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리산 교통, 숙박, 대피소
내대리 기점
교통
버 스
진주 시외버스정류장 ((055)741-6039, 748-1700)
내대리는 일단 경남 진주를 경유해 들어가는 것이 가장 좋다. 내대리~거림 마을까지 버스 하루 3회. 09:40, 13:30, 19:40 출발. 내대리~진주행 버스 07:20 11:30 17:30 출발. 15:10발 버스는 덕산까지만 간다. 진주 시외버스정류장에서 오전 6시40분부터 오후 9시10분까지 20분 간격으로 운행하는 덕산행(산청군 시천면 사리) 버스로 덕산까지 간 다음(50분 소요) 거림 마을까지 택시를 이용 덕산의 덕원 택시부 전화 972-9292/9393. 거림까지 택시료는 15,000원. 덕산의 시천면사무소 전화 (055)972-9004. 내대리 버스 주차장 전화 (055)972-1417. 내대리 이장댁 전화 972-2373.
숙박(지역번호 055) 내대리 버스종점에는 민박집이 없다. 도로 끝부분의 거림 마을에 20가구쯤 있는데, 모두 민박과 매식을 겸하고 있다. 김윤규씨의 두지바구산장(전화 (055)972-1421)이 방도 널찍하고 각 방에 샤워시설이 딸려 있다.
거림하우스 973-3726 솔바구산장 973-7356 오철수(이장) 972-1464 정헌구 972-2175 이대실 972-1137 김범용 972-1187 이판실 972-1061 김종석 972-9176 이삼석 972-1173 홍순우 972-1145 김현순 972-1171 * 마을에 가게도 있다.
내원사 기점
교통
대중교통
버스.택시
진주나 산청에서 출발하는 버스편을 이용해 삼장에서 하차. 또는 덕산에서 택시 이용. 택시료 12,000원. 덕산택시부 (055)972-9393. 개인택시부 (055)972-6363.
그외 교통편
승용차편
산청에서 진입할 때 대원사로 좌회전해 들어가는 명상 마을에서 시천 방향으로 5km 더 진행해 대포초등학교가 보이는 지점에서 오른쪽 길로 접어든다. 자연발생유원지 대포숲이라 쓰인 초록 간판, 그리고 내원사라 쓰인 돌비석이 서 있다. 여기서 내원사까지 2.3km 정도, 안내원 마을까지는 5km가 넘는 긴 도로를 따라가야 한다. 내원사까지 들어가는 대중교통편은 없다. 대포리 교회 앞 다리를 건너 시멘트 포장도로가 장당계곡을 왼편에 끼고 내원사까지 이어진다. 대포리에서 내원사까지는 소형 차량도 진입할 수 있다. 그러나 버스와 같은 대형 차량은 통행이 불가능하다. 구곡산 도솔암에 가려면 덕산에서 택시를 이용하거나, 걸어들어가야 한다. 덕산까지는 진주에서 수시 운행하는 중산리행 직행버스를 진입하면 된다.
숙박(지역번호 055) 안내원 마을 지리산농장식당 전화 (055)972-8226 법화농원 972-9543
대원사 기점
교통
대중교통
진주 시외버스정류장 ((055)741-6039, 748-1700)
대중교통편은 진주에서 들어오는 직행버스 외에는 별다른 것이 없다. 대원사행 직행버스는 오전 7시15분부터 오후 9시까지 40분 간격으로 운행. 1시간10분 소요. 산청군 시천면 소재지인 덕산에서 윗새재까지 택시료 16,000원(덕산버스정류장 건너편 덕산택시부 전화 596-92-9393. 개인택시부 전화 596-92-6363.
서울 강남고속터미널
서울→진주행 오전 6시부터 오후 6시30분까지 20분∼30분 간격 운행. 431km, 5시간30분 소요, 요금 12,200원.
서울 남부시외버스터미널
진주 시외버스터미널까지 하루 4회 고속버스 운행. 부산∼진주간은 10분 간격, 대구∼진주간은 30분 간격 직행버스 운행.
그외 교통편
승용차편
승용차로 대원사에 접근하려면 산청에서 59번 국도를 타고 밤머리재를 넘어 12.2km를 내려와 명상에서 우회전. 명상교를 건너 3.3km 들어가면 대원사가 나온다. 산행기점인 유평리나 새재 마을까지 승용차로 진입은 가능하나 주차공간이 마땅치 않다.
