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범여(梵如)의 世上사는 이야기
♣ 慶州金氏-桑村公派 ♣

경주 김씨 항렬자

by 범여(梵如) 2015. 1. 16.

수은공파

경주김씨 상촌공파 파조 상촌 김자수 묘역

行 列 字
35 種(종), 萬(만), 重(중), 奎(규), 孝(효)
36 燮(섭), 欽(흠), 秀(수), 旭(욱), 九(구)
37 泳(영), 洪(홍), 會(회), 柄(병), 南(남)
38 相(상), 秀(수), 永(영), 行(행), 宇(우)
39 柄(병), 勳(훈), 成(성), 宰(재), 茂(무)
40 重(중), 坤(곤), 弼(필), 起(기)
41 康(강), 庸(용)
42 宰(재), 翊(익), 達(달)
답변 

 

영분공파/대안군파

 

行列字 行列字 行列字 行列字 行列字
31 鎬(호),銓(전) 32 洙(수),永(영) 33 東(동),柄(병) 34 烈(렬),杰(걸) 35 奎(규),孝(효)
36 鉉(현),欽(흠) 37 泳(영),洪(홍) 38 植(식),秀(수) 39 柄(병),勳(훈) 40 重(중),坤(곤)
41 鍾(종),鍵(건) 42 洛(락),泰(태) 43 柱(주),權(권) 44 赫(혁),燁(엽) 45 在(재),敎(교)
46 錫(석),鈺(옥) 47 澈(철),河(하) 48 榮(영),根(근) 49 熙(희),炅(경) 50 基(기),採(채)
51 鎔(용),鎭(진) 52 浚(준),浩(호) 53 相(상),東(동) 54 燮(섭),煥(환) 55 聲(성),載(재)
56 銖(수),鐸(탁) 57 海(해),濟(제) 58 集(집),杓(표) 59 炫(현),炯(형) 60 禧(희),喆(철)

수은공파/쌍향당파

 

行 列 字
35 種(종), 萬(만), 重(중), 奎(규), 孝(효)
36 燮(섭), 欽(흠), 秀(수), 旭(욱), 九(구)
37 泳(영), 洪(홍), 會(회), 柄(병), 南(남)
38 相(상), 秀(수), 永(영), 行(행), 宇(우)
39 柄(병), 勳(훈), 成(성), 宰(재), 茂(무)
40 重(중), 坤(곤), 弼(필), 起(기)
41 康(강), 庸(용)
42 宰(재), 翊(익), 達(달)

계림군파

 

行 列 字
20 植(식), 經(경)
21 學(학), 冠(관), 知(지)
22 鍾(종), 鐸(탁), 基(기), 式(식)
23 浩(호), 洙(수), 鎭(진), 榮(영), 是(시)
24 東(동), 柱(주), 洙(수), 浩(호), 友(우)
25 煥(환), 炫(현), 相(상), 胄(주)
26 奎(규), 致(치), 煥(환), 勳(훈), 韶(소)
27 鎭(진), 鎬(호), 奎(규), 在(재), 迎(영), 道(도)
28 泳(영), 淳(순), 鉉(현), 厚(후)
29 海(해), 根(근), 杰(걸), 泰(태)

익화군파/백촌공파

 

行 列 字
21 基(기), 在(재), 圭(규), 鎭(진)
22 鍾(종), 錫(석), 鉉(현), 浩(호)
23 泳(영), 洛(락), 演(연), 東(동)
24 根(근), 模(모), 柱(주), 烈(렬), 炳(병)
25 炯(형), 炅(경), 勳(훈), 載(재)
26 塤(훈), 垠(은), 志(지), 鉉(현)
27 鎔(용), 鉦(정), 銀(은), 永(영), 洛(락)
28 求(구), 河(하), 漢(한), 根(근)
29 相(상), 格(격), 桂(계), 容(용)
30 均(균)

태사공파/상촌공파

 

行列字 行列字
24 載(재), 喜(희), 秀(수) 25 商(상), 容(용)
26 濟(제), 浩(호), 遠(원) 27 東(동), 元(원), 欽(흠)
28 煥(환), 烈(렬), 冀(기), 鴻(홍) 29 基(기), 周(주), 執(집), 植(식)
30 鎬(호), 鍾(종) 31 淵(연), 澤(택), 寧(녕)
32 稷(직), 義(의) 33 丙(병), 範(범)

병조판서공파

 

行 列 字 行 列 字
21 喆(철), 基(기), 在(재), 赫(혁) 22 鍾(종), 鎭(진), 錫(석), 鍊(련)
23 永(영), 泰(태), 求(구) 24 植(식), 根(근), 林(림)
25 煥(환), 炳(병), 炯(형), 燦(찬) 26 周(주), 培(배), 均(균), 埈(준)
27 鎬(호), 鍾(종), 鎔(용), 鉉(현) 28 洙(수), 淑(숙), 源(원), 淵(연)
29 模(모), 相(상), 格(격), 桂(계) 30 烈(렬), 喜(희), 熏(훈)

판도판서<장유>공파

 

行列字 行列字 行列字
17 泰(태), 鼎(정) 18 秀(수) 19 熙(희)
20 基(기),在(재),敎(교) 21 九(구),鉉(현),鎬(호) 22 洪(홍),永(영),漢(한)
23 植(식),模(모),桓(환) 24 應(응), 炳(병) 25 圭(규)
26 鎭(진) 27
28

장군공파/봉익대부공파

 

行列字 行列字 行列字 行列字 行列字
17 東(동),炳(병) 18 烈(렬),杰(걸) 19 奎(규),孝(효) 20 鉉(현),欽(흠) 21 泳(영),洪(홍)
22 植(식),秀(수) 23 炳(병),熙(희) 24 重(중),坤(곤) 25 鍾(종),鍵(건) 26 洛(락),泰(태)

두계공파

 

行列字 行列字 行列字 行列字 行列字
35 孝(효) 36 ? 37 永(영) 38 柄(병) 39 熙(희)
40 基(기) 41 鍾(종) 42 河(하) 43 桂(계) 44 然(연)
45 圭(규) 46 鎬(호) 47
48
49

