의1 지형도 도엽명 : 영암 나주 고창
영산기맥이 호남정맥 내장산에서 분기하여 영산강의 북쪽과 서쪽의 울타리를 치면서 대체적으로 남으로 흐르다
영광군 대마면, 장성군 삼계면, 삼서면의 삼면봉인 태청산(△593.3)에서 동쪽으로 분기하여 삼계면과 삼서면의
경계를 따라 사선치 임도(230, 1.2)-△203.3봉-각오치 포장도로-어랑포장도로(3.2/4.4)- 三峰山(△152.0)어깨 지나
24번국도 수양사거리 학산도로(2/6.4)로 내려선다
太山(206.5)-제당산(△158.8)-4번군도 생동 포장도로(3.5/7.9)-△91.2봉-5번군도 마령포장도로(3/10.9)-화산임도(1.2/12.1)-月岳山(△166.9, 0.8/12.9)-댓골재임도-병풍산(170)어깨를 지나 22번국도 외치재(3.1/16)로 내려선다
송암마을(50)-가암산(△151.5)-831번지방도로 삼거리(4/20)-獅恨山(184.1) 전위봉(150, 0.5/20.5)에서 동쪽으로
伏龍山(△227.2, 단맥)으로 가는 산줄기(단맥)을 떨구고 서남진하여 다시 831번지방도로로 떨어진다
우치 포장도로(1.5/22)-가산임도(110)-병풍산(△262.5)-望山(270.8)-망산어깨(3/25.7)에서 서북쪽으로
白龍山(△347.0, 단맥)을 떨구고 남진하여 덕석바위고개-만등산 뿔바위(270)-계량재(250) 지나 이별재(230)로 내려선다
무안광주고속도로 오정터널(170)-玉山(△336.3, 3.1/28.8)-배재(290)-소련재(290)-무재-매봉(△339.0)-동막골재(270)-
어름재-대오리골재(270) 지나 등고선상 310봉(4/32.8)에서 서남방향으로 信傑山(△347.0, 단맥)을 떨구고 동진한다
울음재임도(250)-錦城山(△450.3, 1.3/34.1)-오두재임도(230)-두꺼비봉(뚜껑봉, △371.3, 1.7/35.8)-떡재임도(230)-
月亭峰(270, 2.5/38.3)지나 1번국도 마재(0.7/39)로 내려선다
宰臣山(△159.8)-2차선 사격장도로(1700-대포리봉(150)-새매봉(130)-한재(70, 2.1/41.1)-대일봉(121)-별봉재(90)-
별봉산(130, 1.1/42.2)- 호남선 철로-31번군도 지나 나주시 삼영동 택촌 영산강변(1.4/43.6)에서 끝이나는
약43.6km의 산줄기를 말한다
우리산줄기로 알아보기 위해
산경표 97혈 98혈을 살펴보면
(97혈)高山 見上九四頁 分二?-(1)
98혈)(1)-德林峙 西北來 茂長東南十五里-分二?-((1))
((1))-茂長治 北來山名未詳
莊山
法聖山 西來 靈光北三十里
高城山 靈光東三十里
磨岾山 一名鳳停 靈光東二十五里 分二?-(1)
(98혈)(1)-烏山 見上
湧珍山 羅州艅?古縣北四十里
錦城山 羅州治在南五里
지금의 영산기맥 태청산으로 추정되는 마첨산에서 두줄기로 분기하는데 한줄기가 오산 용진산으로 흘러
남쪽 5리에 있는 나주에서 관할하는 금성산으로 이어진다
이 금성산이 바로 지금의 나주의 진산인 금성산으로 추정이 되는바 바로 이 산줄기에 이름이 없다
그래서 나의 산줄기 이름을 짓는 원칙에 따라 그 산줄기중 가장 높고 잘 알려진 산인 금성산은 나주의 진산으로
그 자부심이 대단한 산이다
오죽 했으면 예전에 영산포와 나주를 합하여 시로 승격이 될 당시 이 금성산의 이름을 빌어 금성시가 탄생했겠는가?