숙박(지역번호 055) 비둘기산장 972-8569 조개골산장 972-7869 새재산장 972-9014 해동민박 973-5225 대호식당 973-8100 치밭목식당 972-8288 과수원민박 972-9195 삼거리상회 972-9591 산적식당 972-9593 갑을식당 972-9382 유평식당 972-9587 덕수정 973-4306 천왕봉식당 972-8286 시골식당 972-9588 지리산상회 972-8985 유평대원상회 972-8609 대원상회 972-9352 금포정 973-4233 지리산농장 972-8226
백무동 기점
교통
버 스
고속버스
서울에서는 전주까지 고속버스로 가서 백무동행 버스로 갈아타는 것이 시간과 거리를 줄이는 최상의 방법이다.
시외버스
공용터미널이어서 고속버스를 내린 자리에서 바로 백무동행 시외버스를 갈아탈 수 있다. 남원까지 열차로 가서 백무동행 버스를 갈아타기도 하는데, 남원역과 시외버스터미널, 그리고 고속버스터미널이 제각각 떨어져 있어서 시내버스나 택시를 한 번 더 갈아타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전주공용버스터미널 ((063)270-1700/272-0109)
전주발 남원 경유 백무동행 버스가 만원일 경우를 감안, 남원까지 일단 열차로 가서 백무동행 버스를 갈아타는 이들도 적지 않다. 전주 발 남원 경유 백무동행 시외버스 1일 5회(07:11, 08:09, 11:01, 14:28, 16:09) 운행. 2시간40분 소요. 백무동→남원→전주행 시외버스 1일 5회(09:40, 10:50, 12:40, 15:00, 17:50) 운행. 99년 6월 현재 광주에서 남원을 경유하여 백무동 가는 버스가 2회 운행되고 있으나 하절기(7월15일~8월15일)에는 5회로 늘어난다. 하절기에 백무동~남원 간 버스편은 전주, 광주 등 대도시에서 남원을 경유하여 백무동까지 운행되는 시외버스, 남원까지 가는 버스 등을 합해 20회 정도로 늘어나게 된다.
그외 버스편
대구~거창~백무동 간 버스편과 부산~진주~백무동행 버스. 평소 1회 하절기 5회. 함양~인월~백무동행 버스. 오전 7시부터 오후 4시40분까지 40분∼1시간 간격 운행. 백무동에서 함양행 막차 19:40. 1시간 소요. 백무동~추성동 간 택시료 11,000원. 마천 택시부 전화 (055)962-5110. 지리산국립공원관리사무소 함양분소(마천) (055)962-5354.
숙박(지역번호 055) 백무동에 20호쯤의 민박집들이 있다. 대개 민박집과 가게를 겸하고 있으며, 매식도 된다. 방 크기에 따라 10,000∼30,000원선. 산채백반 3,500원. 닭백숙 20,000원.
영진산장 962-5337 야영장매점 962-5353 느티나무집 962-5345 백무산장휴게소 962-5211 산나물산장 962-5308 옛고을가든 963-4031 메아리산장 962-5340 참샘집 962-5332 한양산장 962-5338 지리산상회 962-5622 부산상회 962-5343 푸른산장 962-5114
뱀사골 기점
교통
버 스
인월 시외버스정류장 ((063)636-2000)
인월→반선 1일 26회 운행.
남원 공용버스터미널 ((063)631-3116)
남원→달궁 1일 3회(07:20, 09:30, 15:35) 운행
숙박(지역번호 063)
뱀사골 일원 민박 와운가든 626-0661 통나무산장 626-3791 큰솔가든 626-5587 천연송 625-0666 뱀사골농장 625-5236 와운산장 625-3023
반선 민박 그때 그 산채 식당 625-3329 만물슈퍼 626-3365 다있다슈퍼 626-6953 뱀사골슈퍼 626-8822 남원식당 626-5770 반야봉산채식당 626-8646 뱀사골산채식당 626-3078 반선슈퍼 626-1794 뱀사골민박촌 625-8955 보리식당 625-1918 일출식당 626-5071 천황봉산채식당 625-1915 산채전문식당 626-6196 달궁야영장 626-7727 장수식당 625-0107 유일슈퍼 626-2403 서울슈퍼 625-3755 지리산산채식당 625-9670 길손식당 625-2229 노고단식당 626-5600 전주식당 626-3362
달궁 민박 순천식당 626-2556 반달상회 626-3529 지리산가든 626-8471 달궁휴게소 626-3486 충남식당 625-0473 정자나무집 625-3690 만복상회 626-3341 달궁산장식당 626-3473 달궁산장식당 625-8971 부산식당 625-3586 청산모텔 625-2938 지리산식당 625-8800 송백산장 626-3624 평양식당 625-34786 왕국식당 626-3942 덕동상회 625-3484 덕동상회 636-3474 구판장 626-3013 대성식당 626-3506 대동식당 626-3481 달궁가든 625-3487 은행나무집 626-3280
산동 기점
교통
버 스
서울고속버스터미널
서울→남원 고속버스. 오전 6시부터 오후 7시20분까지 20~40분 간격 운행. 294km, 4시간10분 소요.