충선공파

 

行列字 行列字 行列字 行列字 行列字
27 璡(진),岳(악) 28 甫(보),鳳(봉) 29 漢(한) 30 模(모) 31 炳(병)
32 在(재),基(기) 33 鍾(종) 34 濟(제) 35 東(동) 36 燮(섭)

월성부원군파

 

行列字 行列字 行列字
38 基(기),相(상),東(동) 39 鐸(탁), 燮(섭) 40 雨(우),圭(규),在(재)
41 根(근),鍊(련),鍾(종) 42 烈(렬),源(원),洙(수) 43 圭(규), 東(동)

판도판서<서건>공파

 

行列字 行列字 行列字 行列字 行列字
34 熙(희),烈(렬) 35 址(지),圭(규) 36 鎬(호),鎔(용) 37 淳(순) 38 東(동)
39 炳(병) 40
41
42
43


두계공파(휘충유) 杜溪公派(諱沖裕)

 

37세 38세 39세 40세 41세 42세 43세 44세 45세 46세
O 泳 柄 O O 熙 基 O 鍾 O O 河 O 柱 然 O 圭 O 鎬 O

 

47세 48세 49세 50세 51세 52세 53세 54세 55세 56세
O 泳 柄 O O 熙 基 O 鍾 O O 河 O 柱 然 O 圭 O 鎭 O

 

 

수은공파(휘충한) 樹隱公派(諱沖漢)

 

35세 36세 37세 38세 39세 40세 41세 42세 43세 44세 45세
種 O O 秀 雲 O O 宇 成 O O 起 庸 O 0 宰 廷 O O 泰 學 O
遇 O O 旭 會 O O 永 茂 O O 弼 康 O O 達 憲 O O 揆 孟 O

 

46세 47세 48세 49세 50세 51세 52세 53세 54세 55세 56세
O 度 容 O O 鄕 良 O O 範 南 O O 來 東 O O 周 儀 O O 夏
O 兼 寧 O O 希 振 O O 兌 準 O O 洙 輪 O O 商 武 O O 慶

 

 

밀직공파(휘충원) 密直公派(諱沖源)

 

34세 35세 36세 37세 38세 39세 40세 41세 42세 43세
O 熙
O 烈
址 O
圭 O
O 鎬
O 鎔
基 O 鍾 O O 河



 

 

 

월성부원군파(휘천서) 月城府院君派(諱天瑞)

 

宗派 38세 39세 40세 41세 42세 43세 44세 45세 46세
中派 38세 39세 40세 41세 42세 43세 44세 45세 46세
季派 38세 39세 40세 41세 42세 43세 44세 45세 46세

 

 

 

충선공파(휘혼) 忠宣公派(諱琿)

 

27세 28세 29세 30세 31세 32세 33세 34세 35세 36세
O 璡
O 岳
0 甫
鳳 O
漢 O 0 模 炳 O 在 0
基 0
鍾 0 0 濟 東 0 0 燮

병판공파(휘덕재) 兵判公派(諱德載)

 

20세 21세 22세 23세 24세 25세 26세 27세 28세 29세
O 燮
龜 0


0 喆
O 赫
基 0
在 0
圭 0
鍾 0

0 鎭
0 錫
0 鍊
永 O

泰 0
永 0
求 0
O 植

0 根
0 植
0 林
O 煥

炳 0
炯 0
燦 0
周 0

0 培
0 均
0 埈
鎬 0

鍾 0
鎔 0
鉉 0
0 洙

0 淑
0 源
0 淵
0 模

相 0
格 0
桂 0

 

30세 31세 32세 33세 34세 35세



O 江
O 熹
0 熏
址 O
垂 O
堯 0
O 鐸
O 鑄
0 鎬
河 O
洛 O
治 0
O 栢
O 杓
0 模
燾 O
熙 O
燕 0




 

 

백촌공파(휘문기) 白村公派(諱文起)

 

19세 20세 21세 22세 23세 24세 25세 26세 27세 28세
O 烈
0 煥
0 變
基 0
在 0
圭 0
0 鍾
0 錫
0 鉉
泳 O
洛 0
演 0
O 根
0 模
0 柱
炯 0
炅 0
勳 0
0 塤
0 垠
0 志
鎔 0
鉦 0
銀 0
0 求
0 河
0 漢
0 洪
相 0
柄 0
秀 0
桓 0

 

29세 30세 31세 32세 33세




O 熙
O 然
0 烋
0 焄
堯 O
庸 O
0
垠 0
O 鎬
O 鏞
0 錄
0 銓
求 O
治 O
泰 0
治 0
O 榮
0 棲
0 植
0 析





 

 

익화군파(휘인찬) 益和君派(諱仁贊)

 

14세 15세 16세 17세 18세 19세 20세 21세 22세 23세

0 熙

基 0

0 九

洪 0

0 植

0

0 圭

鎭 0

0 浩

東 0

 

24세 25세 26세 27세 28세 29세 30세 31세 32세 33세

O

載 O

O 鉉

O

O 根

容 O

0 均

鍾 O

0 漢

榮 O

 

34세 35세 36세 37세 38세 39세



O 煥 在 O O 鏞 洙 O O 相 炯 0



 

 

태사공후 전서공파(휘자정) 太師公後 典書公派(諱子汀)
상촌공파(휘자수) 桑村公派(諱自粹)

 

24세 25세 26세 27세 28세 29세 30세 31세 32세 33세
0 載
0 喜
秀 0
商 0
容 0
0 濟
0 浩
東 0
0 元
0 煥
0 烈
0 翼
基 0
周 0
執 0
0 鍾
0 鎬
淵 0
澤 0
洙 0
0 稙

丙 0

 

34세 35세 36세 37세 38세 39세 40세


0 奎 善 O 0 世
0 求
寅 0 O 夏 廷 O 0 錫


 

 

판도판서공파(휘장유) 版圖判書公派(諱將有)

 

