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범여(梵如)의 世上사는 이야기
♣ 佛 敎 ♣/불화. 불상.주련

아미타불

by 범여(梵如) 2014. 2. 6.

 

[탱화] 아미타 내영도

 

     아미타 삼존 내영도
고려 14세기, 110cm×51cm, 비단에 채색, 용인 호암미술관 소장.

아미타불로부터 한 줄기 빛이 뿜어져 나와 공양자를 비취고 있다.

아미타불은 극락정토를 주관하는 부처.

그에 의해 극락정토로 이끌려가는 숨막히는 장면이다.

세계 최고의 수준을 자랑하는 섬세하고 화려한 고려 불화.

 고려 후기 귀족들의 염원을 단적으로 표현하고 있으며,

아울러 그들의 재력, 미적 수준들이 유감없이 발휘되어 있다.

행복만이 보장된 서방극락정토에 왕생하려면,

한마음으로 아미타불의 이름을 정성되이 외워야 한다.

이렇게 염불을 잘 한 중생은 그가 세상을 하직한 다음이나,

혹은 수행이 성숙해졌을 때 아미타불이 직접 그의 권속과 함께 마중해서

서방극락으로 맞이해 간다고 한다.

이러한 염불왕생신앙은 이미 신라 때부터 널리 유행하고 있었다. 욱면의 설화에서처럼.

아미타불의 협시로 관음과 세지가 아니라, 세지 대신 지장이 등장하고 있다.

본존은 다소 정적인 모습이지만, 풍만한 얼굴, 근엄한 표정, 활기찬 어깨와 당당한 가슴,

쑥 내민 팔 등에서 건장한 장자풍 부처의 위엄이 잘 표현되어 있다. 

 

아미타 삼존 내영도 세부

 

고려 14세기, 110cm×51cm, 비단에 채색, 호암미술관 소장.

대자대비의 관음보살이 본존의 한발 앞에 나와 몸을 앞으로 굽힌 채 내영자에게

두 손을 뻗어 손 위에 올려놓은 연꽃 대좌 위로 맞아들이려는 자세를 취하고 있다.

지옥에 떨어진 마지막  한 명의 중생까지 구원하지 않고서는 부처가 되지 않겠다는

지장 보살은 소년처럼 앳된 모습으로 표현되어 있다.

이 구도자처럼 관음과 지장의 도움으로 아미타불이 주재하는 극락에 왕생하고픈

고려 귀족들의 마음이 잘 나타나 있다.           

 

           혜허의 양류관음도

그림의 오른쪽 아래에 작자를 분명히 밝히고 있으며

고려 수월관음도 중에서 구도와 형태가 특이한 그림이다.

대각선적 구도는 다른 수월관음도와 비슷하지만 버들잎 속에 서 있는 입상이나

화면  오른쪽의 절벽과 대나무가 없어지고 버들잎 광배가

화면의 중심을 압도하는 구도는 이 상의 독특한 특징이다.

역시 풍만하고 여유로운 표정, 부드러우면서도 세련된 어깨의 곡선이나

완만한 굴곡을 이루는 신체의 흐름, 오른쪽으로 휘어진 늘씬한 자태 등은

당대 왕공 귀족들의 모습을 연상하게 한다.                      

 

부석사 조사당 사천왕상,보살상

 경상북도 영주시 부석면(浮石面) 북지리(北枝里) 부석사에 있는 고려 말기의 벽화.

1962년 12월 20일 국보 제46호로 지정되었다 

 

 강진 무위사 극락보전의 후불 탱화 (아미타삼존도)
조선 1476년, 가로 210 세로 270cm, 전남 강진군 성전면 월하리 무위사 극락보전. 보물 제1313호.

무위사 극락전 후벽에는 아산현감을 지낸 강노지(姜老至) 등 수십 명의 시주로

대선사 해련(海連) 등이 1476년(성종 7)에 그림을 조성하였다는

화기(畵記)가 있는 아미타 삼존 벽화와 수월관음도가 보존되어 있다.

이 벽화는 흙벽에 그려진 것으로는 가장 오래된 후불 벽화로 화려하고 섬세한 것으로

유명한 고려 불화의 전통을 그대로 이어받은 뛰어난 작품이다.

고려 불화는 협시보살인 관세음보살과 지장보살이

아미타여래의 무릎 아래에 그려 위계 질서를 강조하는 2단 구도이다.

그러나 무위사의 후불 벽화는 협시보살이 아미타여래의 양 옆에 서고

그 위로는 6명의 나한이 구름으로 싸여 있어,

부처님과 친화 관계를 유지한 원형 구도를 이루고 있다.

 형식의 차이에서 시대상을 느끼게 하는 작품이다.

아미타구존 내영도 - 일본 구세열해미술관 소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