남원공용버스터미널
온천장행 버스 하루 7회 운행. 30분 소요. 지리산온천장에서 상위 마을까지 택시료 3,000원. 남원까지는 20,000원(온천택시부 전화=(061)781-1296). 상위 마을 민박집을 예약했을 경우는 민박집 자가용차량으로 온천장까지 마중나온다.
남원시외버스정류장
남원→구례. 남원시외버스정류장(고속터미널에서 1km). 오전 6시40분부터 오후 7시10분까지 하루 40여 회 운행. 1시간10분 소요.
기 차
서울역
서울에서는 열차로 구례구역까지 가서 상위마을행 버스를 탄다. 구례읍내에서 온천장 경유, 상위행 버스가 하루 4회(08:40, 09:40, 13:10, 18:10) 운행. 남원까지 열차나 고속버스로 가서 시외버스로 지리산온천장까지 간 다음 택시를 이용해도 좋다. 서울역→구례구역=남원·구례구역 경유 여수행 전라선 열차 06:35(새), 07:50(무궁화호), 08:50(무), 09:50(새), 10:50(무), 11:50(무), 12:50(무), 13:50(무), 14:50(무), 15:35(새), 15:50(무), 16:50(무), 17:50(새), 18:50(무), 22:50(무), 23:20(무), 23:50(무) 출발. 무궁화호 5시간, 새마을호 4시간30분 소요. 구례구역→서울역=06:23(무), 07:34(무), 08:47(무), 10:08(무), 11:20(새), 12:37(무), 13:37(무), 14:33(무), 15:10(새), 16:18(무), 17:20(무), 18:22(새), 19:22(무), 23:10(무), 24:10(무) 출발.
숙박(지역번호 061) 상위마을 구형근씨집 (061)783-1330 인수씨집 783-6320 임병옥씨집 783-1314 구양회씨집 783-1131 대평부락 김창곤 이장집 783-0536
쌍계사 기점
교통
버 스
하동시외버스터미널 (전화 (055)883-2663)
하동시외버스터미널에서 쌍계사 방면으로 운행하는 군내버스 이용. 08:00, 08:40, 09:40(의신), 10:30, 11:00(칠불사), 11:50(의신), 12:40, 13:30, 14:00, 15:00, 15:30, 15:40(의신), 16:40(칠불사), 17:20(의신), 17:50, 18:40(의신), 19:30(칠불사), 20:40(의신).
구례 공용버스정류장 ((061)782-3941~2)
06:10, 07:10(신흥), 08:00, 09:00(신흥), 09:40(신흥), 10:50, 12:25(신흥), 12:50(신흥), 14:30(신흥), 16:00(신흥), 17:00, 18:00 발 시외버스 이용.
숙박(지역번호 055)
의신 마을 민박 선유산방 882-4488 지리산산장 884-5658 대성산장 883-0332 세궁산장 883-0836 의신민박 883-1823 궁포산장 882-6713 대성동산장 883-1802 산악인의 집 884-4136 대성농원민박 883-3976 운해산정민박 883-1870
쌍계사 입구 석문 민박 서울식당 883-1731 쇠미거리민박 883-1728 쌍계수석원식당 883-1716 쌍계별장 883-1665 한소쿠리식당 882-3015 대중식당 883-1669 부산식당 883-1709 석문식당 883-1723
쌍계사 입구 용강 민박 관광식당 883-1707 부흥식당 883-1872 향원민박 883-1713 통나무집 883-1749 계림계곡식당 883-3906 섬진강식당 883-2345 청성식당 883-1714 행인민박 883-1732 * 지리산관리사무소 하동분소 (055)883-1750
실상사 기점
교통
버 스
인월 공용버스터미널 ((063)636-2000)
대구·광주 방면에서는 일단 인월까지 진입한 다음 인월 버스정류장에서 07:15부터 20:00까지 30여 회 운행하는 백무동행 버스 이용, 실상사 입구 하차. 삼정리는 인월에서 삼정리까지 1일 5회 운행하는 노선버스 이용. .