17세 18세 19세 20세 21세 22세 23세 24세 25세 26세
0 泰
0 鼎
秀 0 0 熙 基 0
在 0
0 九
0 鉉
0 鎬
洪 0
永 0
漢 0
0 植
0 模
0 桓
應 0
炳 0

0 圭

鎭 0

 

27세 28세 29세 30세 31세 32세 33세 34세

O 浩 東 O O 烈 載 O O 錫 洛 0 O 根 容 0


계림군파(휘균) 林君派(諱균)

 

19세 20세 21세 22세 23세 24세 25세 26세 27세 28세
正 0 0 植 學 0 0 基 鎭 0 0 洙 相 0 0 煥 奎 0 0 鉉

 

29세 30세 31세 32세 33세 34세 35세 36세 37세 38세
海 0 0 杓 炳 0 0 培 錫 0 0 漢 柱 0 0 變 吉 0 0 鈺

 

 

계림군후 한성판윤공파(휘인민) 林君後 漢城判尹公派(諱仁民)

 

24세 25세 26세 27세 28세 29세 30세 31세 32세 33세
0 源 0 東 0 炫 在 0 0 鎬 永 0 0 杓 炳 0 0 均 鍾 0

 

34세 35세 36세 37세 38세 39세 40세 41세 42세 43세
0 淳 柱 0 0 變 廷 0 0 鎔 潤 0 0 休 烈 0 0 培 錫 0

 

44세 45세 46세 47세 48세 49세 50세 51세 52세 53세
0 洙 和 0 0 燦 載 0 0 鉉 泰 0 0 馥 夏 0 0 坤 銘 0

 

 

 

계림군후 공호공파(휘종순) 林君後 恭胡公派(諱從舜)

 

19세 20세 21세 22세 23세 24세 25세 26세 27세 28세
正 0 0 經 0 榮
知 0
0 基
0 式
鎭 0
是 0
0 浩
0 友
相 0
胃 0
0 勳
0 韶
在 0
道 0
0 鉉
0 厚

 

 

 

봉익대부공파(휘남기) 奉翊大夫公派(諱南基)

 

 

24세 25세 26세 27세 28세 29세 30세 31세 32세 33세










 

 

 

현령공파(휘능) 縣令公派(諱稜)

 

16세 17세 18세 19세 20세 21세 22세 23세 24세 25세
0 廷 基 0 0 九 洪 0 0 植 炳 0 0 均 鐘 0 0 海 榮 0

 

26세 27세 28세 29세 30세




0 烈 在 0 0 鎬 俊 0 0 相




 

 

연동파(휘의) 蓮洞派(諱義)

 

18세 19세 20세 21세 22세 23세 24세 25세 26세
0 熙 敎 0 正 0 0 經 知 0 0 式 0 是 0 友 周 0

 

 

- 경주김씨 분파:

1. 영분공(김명종)의 분파:
두계(杜溪)공파(영분공의 16세손 휘 충유 : 沖裕)
수은(樹隱)공파(영분공의 16세손 휘 충한 : 沖漢)
시어사(侍御史)공파(영분공의 16세손 휘 충보 : 沖保)
참찬(參贊)공파(영분공의 16세손 휘 충익 : 沖益)
밀직(密直)공파(영분공의 16세손 휘 충원 : 沖源)
병판(兵判)공파(영분공의 16세손 휘 남보 : 南寶)
판삼사사(判三司事)공파(영분공의 16세손 휘 남비 : 南賁)
평장사(平章事)공파(영분공의 16세손 휘 남길 : 南吉)
두암(兜菴)공파(영분공의 16세손 휘 남귀 : 南貴)
월성부원군(月城府院君)파(영분공의 18세손 휘 천서 : 天瑞)
강릉(江陵)공파(영분공의 17세손 휘 서 : 서)
참의(參議)공파(영분공의 16세손 휘 생수 : 生水)
부사(府使)공파(영분공의 16세손 휘 상한 : 相漢)
현감(縣監)공파(영분공의 16세손 휘 정심 : 正深)

2. 대안군(김은열)의 분파:
대안군(휘 은열)을 기세(起世)로 한 파
병판(兵判)공파(대안군 14세손 휘 덕재 : 德載)
백촌(白村)공파(대안군 17세손 휘 문기 : 文起)
익화(益和)군파(대안군 17세손 휘 인찬 : 仁贊)

3. 판도판서공(김장유)의 분파:
판군기감사(判軍器監事)공파(판도판서공 3세손 휘 을식 : 乙湜)
감사(監司)공파(판도판서공 3세손 휘 을동 : 乙敦)
직장(直長)공파(판도판서공 3세손 휘 을당 : 乙塘)
공조판서(工曹判書)공파(판도판서공 3세손 휘 을귀 : 乙貴)
이조판서(吏曹判書)공파(판도판서공 3세손 휘 을기 : 乙器)

4. 태사공(김인관) 의 분파:
전서(典書)공파(태사공 9세손 휘 자정 : 子汀)
상촌(桑村)공파(태사공 9세손 휘 자수 : 子粹)
우재(愚齎)공파(태사공 10세손 휘 한 : 漢)
송재(松齎)공파(태사공 11세손 휘 수량 : 遂良)

5. 장군공(김순웅)의 분파:
계림(鷄林)군파(장군공 13세손 휘 균 : )
정수(貞肅)공파(장군공 13세손 휘 서 : )
현령(懸令)공파(장군공 13세손 휘 능 : 稜)
연동파 : 蓮洞(장군공 12세손 휘 의 : 義)
봉산파 : 鳳山(장군공 13세손 휘 세보: 世寶)
춘고(春皐)공파(장군공 14세손 휘 순 : 恂)

- 계림군파 분파:

1. 감사공파
2. 부제학공파:
대종파
갈천공파
호군파
승지공파
완암공파
벽암공파
담양파
금산파
선거파
참판공파
부사공파
찰방공파
승사랑공파
목사공파
감찰공파파
부사공파
현령공파
지추공파
지평공파
대사성공파
판서공파
만취공파
참봉공파
이모공파
공절공파
참판공파
3. 판윤공파:
훈정공파
판결사공파
사직공파
판의금부사공파
판교공파
판서공파
4. 공호공파
5. 첨지중추부공파
6. 진사공파