그후 무슨 연유로 다시 옛이름으로 환원해 나주시가 된지는 몰라도 그만큼 나주시민들의 정신적인 지주가 되는
산이 금성산인 것만은 틀림없다
그들 나름대로 이 금성산이 전국 11대명산으로 알고 있는 것만 보아도 추정할 수가 있는 것이다
여기서 잠시 추론하고자 하는 것은 다름아닌 이 산줄기의 끝을 어디로 정할 것인가 하는 사항으로 복룡단맥을
분기하는 사한산에서 이 복룡산으로 연결시키는 산줄기를 생각할 수 있는데
그 연유는 이 산줄기의 끝이 황룡강과 영산강이 합수하는 지점으로 가고 있어 그리로 끌고나가 지맥으로
삼아도 안될 것은 없으나 그리 한다면 나주 시민들의 자존심이 엉망으로 될 것은 틀림없으며
그리고 복룡산 이후는 평동산업단지 그후로 평지 논밭을 지나가 제방으로 난 도로따라 합수점으로 가는
산줄기 약6~7km는 도저히 산줄기라고 보기에는 많은 무리가 따를 것이며 실제적으로도 종주를 생략할
수 있는 구간이라고 할 수가 있고 그 산줄기의 길이도 35.9km 정도로 다음에 열거할 두개의 산줄기보다도 짧은 것이다
그 다음은 백룡산으로 뻗은 산줄기는 그 길이도 약48.7km로 제일 길지만 나주 시민들의 영산인 금성산을
제외시키고 있는 결정적인 약점이 있으며 다음 신걸산으로 빠지는 산줄기는 역시나 금성산이 포함되지 않고
있으며 그 길이는 약43.2km이다
그리고 금성산으로 가는 산줄기는 약43.6km로 금성산을 제외하고 거리로만 따진다면 백룡산으로 가는
산줄기가 제일 길게 뻗어있어 그리로 가는 산줄기를 다른 지맥 이름으로 불러도 무방할 것 같지만
금성산을 제외시킨 꼴이라 나는 그리 탐탁치않게 생각하고 있다
천년고도 나주를 대표로 하는 이 산줄기는 무조건 금성산이 포함되어야 비로서 산줄기의 격이 갖추어지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금성산의 연결된 산줄기는 나주시민들이 환상적인 등산로를 개발해 놓고 사랑하고 있으며
가산임도 다음은 솔직히 비산비야 구간으로 대표성이 현저히 떨어지는 것이 확실하다
그리고 이름도 금성산의 이름을 차용해 영산기맥에서 분기하였음으로 영산금성지맥이라고 해도
무방하나 나주 시민들의 자존심을 더욱더 북돋아주고 싶은 마음에 영월지맥이나 안동지맥 그런
이름들처럼 예외적으로 그 지방의 이름을 차용해 영산나주지맥이라고 부르기로 하는데 영산금성지맥이라고
불러도 같은 뜻이 되지 않을까 하는 생각이 들어 그리 불러도 무방할 것이다
16. 영산나주복룡단맥
나주지맥 獅恨山(184.1)전위봉(150)에서 동쪽으로 분기하여 獅恨山(184.1, 0.5)-포장도로(1/1.5)-희지치(1.7/3.2)로
내려서 모란재-玉女峰(137.1, 2/5.2) 지나 울재 고속도로(1.3/6.5)로 내려선다
伏龍山(225.3, 1/7.5)-무안광주 고속도로-평동산업단지 지나 광주시 광산구 월전동 13번국도(5.2/12.7)
지나 송대동 대촌마을 동계평야 황룡강이 영산강을 만나는 곳(2.7/15.4)에서 끝이 나는 약15.4km의 산줄기를 말한다
17. 영산나주복룡노안단맥
영산나주복룡단맥 사한산 지난 희지치에서 남쪽으로 분기하여 연동 포장도로(50, 1.5)-도로를 따라 △55.7봉-
무안광주간 고속도로-27번군도(5.5/7)-58.5봉(1.7/8.7)-13번국도 히메기고개(2/10.7)로 떨어져서 광주시 광산구
본덕동 마곡마을 지나 평동천이 영산강을 만나는 곳(1.8/12.5)에서 끝이나는 약12.5km의 산줄기를 말한다
18. 영산나주백룡단맥
영산나주지맥 망산어깨에서 서북방향으로 분기하여 절재(150)-충치임도(150)-801번지방도로 불매동
도로(110, 2.1)-구절봉(△297.0)-287.4봉-월계포장도로(110, 3.1/5.2)-國士봉(281.6, 1.2/6.4)-818번지방도로
(90, 2.4/8.8)-무안광주간 고속도로 대도터널-白龍山(347.0, 5.7/13)-대고개(70)-금산마을 지나 1번국도로 내려선다