숙박(지역번호 055) 버스종점에 위치한 주차장휴게실은 민박과 식당을 겸하고 있다. 전화 (055)962-5456.
중산리 기점
교통
버 스
진주시외버스터미널 ((055)741-6039, 748-1700)
일단 진주까지 가서 중산리행 버스로 갈아타야 한다. 에서 중산리행 버스가 하루 18회 운행. 1시간10분 소요. 중산리에서 진주행 막차는 오후 7시35분에 출발.
숙박(지역번호 055) 중산리분소(매표소) 앞에 최근 신축한 상가 건물이 있다. 식당 4개소, 수퍼 1개소, 그리고 2층에 민박집 3개소가 들어 있다.
천왕봉의 집 전화 (055)972-1155 토지산장수퍼 973-9283 민속식당 973-2363 산꾼의집 972-1212 용궁산장 973-8646 * 민박료 3∼4인용 30,000원, 20인용 70,000원 선.
그외 중산리 일대 숙박업소 두류산장 (055)972-1289 산사랑민박 973-5879 은하상회민박 972-1312 관광상회민박 972-1116 지리산휴게소 972-1122 목원가든민박 972-4188 반야산장 972-1414 숲속민박 972-1303 가람식당 972-1159 영빈산장 972-1267 산터박이터민박 973-7164 산촌민박 972-1493 산사람민박 972-1381 대덕골민박 973-0382 산인돌담집 973-9200 * 지리산관리사무소 중산리분소 (055)972-7785.
청학동 기점
교통
버 스
하동 시외버스정류장 ((055)83-2662)
청학동행 버스가 1일 5회(08:20, 11:00, 13:00, 15:20, 19:00) 운행. 청학동→하동=07:20 10:00 12:30 15:0 17:00 출발.
숙박(지역번호 055) 동이주막 882-7069, 883-3934 모심정전통찻집 883-3080, 884-3080 모란정식당 882-7066 별집식당 882-7204 민속식당 882-7200 고산식당 882-7210 지리산식당 882-1893 고향식당 882-7202 청학산장 884-0006, 882-7474 회운식당 883-8561 동원식당 883-7816 명월산장 884-1127 청곡산장 882-7043 총각산장 882-7178 자연산장 882-4137 오복산장 882-7052 청뫼산장 884-2869 계곡산장 882-7395 삼승산장 882-7137 청토산장 882-0666, 882-7186 상불식당 882-8757 불지산장 882-7071
추성동(칠선골) 기점
교통
버 스
시외버스
함양~인월~추성동 하루 18회 운행. 추성동~함양 막차 19:20(함양교통 (055)963-3745,6). 1시간 소요. 남원 방면에서 접근할 경우는 남원∼함양간을 5분 간격으로 운행하는 시외버스편을 이용해 지리산 북방의 관문인 인월까지 간 다음 함양 발 추성동행 버스로 갈아탄다. 남원이나 함양을 출발, 인월을 지나 마천 방면으로 운행하는 버스 하루 30회. 마천까지 간 다음 택시 이용. 마천택시부 전화 (055)962-5110. 마천에서 남원행 막차는 19;50(1시간10분 소요), 함양행 막차는 19;40(50분 소요). 마천에서는 부산과 대구행 직행버스도 있다. 허공다리골 입구인 광점동까지 가는 버스는 없으므로, 추성동 삼거리에서 내려 걸어가야 한다.
숙박(지역번호 055)
추성동 민박 칠선휴게소(추성민간산악구조대장 허상옥씨집) (055)962-5494 지리산식당 962-5738 벽촌집 962-9511 추성산장 962-2422 호두나무집 962-5497 칠선산장 962-5630 * 이 마을의 별미는 지리산 흑돼지구이.