A. 계림군파 항렬표(병판공 중성 중파):
시조/경순왕/계림군
60 / 33 / 19세 - 正0
61/34/20세 - 0 植
62-35/21세 - 學 0, 冠 0
63/36/22세 - 0 基, 鍾 0, 鐸 0
64/37/23세 - 鎭 0, 0 洙, 0 浩
65/38/24세 - 0 洙, 東 0, 柱 0, 0 源
66/39/25세 - 相 0, 0 煥, 0 炫, 0 東
67/40/26세 - 0 煥, 奎 0, 致 0, 0 鉉
68/41/27세 - 奎 0, 0 鎭, 0 鎬, 在 0
69/42/28세 - 0 鉉, 泳 0, 淳 0, 0 鎬
70/43/29세 - 海 0, 0 根, 0 杰, 永 0
71/44/30세 - 0 杓, 容 0, 恒 0, 0 杓
72/45/31세 - 炳 0, 0 老, 0 遠, 炳 0
73/46/32세 - 0 培, 善 0, 高 0, 0 均
74/47/33세 - 錫 0, 0 雨, 0 承, 鍾 0
75/48/34세 - 0 漢, 和 0, 榮 0, 0 淳
76/49/35세 - 桂 0, 0 然, 0 憲
77/50/36세 - 0 變
78/51/37세 - 吉 0
79/52/38세 - 0 鈺

B. 계림군파 항렬표(판윤공 이판공 계성 경파):
시조/경순왕/계림군
60 / 33 / 19세 - 正0
61/34/20세 - 0 經
62/35/21세 - 知 0, 0 榮
63/36/22세 - 0 式, 丙 0
64/37/23세 - 是 0, 時 0
65/38/24세 - 0 友, 0 善
66/39/25세 - 胄 0, 0 洛
67/40/26세 - 0 韶, 相 0
68/41/27세 - 道 0, 光 0
69/42/28세 - 0 厚, 0 奎
70/43/29세 - 0 鎬, 0 錫
71/44/30세 - 洪 0
72/45/31세 - 根 0
73/46/32세 - 容 0
74/47/33세 - 0 在
75/48/34세 - 鍾 0
76/49/35세 - 0 求

C. 계림군후 한성판윤공파(김인민) 항렬표:
24세 - 0 源
25세 - 0 東
26세 - 0 炫
27세 - 在 0
28세 - 0 鎬
29세 - 永 0
30세 - 0 杓
31세 - 炳 0
32세 - 0 均
33세 - 鍾 0
34세 - 0 淳
35세 - 柱 0
36세 - 0 變
37세 - 廷 0
38세 - 0 鎔
39세 - 潤 0
40세 - 0 休
41세 - 烈 0
42세 - 0 培
43세 - 錫 0
44세 - 0 洙
45세 - 和 0
46세 - 0 燦
47세 - 載 0
48세 - 鉉 0
49세 - 泰 0
50세 - 0 馥
51세 - 夏 0
52세 - 0 坤
53세 - 銘 0

D. 계림군후 공호공파(김종순) 항렬표:
19세 - 正 0
20세 - 0 經
21세 - 0 榮, 知 0
22세 - 0 基, 0 式
23세 - 鎭 0, 是 0
24세 - 0 浩, 0 友
25세 - 相 0, 胃 0
26세 - 0 勳, 0 韶
27세 - 在 0, 道 0
28세 - 0 鉉, 0 厚

E. 계림군파 항렬표:
24세 - 재,희,수(載,喜,秀)
25세 - 상,용(商,容)
26세 - 제,호,원(濟,浩,遠)
27세 - 동,원,흠(東,元,欽)
28세 - 환,열,기,홍(煥,烈,冀,鴻)
29세 - 기,주,집,식(基,周,執,植)
30세 - 호,종(鎬,鍾)
31세 - 연,택,녕(淵,澤,寧)
32세 - 직,의(稙,義)
33세 - 병,범(丙,範)

 

 

- 경주김씨 역사:

경주김씨 시조는 김알지(金閼智)이다. 《삼국사기(三國史記)》에 의하면 65년(탈해왕 9) 3월 왕이 금성(金城)

서쪽 시림(始林)에서 닭우는 소리를 듣고 날이 밝자 호공을 보내어 살펴보게 하였더니 금색의 작은 궤짝이

나뭇가지에 매달려 있었는데 흰 닭이 그 밑에서 울고 있었다. 호공이 돌아와 보고하자 왕은 사람을 보내어

금궤(金櫃)를 가져온 후 뚜껑을 열어보니, 작은 사내아이가 들어 있었다. 탈해왕(脫解王)은 기뻐하여

“이 어찌 하늘이 나에게 아들을 보내 준 것이 아니라 하겠는가”하며 거두어 기르니 아이는 자라면서 총명하고

지략이 뛰어나 이름을 알지(閼智)라 하고 금궤에서 나왔다고 하여 성을 김(金)으로 하사하였으며

시림(始林)을 계림(鷄林)으로 고쳐 나라이름을 삼았다. 이후 김알지의 7세손 김미추(金味鄒)가 왕위에

오르는 것을 시작으로 마지막 왕 경순왕(慶順王)까지 38명의 왕을 배출하여 587년 동안 신라를 통치해

왔으며 경주(慶州)를 비롯한 600여 개의 관향(貫鄕)으로 분적되었다. 경주김씨는 김명종(金鳴鍾)을

일세조로 하는 영분공(永芬公) 명종파(鳴鍾派), 김은열(金殷說)을 일세조로 하는 대안군(大安君)

은열파(殷說派), 김장유(金將有)를 일세조로 하는 판도판서공(版圖判書公) 장유파(將有派), 김인관(金仁琯)을

일세조로 하는 태사공(太師公) 인관파(仁琯派), 김문기를 일세조로 하는 백촌공 문기파, 김덕재를 일세조로

하는 병판공 덕재파, 김존일을 일세조로 하는 장사랑공 존일파, 김정백을 일세조로 하는 수문장공 정백파로

크게 분파되었고, 각 분파마다 작은 지파가 여러 개씩 있다. 경순왕 아들 9형제가 각각 분적하여 나갔다.