나주공업단지-호남선철로-△38.9봉-대곡마을-영촌마을 801번지방도로(30, 6/19)-대박산(57.8)-쇠티고개 도로
(1.5/20.5)지나 나주시 다시면 죽산리 화동마을 사암나루(2.5/23)에서 끝이나는 약23km의 산줄기를 말한다
19. 영산나주신걸단맥
나주지맥 대오리골재에서 올라간 등고선상310봉에서 서남쪽으로 분기하여 동막재임도-信傑山(△347.0, 4.7)-
개미재-1번국도 자지고개(30, 2.1/6.8)-호남선 철로-산바실재-절터재-금생이재-여마산(159.2)어깨-
잠애산(112.8, 3/9.8)을 넘어 나주시 다시면 회진리 정촌마을 포장도로 지나 영산강변(0.7/10.5에서
끝이나는 약10.5km의 산줄기를 말한다
05. 영산철성지맥
종주에 필요한 5만분의1 지형도 도엽명 : 나주 영암
영산기맥이 호남정맥 내장산에서 분기하여 방장산 불갑산을 지나 모악산으로 가면서 구수재에서 오른
모악산 전위봉인 용봉에서 좌측 남쪽으로 분기하여 용천사 갈림길-가정도로(190, 1.5)-오두재(170, 1.3/2.8)-
△341.5봉(2.4/5.2)에서 남쪽으로 天柱봉(△378.2, 여맥)을 떨구고 서진하여 논골안부(270, 2.1/7.3)-
성정안부(190, 2.6/9.9)를 지나 올라간 등고선상250봉에서 서쪽으로 高山봉(△361.8, 여맥)을 떨구고
24번국도 송산도로(70, 3.4/13.3)로 내려선다
법흥사 임도(90)-鐵城산(270, 2.1/15.4)-동암도로(70, 0.7/16.1)-삶재(70, 1.7/17.8)-소일치-내동도로 광주 무안간
고속도로(70, 1.4/19.2)-△98.2봉-외치동임도(70, 1.4/20.6)를 지나 1번국도 호남선 철로(30, 2/22.6)로 내려선다
△151.7봉-선암임도(50)-방우동도로(30, 3.2/25.8)-대곡임도(3/28.8)-△157.5봉 지나 함평군 학교면 곡창리 사포마을
함평평야를 달려온 함평천이 영산강을 만나는 영산강변 23번국도 동강대교(10, 1.7/30.5)에서 끝이나는 산줄기이지만
또한 그 산줄기의 끝을 방우동 도로에서 도로타고 내려오다 대곡임도 쪽으로 가지 않고 그대로
남진하여 束錦산(△171.9)으로 흘러 나주천이 영산강을 만나는 곳에서 끝이나는 산줄기도
그 거리는 비록 조금 짧지만 30km가 넘음으로 그 끝을 그리 그려도 무방하다 할 것이다
바로 이 산줄기에 이름이 없어 이름을 어떻게 지을지 걱정이 된다
함평평야에서 제일 높은 산 2개를 꼽으라하면 천주봉과 고산봉을 들수 있으며 특히 고산봉은 덕산리 등
사방에서 오를 수 있는 등로가 개발되어 있는 이 지방에서 그래도 조금은 알려져 있는 산이지만 원 지맥
산줄기에서 2km 이상 떨어져 있음으로 그 이름을 차용하기에는 조금 부적절한 면도 있어
그 산줄기 중 국립지리원 발행 5만분의1 지형도상 유일하게 이름을 갖고 있는 철로 만든 성이 있어서
붙여진 철성산의 이름을 빌어 영산기맥에서 분기하여 30km이상 뻗어간 산줄기임으로 영산철성지맥이라고
부르기로 한다
차제에 더 좋은 이름이 있다면 당연히 수정을 하여 보다더 합당한 이름을 찾아주어야 할 것이다
20. 영산철성고산단맥
영산철성지맥이 영산기맥 모악산 용봉에서 분기하여 흐르다 대동면 서호리 대동저수지 동남측
약1.5km 지점 영산철성지맥 230m 지점에서 서쪽으로 분기하여 고산봉(359.1, 2.5)-구23번국도(2.5/5)-2
4번국도 성진목장(1/6)-24번국도 지나 균산치 도로(1.7/7.7)-화산도로-무안~광주간 고속도로-
월봉도로(2.4/10.1)-41.1봉-함평군 학교면 사거리 1번국도 사거리(2.2/12.3)를 지나 호남선 철로 학교천이
함평천을 만나는 곳(0.4/12.7)에서 끝나는 약12.7km의 산줄기를 말한다
21. 영산용성단맥
영산기맥 노은재 서측 영광군 불갑면 함평군 신광면 해보면의 삼면지점에서 남쪽으로 분기하여 절재-538번지방도로