광점마을(허공다리골 입구) 민박 광주리농원(염소구이 전문) 962-5648 덕천산장 963-9405 김종현씨 집 963-3427 이봉덕씨 집 962--5644 이진호씨 집 962-5507
피아골 기점
교통
버 스
구례공용버스 ((061)782-3941~2)
1일 8회(08:30, 09:40, 11:40, 13:40, 14:40, 15:40, 17:40, 19:40) 운행하는 직전행 시외버스 이용. 직전 발 구례행 버스는 07:00, 09:30, 10:20, 12:30, 14:30, 15:30, 16:30, 18:30 출발.
숙박(지역번호 061)
직전부락 민박 산아래첫집 782-7460 피아골민박상회 782-7442 에덴산장 782-8126 산수상회 782-6000 지리산상회 782-8106 피아골상회 782-8034 반야봉산장 782-5466 산골민박 782-0527 계곡상회 782-7446 대곡산장 782-0538
당치·농평 민박 당치민박 782-7949 통꼭지민박 782-7462 농평민박 782-8685 이강율씨집 782-7958
화엄사 기점
교통
대중교통
구례시외버스정류장 ((061)782-7788)
구례까지는 광주, 서울, 부산, 순천, 여수, 전주 등지에서 출발하는 시외버스나 고속버스편도 수시로 다니고 있다. 구례~화엄사 군내버스. 오전 6시30분부터 오후 8시40분까지 36회 운행.
기차편
전라선 통과 지역에서는 구례구역까지 열차를 이용하면 편리하다. 서울역에서 출발하는 전라선 열차가 07:35부터 23:35까지 하루 13회 운행하고 있다. 구례구역 전화 (061)782-7788.
그외 교통편
승용차
남원에서 구례·순천 방향 산업도로를 타고 32km 가량 가서 구례 방향으로 내려선다. 교차로에서 하동 방향으로 좌회전하여 잠시 가서 다시 만나는 삼거리에서 좌회전하면 화엄사 방향이다. 이 18번 국도를 따라 3.6km 가면 역시 갈림길이 나오고 오른쪽 길을 따라가도 화엄사가 나온다. 천은사에서 861번 지방도로를 따라 구례쪽으로 2.2 km 가면 광의주유소가 있는 사거리가 나온다. 사거리에서 왼쪽으로 난 2번 군도로를 따라 2.7km 가면 다시 두 갈래로 길이 나뉘는데 왼쪽 길이 화엄사로 가는 길이다. 화엄사 입구 관광단지에는 넓은 주차장과 함께 여관, 민박, 음식점이 많이 있다.
숙박(지역번호 061) 지리산프라자호텔 782-2171 스위스관광호텔 783-0701 섬진강호텔 782-2000 그랜드호텔 783-1011 송원리조트콘도 780-8000 서라벌파크 783-0707 월등파크호텔 782-0082 파크장여관 782-9881 지리산워커힐 782-1520 지리산프린스 782-0740 화엄각여관 782-9911 미석여관 782-0313 흙기와여관 782-0205 서울각 황토방여관 782-0997 금호산장 782-2793 마산황전민박마을 782-4418
지리산의 대피소
노고단대피소 성삼재에서 1시간 거리에 위치한 노고단대피소는 지리산 주릉 종주 때 첫날 숙소로 많이 애용된다. 공단 직영. 88년 신축, 개관된 신산장은 75평 크기의 콘크리트건물로서 적정 수용인원은 220명. 이용료 하루 3,000원. 담요 대여료 1,000원, 침낭대여료 2,000원씩을 받는다. 예약제를 원칙으로, 당일 숙박 예약은 여름철 오후 5시, 겨울철 오후 4시부터 신청받는다. 24시간 개방을 원칙으로 오전 중에는 청소 때문에 이용객을 받지 않으나, 날씨가 나쁠 경우에는 개방한다. 공단 직영의 다른 대피소도 마찬가지. 71년 건축된 구산장은 통나무로 재단장, 가족실로 대여하고 있으나 겨울에는 잠정 폐쇄한다. 과자류와 라면, 가스, 필름, 건전지 등을 시중 가격대로 받는다.
대피소 옆에는 대형야영장(소형 300동 규모)이 있으며 야영장 이용료는 소형 텐트 3,000원, 중형텐트 4,500원. 전화 (061)783-1507.
로타리대피소 부산 로타리클럽이 78년에 세운 대피소로 현재 개인이 운영한다. 남녀용으로 구분된 단층 침상 구조로 70명 수용 가능하다. 이용료 3,000원, 간단한 침구도 준비돼 있다(대여료 1,000원). 연말연시 천왕일출맞이 등산객들이 몰릴 경우 이외에는 한적한 편이다. 전화 (055)973-1400.