다만 셋째 아들 김명종과 넷째 아들 김은열과 김순웅(金順雄) 장군 후손들만이 경주김씨를

본관으로 하여 세계를 이어오고 있다고 한다.

 

 

- 분파:

파명(派名)을 살펴보면, 크게는 영분공(명종)파(永芬公(鳴鍾)派), 대안군(은열)파(大安君(殷說)派),

판도판서공(장유)파(版圖判書公(將有)派), 태사공(인관)파(太師公(仁琯)派), 장군공(순웅)파(將軍公(順雄)派),

만호공(도보)파(萬戶公(道輔)派)로 나뉘어지고, 작게는 영분공(명종)파에 두계공파(杜溪公派),

수은공파(樹隱公派), 시어사공파(侍御史公派), 참찬공파(參贊公派), 밀직공파(密直公派),

병조판서공파(兵曹判書公派), 판삼사사공파(判三司事公派), 평장사공파(平章事公派), 월성부원군파(月城府院君派),

강릉공파(江陵公派), 옥구참공파(沃溝參公派), 부사공파(府使公派), 현감공파(縣監公派)로,

대안군(은열)파에 시랑공파(侍郞公派), 시중공파(侍中公派), 참판공파(參判公派), 호정공파(昊亭公派),

평창파(平昌派)·성천파(成川派)·청원파(淸原派)·부산파(釜山派)·경파(京派)·예조판서공파(禮曹判書公派)·

병판공파(兵判公派), 백촌공파(白村公派), 차호공파(車湖公派), 익화군파(益和君派)로 판도판서공(장유)파에

참교공파(參校公派), 김제(金堤公派), 사인공파(舍人公派), 진사공파(進士公派), 장암공파(壯菴公派),

 충암공파(冲菴公派), 식암공파(息菴公派), 감사공파(監司公派), 직장공파(直長公派), 공조판서공파(工曹判書公派),

참의공파(參議公派)로, 태사공(인관)파에 전서공파(典書公派), 판관공파(判官公派), 좌랑공파(佐郞公派),

사승공파(司丞公派), 공평공파(恭平公派), 우재공파(愚齋公派), 송재공파(松齋公派)로, 장군공(순웅)파에

계림군(균)파(鷄林君(稛)派), 감사공파(監司公派), 부제학공파(副提學公派), 판윤공파(判尹公派),

공호공파(恭胡公派), 동지이판공파(同知吏判公派), 현령공파(縣令公派), 연동파(蓮洞派), 봉산파(鳳山派),

춘고공파(春皐公派)로 만호공(도보)파에 망주헌공파(望主軒公派), 경재공파(敬齋公派)로 나뉘어졌다.

 

 

- 많이 사는 곳:

경기도 광주시 도척면 도웅리
경기도 광주시 중부면 오전리
경기도 광주시 청산면 금동리
경기도 양평군 양평읍 창대리
강원도 인제군 서화면 일원
강원도 양양군 현북면 하광정리
충청북도 보은군 보은읍 종곡리
충청북도 영동군 심천면 각계리
충청북도 청원군 남이면 외천리
충청남도 보령군 웅천면 죽청리
충청남도 연기군 금남면 대박리
전라남도 곡성군 석곡면 염곡리
전라남도 보성군 조성면 용전리
전라북도 고창군 무장면 옥산리
전라북도 순창군 팔덕면 청계리
경상북도 포항시 기계면 봉계리
경상북도 문경시 가은면 왕릉리
경상북도 영천시 자양면 노항리
경상남도 남해군 이동면 초음리
경상남도 함안군 대산면 구혜리
평안북도 운산군 위연면 답상하동
평안북도 영변군 봉산면 귀산동
평안남도 정평군 신상면 복흥동

 

- 인구 : 약 180만.

 

- 과거급제자: 조선시대에 1218명.
(문과 203명, 무과 277명, 사마시 542명, 역과 82명, 의과 36명, 음양과 34명, 율과 6명, 주학 38명)

- 인물:

영분공파 파조인 김명종은 경순왕이 나라를 빼앗긴 후 고려에서 경주군(慶州君)에 봉해졌으며,

그의 8세손 김의진(金義珍)은 유학(儒學)의 종주로 평장사(平章事)를 역임했고,

12세손 김인경(金仁鏡)은 문무(文武)를 겸비한 고려의 명신으로 중서시랑평장사(中書侍郞平章事)에

올라 시와 글씨로 명성을 떨쳤다.
김명종의 6세손 김예겸(金禮謙)이 고려 때 삼한벽상공신(三韓壁上功臣)으로 내중령(內中令)을 지냈고,

김예겸의 손자 김의진(金義珍)은 고려 사학(私學) 12공도(公徒)의 하나인 양신공도(良愼公徒)를 육성하였으며

문종 때에는 참지정사(參知政事)로 지공거(知貢擧)를 겸하여 인재등용에 공헌하고 평장사(平章事)를 역임했다.
김의진의 증손자 김영고(金永固)는 무신의 난을 일으킨 정중부(鄭仲夫)와 이의방(李義方)을 제거하려 했던 인물이며,

김영고의 아들 김인경(金仁鏡)은 문무를 겸한 명신으로 고종 때 조충(趙沖)과 함께 강동성(江東城)에서 거란군

평정에 공을 세우고 벼슬이 중서시랑평장사(中書侍郞平章事)에 이르렀으며 시문(詩文)과 예서(隸書)로 명망이 높았다.