먹우재(70, 1.1)-상재-279.5봉어깨- 동막고개-245.2봉(6/7.1)-221.5봉(2.3/9.4)-구룡도로를 지나 대동면 용성리 괴정마을
도로를 거쳐 용연천이 함평천을 만나는 곳(2.2/11.6)에서 끝나는 약11.6km의 산줄기를 말한다
22. 영산상치단맥
영산기맥 군유산에서 서북방향으로 분기하여 상치봉(357.1, 1.7)-배재-바저재 도로(4.8/6.5)-808번지방도로 돌팍재(1.4/7.9)-설매산(200.1, 1.5/9.4)-상론령-하느재-도로(1.6/11)-불가재 임도-봉덕산(295.6, 3.5/14.5)-16번군도 삼거리(1/15.5)-날구봉(117.1)-영광군 송암리 77번국도 삼거리(3.4/18.9)-금호산(123.7, 1.3/20.2)-77번국도 창우마을 삼거리(1.6/21.8)-뒷산(78.5)을 지나 서해바닷가(0.5/22.3)에서 끝나는 약22.3km의 신줄기를 말한다
23. 영산엄다단맥
영산기맥 감방산에서 남쪽으로 분기하여 24번국도 돗재(110, 0.8)-무안~광주간 고속도로-93.9봉-도로-서해안고속도로(4.5/5.3)-1번국도(2.2/7.5)- 56.3봉-도로(1.5/9) 이후 논두렁으로 진행해 호남선철로(1/10)를 지나 엄다면
엄다리 무안천이 함평천을 만나는 곳(0.3/10.3)에서 끝나는 약10.3km의 산줄기를 말한다
06. 영산해제지맥
종주에 필요한 5만분의1 지형도 도엽명 : 와도 임자
영산기맥이 호남정맥 내장산에서 분기하여 입암산 방장산 지나 함평천지를 휘돌다 무안으로 들어가 감방산과
병산 중간지점을 가기 위해 평림마을 북서측으로 약0.5km 떨어진 무안광주간 고속도로에서 서측으로 분기하여
무안공항영업소 지나 60번국지도를 만나 60번국지도를 따라 무안광주간 고속도로 지하통로(1.3)로 나가
60번국지도를 따라 현경초교를 지나 현경면사무소를 거쳐 다시 60번국지도(3.5/4.8)에 이른다
24,77번 국도를 따라 하수장 상수장마을을 지나 오른쪽 구릉을 타고 23번군도(4.2/9)에서 峰臺산(甕산, 90)을
올라 다시 24,77번국도(1/10)을 만나 잠시 도로따라가다 좌측으로 작은봉태산(62.2, 0.8/10.8)으로 올라간다
劍舞산(△100.7)을 지나 57봉에서 오류동도로로 내려가 현경북초교 지나 다시 24,77번국도(3/13.8)에
이르고 신기마을 삼거리에서 오른쪽 △51.3봉을 거쳐 다시 신정교회앞 24, 77번국도(2/15.8)에 이르게 된다
신정교회를 따라 홀통삼거리인 24,77번국도(0.5/16.3)에 이르러 다시 국도를 따라 가다 가입리 삼거리에서
오른쪽으로 있는 도면상43봉으로 올라 무안군 해제면과 현경면의 경계지점인 24, 77번국도상
물암마을(물바위, 2.6/18.9)에 이른다
이후 24, 77번국도를 따라 유월리 유투정마을 입구를 거쳐 오류촌마을 입구인 尼城산(△119.8)어깨를
통과해 77번국도 어은동 삼거리(3/21.9)에서 좌측으로 동산(64.2)을 올라 토치삼거리(1.2/23.1)인 805번
지방도로에 이른다
오른쪽 밭 가운데로 난 길을 따라가다 여러개의 작은 콘크리트 포장도로를 건너 감동마을 옆을 지나 다시
신정리 응양마을 입구(2/25.1) 805번지방도에 이르러 해제면의 최고봉이자 명소인 봉대산(△195.6, 1.6/26.7)으로
올라선다
이후 도면상203봉을 지나 땅골마을 옆으로 26번군도(1.7/28.4)로 내려서 용덕사 옆으로 해서 솔개재도로를
지나 발산마을 도로삼거리(2/30.4)에 이르러 도로따라 감나무재를 거쳐 해제남초교를 지나 24번국도
사거리(2.5/32.9)에 이른다
도로 따라 고가로 24번국도를 건너 오른쪽 산으로 붙어 54봉을 지나 통신탑이 있는 79봉에서
천마산(83.0, 1.1/34)을 지나 임도 참새골 지나 24번국도를 만나 국도따라 가다 대월산(△104.8, 2.5/36.5)을
지나 24번국도로 내렸다가 내친김에 78봉을 올라 다시 24번국도로 내려와 명양마을 옆으로 해서
또 내친김에 방조제(0. 1.5/38)를 건너가지만 여기까지가 원칙적으로 영산해제지맥 산줄기이다