뱀사골대피소 뱀사골계곡 최상단, 지리산 주릉의 화개재 북쪽 바로 밑에 있다. 85년 개축된 현 건물의 적정인원은 80명. 이용료 3,000원, 침낭 대여료 2,000원. 라면 1,000원, 부탄가스 1,500원. 남원산악인 고영국씨(43·개척산악회원)가 관리중이다. 전기를 사용하지 않아 이 대피소 안에서는 가스등이나 촛불을 사용해야 한다. 전화 (063)626-1732.
벽소령대피소 크기에 차이가 있을 뿐, 세석대피소와 거의 모든 조건이 비슷하다. 수용인원 250명. 전화가 없으나 비상시 무전기로 지리산국립공원 동부관리소(전화 (055)972-7771)와 연결된다.
세석대피소
세석대피소는 공단이 23억 원을 투입, 96년 1월1일 완공, 개장한 통나무식 대피소다. 수용인원이 300명으로서 지리산 내의 대피소 가운데 규모가 가장 크고 운치도 뛰어난 곳이다. 지은 지 몇해 안돼 내부에 들어서면 나무 향기가 은은하며, 2층 앞쪽으로는 지리산 주릉 남사면의 설경을 한눈에 볼 수 있는 전망대 겸 휴게소가 있다. 장터목대피소와 벽소령대피소까지 관장하는 분소가 설치돼 있으며 분소장 외 5명 직원이 관리한다. 사용료 5,000원, 침구 대여료 담요 1장에 1,000원(200장이 준비돼 있음). 연말연초와 한여름 피서철에는 대개 초만원이나, 그 외는 침상에 여유가 있다. 2층은 칸막이가 된 가족실로서 5∼8인의 단체가족일 경우 빌려준다. 자가발전과 난방을 하며 밤 10시에 소등한다. 구대피소는 취사장으로 사용하고, 대리소 아래 아래 50m 지점에 수량이 풍부한 샘이 있다. 초코파이, 비스킷, 건전지 등 판매. EPI가스 3,000원, 부탄 가스 2,000원, 라면 500원, 사발면 1,500원, 참치캔 2,500원, 김치캔 2,000원, 깻잎캔 2,000원, 화장지 500원, 캔맥주 3,000원. 소주는 팔지 않는다. 전화 (055)973-1600.
장터목대피소 구산장 건물과 통로를 연결, 신산장을 건축한 후 구산장도 통나무로 새로이 장식하고 97년 11월3일 준공했다. 침실과 취사장이 같은 건물 내에 위치한 것이 장점. 그러나 화장실은 구산장 뒤의 조금 먼 거리에 있다. 가물 때는 150m 아래의 샘에서 물을 길어와야 한다. 다른 조건은 세석대피소와 거의 흡사. 세석과 마찬가지로 이곳도 난방이 잘 돼 얇은 침낭으로도 견딜 수 있다. 전화 (055)973-1750.
치밭목대피소 진주의 전문 산악인 민병태씨(45·마차푸차레산악회원)가 운영하는 한갓진 대피소로, 주변 숲 분위기가 멋진 곳이다. 적정인원은 50명. 침구는 대여하지 않으며 커피 이외는 물품 판매를 하지 않는다. 산장 이용료 3,000원. 전화는 없다.
피아골대피소 피아골 버스 종점인 직전 부락에서 피아골을 따라 2시간쯤 오르면 닿는 대피소다. 지리산 주릉 종주시 첫날 오후에 일단 이곳까지 오르는 것도 시간을 절약하는 방법이다. 70년부터 노고단 구대피소를 관리해오던 함태식씨(71)가 88년부터 관리하고 있다. 적정인원은 70명. 이용료는 3,000원. 담요 대여료 1,000원, 침낭 2,000원. 라면 700원, 캔맥주 3,000원. 태양열 발전으로 전등을 켜고 있으나 겨울에는 해가 짧아서 충전이 잘 안되므로 9시경이면 소등한다. 전화 (061)782-9675.
대피소 예약 전화번호
노고단 ·피아골 (061)783-9100(지리산관리사무소 남부지소) 뱀사골 (063)625-8911~2(지리산관리사무소 북부지소) 로타리 (055)973-1400(로타리산장) 연하천, 장터목, 벽소령, 피아골, 세석 (055)973-0399(지리산관리사무소 동부관리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