대안군파 파조인 김은열은 공부시랑(工部侍郞)을 거쳐 대안군에 봉군되고 그의 후손들이 여러 본관으로 분관되었다.
김은열의 8세손 김봉모(金鳳毛)는 외국어에 능하여 사신이 오면 관반사(館伴使 : 외국 사신을 접대하기 위하여 임

시로 임명한 정3품 벼슬)로 천거되었으며 나라의 큰 일에는 항상 전례(典禮)의 일을 맡아보았다.
김봉모의 아들 김태서(金台瑞)는 고종 때 한림학사(翰林學士)를 거쳐 문하시랑평장사(門下侍郞平章事)에 이르렀고,

특히 그의 아들 김약선(金若先 : 공부시랑), 김기손(金起孫 : 평장사), 김경손(金慶孫 : 추밀원 부사) 3형제가 유명했다.

판도판서공파 파조 김장유는 고려말에 정국이 혼란하자 충청도 보은 땅에 은둔하여 그곳에서 일생을 마쳤다.
김장유의 후손에서는 정랑(正郞) 김효정(金孝貞)의 아들인 조선 중종 때의 명신 김정(金淨)이 뛰어났다.

그는 조광조(趙光祖)와 더불어 중종 때에 지치주의(至治主義)의 실현을 위하여 혁신정치를 시도하다가

기묘사화가 일어나 서른 여섯 살의 아까운 나이에 세상을 떠났다. 그에 대한 일화가 "당적보(黨籍譜)"에 다음과 같이 전한다.

그가 증광문과(增廣文科)에 장원으로 급제하고 정언(正言) 등을 거쳐 순창군수(淳昌郡守)로 나가 있을때 그의 옛 글벗인

승정원 승지(承政院承旨) 이항(李沆)이 청탁편지를 부쳐왔다. 그 편지는 직함을 갖추어 쓰고 도장을 찍었으며

우정있는 말은 한 마디도 없고 마치 높은 자리서 하명하는 듯한 글투였다.

이에 김정은 거절의 뜻을 밝히고 아래와 같은 시를 써 넣었다.
"서당에서 같이 배우고, 옥당에서 같이 있다가 남녘 시골로 흘러내린 병든 이 한 몸이라 천상에서 화려한 직

함인 승지 이씨여 편지 쓸 즈음에 옛 벗 생각을 했는가."
이 시에 앙심을 품은 이항은 후에 기묘사화가 일어나자 김정의 죄를 추론하는데 앞장섰다.

그외에도 그가 제주도로 귀양가다가 해남 바닷가 노송 아래서 회포를 달래며 소나무 껍질을 벗기고 적은 시가

전하며, 36세로 사약을 받을 때 남긴 절명사(絶命詞)가 유명하다.

태사공파 파조 김인관은 고려 예종 때 조산대부(朝散大夫)로 위위시경(衛尉寺卿)을 지내고

검교태자태사(檢校太子太師)에 올랐다.
김인관의 9세손 김자수(金自粹)는 고려 공민왕 때 문과에 장원급제하여 벼슬이 형조판서(刑曹判書)에

이르렀으나 고려가 망하자 망국의 한을 안고 안동에 은둔하였다.
그가 사사(賜死)되었을 때 그의 어머니가 김세필(世弼)이 기묘사화(己卯士禍) 때 옥중에서 입던 피묻은

옷을 가지고 나와서 통곡하며 말하기를 "너의 아버지는 화를 당하여도 오히려 위에 성군(聖君)이 계셨기 때문에 다행히

살게 되었지만, 지금 임금께서는 나이가 겨우 십여 살이고 간신들이 꼭 너를 죽이려 하니, 네가 어찌 죽음을 면할 것이냐"하였다.

한편 김자수(金自粹)의 9세손 김홍익(金弘翼)은 병자호란(丙子胡亂) 때 의병을 일으켜 전쟁에서 순절하였고,

아우 김홍욱(金弘郁)은 효종 때 황해도 관찰사(黃海道觀察使)로 있으면서 앞서 인조 때 사사(賜死)된 민희빈

강씨(姜氏)와 그녀의 어린아들의 억울함을 상소하다가 효종의 노여움을 사 친국(親鞠)중에 장사(杖死) 되었다.
김홍욱의 손자 김흥경(金興慶)은 영조 때의 상신(相臣)이었고, 김흥경의 아들 김한신(金漢藎)은 영조 때의

부마(駙馬 : 영조의 딸 화순옹주와 혼인)이면서도 겨우 두 칸 집에 살면서 비단은 걸쳐 본 일도 없고 가마를

타는 법도 없이 청빈하게 살다가 아들이 없어 형의 아들인 이주를 양자로 삼았다.
참찬(參贊) 이주의 손자인 추사 김정희(金正喜)는 학문에 있어서 실사구시(實事求是)를 주장하였고,

서예(書藝)에서는 독특한 추사체(秋史體)를 대성시켜 특히 예서와 행서에 새로운 경지를 이룩하였다.
그밖의 인물로는 호장(戶長) 위영(魏英)의 증손 김부필(金富弼), 김부일(金富佾 : 수태위를 역임),

김부식(金富軾), 김부의(金富儀 : 지추밀원사를 역임)가 유명했다.


고려 문종과 의종대에 걸쳐 문무를 겸한 명신으로 유명한 김부식(金富軾)은 인종이 즉위하자

왕실외척임을 빙자하여 권세를 쥐고 군신의 예의에 벗어나는 행동을 일삼던 이자겸(李資謙)의

방자함을 충고하여 이를 시정하게 하였고, 42년간 벼슬에 있으면서 훌륭한 업적을 많이 남겼다.

1145년(고려 인종 23년) 왕명을 받들어 우리나라 최초의 정사(正史)인 "삼국사기(三國史記)" 50권을

완성하여 바치는 등 이름난 문장가(文章家)로 송나라에까지 명성을 떨쳤다.

대장군파 파조 김순웅은 고려 초에 상장군(上將軍)을 거쳐 대장군(大將軍)을 역임하였다.

병판공파 파조 김덕재(金德載)는 김은열의 12세손으로 조선 창업에 공을 세워 보좌공신(補佐功臣)에

책록되고 병조판서(兵曹判書)를 역임한 후 함경도 정평에서 은둔하였다.

장사랑공파 파조 김존일(金存一)은 김은열의 16세손으로 고려말에 장사랑(將仕郞)에 올랐다.

