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의해야 할 주요 산나물 및 약초 특징
|
뿌리를 약용이나 식용으로 이용하는 ‘우산나물’과 비슷하다.
뿌리를 약용으로 쓸 수 있으나 독성이 있어 소량만 사용 된다.
우산나물은 잎 가장자리가 잘게 갈라진(거치) 잎이 깊게 2열로 갈라진 게 5~9개가 돌려난다.
반면 삿갓나물은 줄기 끝에 잎 가장자리가 갈라지지 않은 잎이 6~8장이 돌려나는 특징이 있다.
|
뿌리는 약용으로, 잎은 식용으로 많이 쓰이는 ‘곰취’와 비슷한 식물이다.
어린잎은 둥근 심장형으로
비슷하나 곰취는 잎이 부드럽고 가는 털이 있는 반면동의나물은 습지에서 자라고 잎은 앞·뒷면에 윤기가 나며 두꺼운 점이 다르다.

▶ 여로
식물전체를 약용 및 식용하는 ‘원추리’와 비슷하다.
뿌리를 약용으로 이용할 수 있으나
독성이 강하다. 바르는 용도로만 주로 쓰인다.
여로의 원줄기 아랫부분은 그물과 같은 섬유로 싸여 있다.
잎에 털이 많고 길고 넓은(3~5cm) 잎은 대나무 잎처럼 나란히 맥이 많다.
주름이 깊게 진 반면 원추리의 기부는 섬유로 싸여 있지 않고 털이 없다.
좁은 잎(1~2.5cm)은 아랫부분에서 서로 포개져 나오며 잎은 주름지지 않는 점에서 구별된다.
산마늘
박새
식물전체가 약용 및 식용인 ‘산 마늘’과 비슷하다.
뿌리를 약용으로 쓸 수 있으나 독성이 있어
피부병 및 집짐승의 강한 구토제로 사용된다.산 마늘은 식물 전체에서 강한 마늘냄새가 난다. 뿌리는 파뿌리와 비슷하다.
길며(20~30cm) 넓은 잎(4~7cm)이 2~3장 달린다. 반면 박새 잎은
꿩의다리
삼지구엽초
▶ 꿩의 다리식물전체를 약용 및 식용으로 이용하는 ‘삼지구엽초’와 비슷하다.
잎, 줄기, 종자를 약용이나 식용으로 이용할 수 있다.
그러니
성숙한 것은 독성이 있어 먹을 수 없다.삼지구엽초의 난형 잎(길이 5~13.5cm, 넓이 1.5~7.2cm) 가장자리는 털 같은 잔 톱니가 발달했다.
반면 꿩의 다리의 잎(길이 1.5~3.5cm, 넓이 1~3cm)은 작고 3~4개로 갈라지며 끝이 둥근 점에서 구분된다.

진범
▶ 진범
한방에서 진교나 진범(秦范)이라 한다.
뿌리를 약용으로 쓰는 독성 강한 식물로 박쥐나물, 귀박쥐나물과 비슷해 식별이 쉽지 않다.
나물로 무쳐 먹을 때 소량이라도 심한 구토를 일으킨다.

맹독성 독초(놋젓가락 나물 )
▶놋젓가락나물
한방에서 뿌리를 초오(草烏)라 한다. 맹독성식물로 사약의 주원료로 쓰였다.
이른 봄 새순은 묵나물로 쓸 수 있지만 생채로는 먹을 수 없다.
생채나물로 먹을 경우 심한 구토와 오한이 생긴다. 양이 많을 땐 목숨을 잃을 수 있다
'약초와 나물' 카테고리의 다른 글
병풍취-단풍취-큰앵초 구분 (0) | 2022.03.28 |
---|---|
산나물의 제왕, 곰취 (0) | 2015.05.13 |
독초의종류 (0) | 2014.09.14 |
구분이 어려운 약초와 독초 (0) | 2014.09.06 |
하수오 자료모음 (0) | 2014.08.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