그러나 언제인가부터 지도에서 전해져 내려오는 전설에 따라 만석꾼이 탄생되는 과정에서 연륙교 다리는
방조제로 바뀌고 방조제 북측으로는 제방으로 막고 간척지로 개간해 드넓은 논으로 탈바꿈되고
어느 한사람 소유로 되어 전설에서 말하는 만석꾼이 진짜로 탄생하게 되었으며 지도라는 섬은 육지가 되고 말았다
그래서 현실적으로는 지도라는 섬이 아니라 지도읍이라는 육지에 딸린 하나의 행정단위가 되고 원래 신안군은
서해바다에 있는 섬들로만 이루어진 행정구역인데 이제는 명실상부한 육지에 붙은 행정구역이 된 것이다
방조제를 건너(0.4/38.4) 24번국도를 따라 가다 翰鳳산(121, 1.1/39.5)어깨로 가서 다시 24번국도로로 내려와
좌측 선황산(115)으로 가는 산줄기로 붙어서 다시 24번국도(2.7/42.2)로 내려서 도로따라 가다 다시
좌측 67.0봉을 올라 미곡처리장이 있는 24번국도(1.5/43.7)로 내려선다
다시 24번국도를 따라가다 갈림길에서 우측으로 적거마을 가는 도로 따라가다 적거마을을 지나 고갯마루에서
좌측 중매산(110)을 올라 배수지로 내려와 805번지방도로(2.3/46) 원광마을로 떨어졌다가 좌측 지도읍사무소에서
올라오는 산책로를 만나 꽃봉산(△153.9, 1.3/47.3)로 올라선다
173.4봉(1.6/48.9)-바람풍재-큰산-진재 임도-깃대봉(170,1.7/50.6)을 지나
신안군 지도읍의 최고봉인 삼암봉(196.2, 1/51.6)을 지나 전남 신안군 지도읍 감정리 점암마을
점암선착장(0, 2.4/54)에서 서해바다로 침잠하는 약54km의 산줄기를 말하며 이곳이 바로 울산에서
끝이나는 24번국도 시작점이다
24. 영산해제운남단맥
연산해제지맥 24번국도 현경면 소재지 사거리에서 서남방향으로 분기하여 도로따라 망운면사무소 삼거리(1.7)-7
7번국도를 따라 송현삼거리(3.7/5.4)-운남면사무소 삼거리(4.8/10.2)-대박산(50, 3.5/13.7)를 지나 무안군 운남면
성내리 도원나루 운남대교 서해바다(2.5/16.2)에서 끝나는 약16.2km의 산줄기를 말한다
25. 영산망모단맥
무안군 청계면 태봉리 구리골 영산기맥 남측 0.5km 지점에서 동남방향으로 분기하여 232.8봉(3.6)-양지촌도로-
증골고개-200봉(3.5/7.1)-서해안고속도로 호남선철로-무안군 일로읍 일로초교 도로(4.5/11.6)-49번국지도
소지삼거리-삼천동도로(2.6/14.2)-임도-66봉-154.9봉어깨-49번국지도(4.2/18.4)-망모산(141.8, 1.6/20)-일로초교
청망분교 도로-일로읍 망월리 비로촌마을 앞 825번지방도로 건너 영산호변(2.5/22.5)에서 끝나는 약22.5km의 산줄기를 말한다
26. 영산상욕단맥
영산기맥 사자바위산 0.3km 못미쳐 북쪽으로 분기하여 1번국도 솔개고개-
85.2봉(2.5)-학두봉(90)-815번지방도로 육거리(5.4/7.9)-상욕봉(152, 1.1/9)-
122.7봉-임도-임도-망내산(83)-825번지방도로(2.7/11.7)-협석골 도로-
작은넘어산(70)-825번지방도로(2.7/14.4)-망막산(30) 지나 무안군 청계면 가란리 청계천이 방파제를 넘어와
서해바다를 만나는 곳(1.6/16)에서 끝나는 약16km의 산줄기를 말한다
'山經表'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신산경표 20개 주요지맥 일람 (0) | 2012.09.05 |
---|---|
형남북기맥(兄南北岐脈) 개요 (0) | 2012.08.25 |
산경표에 나타난 우리산줄기 중 남한의 산줄기 1대간 9정맥와 기맥 (0) | 2012.08.11 |
우리 산줄기 이야기(금북기맥편) (0) | 2012.08.10 |
우리 산줄기 이야기(금남기맥편) (0) | 2012.07.2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