이렇게 역사를 수놓은 경주김씨는 한말에 와서도 그 가통을 이어 훌륭한 인재가 많이 배출되었다.

고종 때 개성부 유수(開城府留守)를 지낸 김영작(金永爵)의 아들 김홍집(金弘集)은 한말 외세와

개화의 틈에서 처참하게 희생당한 인물이다.
예조 판서(禮曹判書) 김정집(金鼎集)의 아들 김창희(金昌熙)는 양관 대제학(兩館大提學)을 거쳐

한성부 판윤(漢城府判尹)에 올랐으며, 김철희(金喆熙)는 황주 목사(黃州牧使)로 재직중

1885년(고종 22년) 황해도 토산에서 일어난 민란을 진압하여 승녕부 종장(承寧府從長)을 지낸

김춘희(金春熙)와 자산으로 도서관을 설립한 김인정(金仁貞), 중국 원세개(袁世凱 : 중화민국의 초대 대통령)의

옥새를 새겼던 서예고문 김태석(金台錫), 아악부원양성소(雅樂部員養成所)를 개설한 김영제(金寧濟),

 청성곡(淸聲曲)의 명수 김계선(金桂善) 등과 함께 명문의 전통을 이었으며, 김용원(金庸源)과

김도태(金道泰)는 조국의 자유수호와 광복을 위하여 몸바쳤다.

- 이름의 항렬자(돌림자)는 같은 성씨, 같은 파내에서도 지역이나 소분파(소문중)에 따라 다를 수도 있으며, 항렬표에는 없으나 항렬에는 맞는 다른 글자를 썻을 수도 있으니 그 점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참고(1)

한 가문의 여러 사람들이 같은 항렬자를 써서 이름을 짓다보면 같은 이름이나 비슷한 이름이 생기기 때문에 그것을 피하거나 좋은 이름으로 짓기 위해서 문중에서 정한 기본순서는 지키면서 항렬표에 없는 다른 글자(=그 부수 한자가 들어간 다른 글자)를 사용하기도 합니다.(항렬자는 문중에 따라 金-水-木-火-土순서, 甲-乙-丙-丁...순서, 子-丑-寅-卯...순서,一-二-三-四...순서, 天-地-玄-黃...순서 등의 순서가 있음)아래의 "참고(4) 이름의 항렬자(돌림자) 정하는 법"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참고(2)

성씨 내의 분파는 널리 알려진 대규모의 파들이 있고, 그 파들의 아래에(=그 파들에 속한)

일반에는 잘 알려지지 않은 소규모의 분파들이 있습니다

. 예를 들어 어떤 성씨에 A,B,C,D.. 라는 파가 있다면 A파 안에도 ㄱ,ㄴ,ㄷ,ㄹ.. 이라는 파가 있고

ㄱ파 안에도 1,2,3,4.. 라는 파가 있습니다. (ㅇㅇ학교>ㅇ학년>ㅇ반>ㅇ번식으로). B,C,D..파도 마찬가지입니다.

이 소규모의 분파들은 조상의 호나 주거지역명 등으로 'ㅇㅇㅇ파'라고 명명하여 사용하는데,

그 위의 대규모의 파에서 완전히 분리되는 것은 아니며, 대규모 파의 범위가 너무 넓으므로 편의상

(시제, 문중 재산관리, 종친회 등) 세분하는 것입니다. 성씨 관련싸이트나 서적 등에서 자신의 분파를

찾을 수 없다면 자신의 분파가 속한, 일반에 알려져 있는 윗단계의 파를 아셔야 찾을 수 있습니다.

 

참고(3)

확실한 단서나 근거 자료없이 족보,뿌리,파 ,댓수 등을 찾는 것은 매우 어렵습니다만...
일단, "경주김씨"로 검색 종친회,홈피,카페,블로그 등을 참고(질의)하시는 방법이 있구요.


조상님들이 어느 지역에 사셨었는지 알아보신 후,
그 지방에 어느 파가 살았었는지,
먼 친척이라도 살고 있는지,

혹시 조상님을 아는 사람이 있는지 등
그 지방을 방문하여 선조를 추적해 보는 방법이 있구요.


돌아가신 조상님들의 제적등본(최대한 윗대 조상까지)과
살아계신 분들의 호적등본 등의 자료(한문 이름 등)를 가지고(조상님들의 항렬자(돌림자)를 아시면 더 좋구요.)
그 성씨의 대종회, 종친회 등을 방문하여 알아보시는 방법이 있습니다.

 

참고(4)

- 이름의 항렬자(돌림자) 정하는 법:
1).五行相生法(오행상생법) :

오행의 근본인 金-水-木-火-土(순서)가 포함된 글자를

이름의 앞과 뒤 글자에 번갈아 쓰는 경우인데 이 방법을 가장 많이 쓴다.
2).十干(십간)순서 :

A). 甲, 乙, 丙, 壬, 癸(갑, 을, 병, 임, 계)를 순차적으로 쓴다.

B). 甲,乙,丙,丁,戊,己,庚,辛,壬,癸 천간(天干)을 포함한 글자를 순차적으로 쓴다.

(주로 쓰이는 글자: 甲,乙,丙,寧,茂,範,任,揆)
3).十二支(십이지)순서 :

A). 子, 丑, 寅, 戌, 亥(자, 축, 인, 술, 해)를 순차적으로 쓴다.

B). 子,丑,寅,卯,辰,巳,午,未,申,酉,戌,亥의지지(地支)를포함한글자를순차적으로쓴다.
4).숫자를 포함시키는 경우 :

일(一: 丙·尤. 一. 懿), 이(二: 宗·重. 元. 恒), 삼(三: 泰. 全. 玉), 사(四: 寧. 澤. 德)

등으로 쓰는 경우.(안동권씨 등)
5).천자문 글자순... (天-地-玄-黃....)
6).드문 경우이지만 韓山李氏는 3단위 (木-土-水순서) 반복법을 사용한다.
7).기타 :

A). 오행과 십간을 병용한 방법

B). 오행과 숫자를 병용한 방법

C). 십간과 십이지를 병용한 방법 등이 있습니다.

 

 

집안에 대한것은, 집안에 가서 여쭈어 보세요.

혹여, 질의자자신만, 자신이 속한 계파를 모르는 것은 아닌지.

집안어르신(조부님, 부친 삼춘)께 여쭈어 봅니다.

- 집안어르신들도 모르시면, 다음과 같이 합니다.

 

할아버지에게도, 부친도 잇을것이 아닙니까 - 질의자에게는 증조부님이 되시는 것이지요.

할아버지에게도, 할아버지가 잇을것이지요. - 질의자에게는 증조부님이 되시는 것이지요.

 

-

제사는 고조부님까지 모심니다.

질의자의 부친께서, 질의자 고조부님의 제사를 모실려고 어느 큰댁에 가신다 하시면,

그 제사를 모시는 큰댁에 족보가 잇으면,

 

그 큰댁의 족보[윗대께서 입보(기록)된 족보]를 가지고,

가까운 종친회에 가시면, - 질의자가 알고자 하는 것을 다 알려주실것임.

뭐 족보(윗대가 입보된 족보)가 집안에 잇을시, 족보를 보는 것이 가장정확 하다는 것임.

-

 

고조부님의 후손집안들중에도 족보책자가 없다.

가까운 동사무소로 갑니다.

그리고 제적등본 발급받은 곳의 직원에게,

"할아버지, 증조할아버지, 고조할아버지, 현조할아버지"의 함자를 알수잇게, 제적등본좀 발급해 달라 합니다.

- 직원왈 : "본적지(=등록기준지) + 발급배상자의 한문자로 함자"를 달라 하면,

동사무소 직원이 저런말을 하면,

질의자의 부친 생존시, 부친의 가족관계증명서를 근거로하여, 발급해 주십사 합니다.

최대로, 직계윗대 함자를, 다 알수잇게 발급해 달라고 하심.

 

그다음, 발급받은, 제적등본을 스켄합니다. (스켄 기가 없다면, 디카로 최대크기로 찍던 하시고)

 

그후, 인터넷에 나오는 경주김씨 홈피 아무곳에나가서, 보면 상담란(게시판 등)이 잇슴.

그곳(상담 란)에, 스켄 내지는 디카로 찍은, "제적등본"의 자료을 올립니다.

- 비공개가 되면 비공개로 올림.

[왜 비공개로 올리냐 하면,

조부(할아버지) 제적등본 상에, 질의자 내지는, 질의자의 부친이 나올수 잇슴 - 신상자료가 노출됨.]

 

제적등본을 종친회에 올린후, 다음과 같이 질의.

 

1. 질의자의 집안과 같은 "항렬자[= 파(派)에서 사용하는 돌림자]를 쓰는 계파가 잇는지 여쭈어 봄.

-그런파가 잇다고 답변을 주시면,

"그파의 족보 = 파보"를 볼수잇는, 질의자 거주지역 종친회를 문의.

- 질의자의 집근처 어느지역종친회에서 볼수잇다 답변을 주시면,

발급받은, 제적등본을 가지고 가서, "족보 와 제적등본"을 대조해가면서, 동일인이신 분을 찾음.

 

 

2. 질의자의 집안과 같은 이름자 순으로 나가는 계파가 없을시,

발급받은 제적등본상의 제일 윗대분의 본적지(등록기준지)에는, 무슨파의 집성촌이 잇엇는지 문의.

- 질의자의 현조부(또는 고조부)님의 본적지 상에는 무슨파의 집성촌이 잇엇다 하시면,

그파의 족보를 볼수잇는, 가택근처에 까가운 지역종친회를 제차 문의.

찾아가서, "족보 와 제적등본"을 대조해가면서, 동일인이신 분을 찾음.

 

3. 집안과 같은 이름자 순으로 나가는 계파가 없고,

제적등본상, 제일윗대분(현조부님 - 고조부님)의 본적지상에도, 집성촌이 없엇다 하면,

"뿌리를 찾으려면, 어찌 해야하는지 문의" - 무슨말씀들이 잇으시겠지요.

 

 
行 列 字
35 種(종), 萬(만), 重(중), 奎(규), 孝(효)
36 燮(섭), 欽(흠), 秀(수), 旭(욱), 九(구)
37 泳(영), 洪(홍), 會(회), 柄(병), 南(남)
38 相(상), 秀(수), 永(영), 行(행), 宇(우)
39 柄(병), 勳(훈), 成(성), 宰(재), 茂(무)
40 重(중), 坤(곤), 弼(필), 起(기)
41 康(강), 庸(용)
42 宰(재), 翊(익), 達(달)
行 列 字
35 種(종), 萬(만), 重(중), 奎(규), 孝(효)
36 燮(섭), 欽(흠), 秀(수), 旭(욱), 九(구)
37 泳(영), 洪(홍), 會(회), 柄(병), 南(남)
38 相(상), 秀(수), 永(영), 行(행), 宇(우)
39 柄(병), 勳(훈), 成(성), 宰(재), 茂(무)
40 重(중), 坤(곤), 弼(필), 起(기)
41 康(강), 庸(용)
42 宰(재), 翊(익), 達(달)


行 列 字
35 種(종), 萬(만), 重(중), 奎(규), 孝(효)
36 燮(섭), 欽(흠), 秀(수), 旭(욱), 九(구)
37 泳(영), 洪(홍), 會(회), 柄(병), 南(남)
38 相(상), 秀(수), 永(영), 行(행), 宇(우)
39 柄(병), 勳(훈), 成(성), 宰(재), 茂(무)
40 重(중), 坤(곤), 弼(필), 起(기)
41 康(강), 庸(용)
42 宰(재), 翊(익), 達(달)

'♣ 慶州金氏-桑村公派 ♣' 카테고리의 다른 글

경주김씨(慶州金氏)  (0) 2013.12.04
慶州金氏 系派  (0) 2013.11.30
상촌선생의 생애와 사상  (0) 2013.11.23
경주김씨 유래  (0) 2012.12.27
경주김씨의 분파  (0) 2012.12.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