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범여(梵如)의 世上사는 이야기
역사속으로

4색붕당(노론, 소론, 남인, 북인) 분당 계보도-(2/2)

by 범여(梵如) 2012. 12. 1.

  |  ┌ 동인(東人)(1575-1591(선조8-24), 17년) - 14대 선조 때부터, 중앙정계에 등장한 영남사림들

        |   |    | (1) 학맥

        |   |    | - (조광조) -> (이언적) -> 이황 및 조식/서경덕 도통(道統) 추종의 영남사림파(영남학파)

        |   |    | (2) 지역기반

        |   |    | - 경상도 : 기호지방에 비해, 외부와의 교류가 적은 폐쇄적/안정적/자급자족적 지역기반

        |   |    |    -> 비타협적 강경성향(조식/서경덕 계열)과, 개인적 수기(修己) 및 수양철학(이황계열)의 지리적 배경

        |   |    | (3) 학풍-정치성향

        |   |    | - 지배층의 개인윤리/도덕을 중시하여, 적극적인 훈구척신정치 청산을 요구

        |   |    | (4) 집권시기 및 집권계기 

        |   |    | - 14대 선조 초기(1575-1591) : 이조 정랑(正郞, 정5품)에 김효원(동인) 취임 (-> 최초의 사림붕당 집권)

        |   |    | (5) 주요인물

        |   |    | - 14대 선조(1567-1608)

        |   |    |    - 영남사림

        |   |    |       - 이황(퇴계학파) 계열 : 구봉령, 이경중, 홍적, 홍진(洪進), 황응규

        |   |    |          - 진원박씨(호남출신) : (의병장) 박광전, (박근효), 박근제

        |   |    |       - 조식(남명학파) 계열 : 김담수, 김우옹, 김효원, 이준민, 조원, 최영경

        |   |    |       - 기타 : 김첨-김성립, 남응운, 박광옥, 박근원, 유잠, 이순인, 이식(李拭), 임훈, 정지연, 정희적

        |   |    |          - 은진송씨 : 송기수, 송응개, 송응형

        |   |    |    - 호남사림(전라우(右)도, 동인계열) (-> 정여립역모사건(기축옥사, 1,000여명 북인처형, 1589))

        |   |    |       - 김인후 계열 : (창녕조씨) 조대중(曺大中), 조수성(曺守誠), 조수홍(曺守弘)

        |   |    |       - 서경덕(화담학파) 계열 : 민순, 박지화, 윤의중, 이발-이길, 이지함(토정비결), 정개청, 허엽-허봉, (홍가신)

        |   |    |          - 해남윤씨 : 윤강중, 윤흠중, 윤단중 / 문위세(의병장)

        |   |    |       - 동래정씨 : 정언지, 정언신, 정여흥, 정여립, 정옥남, 정집 / 이진길 / 정윤복

        |   |    |       - 수원백씨 : 백유양, 백진민, 백수민

        |   |    |

        |   |    |

        |   |    |

        |   |    | => 1591년(선조24년), 동인의 남/북인 분열

        |   |    | - 조식/서경덕 계열(북인)과 이황계열(남인) 간의 학맥대립

        |   |    | - 정여립역모사건(조식/서경덕 계열(북인), 기축옥사, 1589) 때, 이황계열(남인)의 정치적 비협조

        |   |    | - 세자책봉(건저의(建儲議), 1591)문제로 정철 탄핵 때, 처벌강경파(북인)와 처벌온건파(남인) 간의 노선대립

        |   |    | - 5현(5賢)종사 때, 정인홍(북인)의 회퇴변척(晦退辨斥, 이언적/이황(남인)의 종사반대, 1611)에 따른 감정대립

        |   |    | - 이발/이산해의 집이 한양 北쪽이라 북인(北人), 우성전의 집이 한양 南쪽이라 남인(南人)으로 붕당명명

        |   |    |

        |   |    |

        |   |    |

        |   |    |  ┌ 북인(北人)(1591-1599(선조24-선조32), 9년) - 경상우(右)도에 기반한 영남사림들

        |   |    |   |    | (1) 학맥

        |   |    |   |    | - (조광조) -> 조식(남명학파)/서경덕(화담학파) 도통(道統) 추종의 영남사림파(영남학파)

        |   |    |   |    | (2) 지역기반

        |   |    |   |    | - 경상우(右)도(경남 진주/합천) : 강우(江右, 낙동강의 오른쪽)학파

        |   |    |   |    |    - 기호지방에 비해, 외부와의 교류가 적은 폐쇄적/안정적/자급자족적 지역기반

        |   |    |   |    |       -> 비타협적 강경성향(조식/서경덕계열)의 지리적 배경

        |   |    |   |    | (3) 학풍

        |   |    |   |    | - 주자학은 물론, 양명학, 도교(노장사상, 선학(禪學)), 잡학(천문, 지리, 의학, 병법, 점술) 등에도 관심

        |   |    |   |    | - 주자학의 관념적 상학(上學) 대신, 실천적 하학(下學, 일상생활에서 배움을 실천하는 행동철학)을 중시

        |   |    |   |    |    -> 이기논쟁(주리론(이황계열 남인)-주기론(이이계열 서인)) 자체를, 상학(上學, 형이상학)적이라 비판

        |   |    |   |    | (4) 정치성향

        |   |    |   |    | - 지배층의 개인윤리/도덕을 중시하여, 적극적으로 훈구척신정치 청산을 요구

        |   |    |   |    | - 부정/부패를 용납치 않는 학풍으로 인해, 다른 붕당과 타협치 않는 강경성향을 형성

        |   |    |   |    | - 절의를 중시하고, 지행합일(知行合一)의 실천적 현실참여를 주창하여, 임진왜란 때 다수의 의병장 배출

        |   |    |   |    | (5) 정치분야 주요당론

        |   |    |   |    | - 정치분야 - 왕권/신권 관계론에 관한 당론

        |   |    |   |    |    - 비교적 미약한 붕당기반(경상右도)으로 인해, 왕권(王權)에 의지한 수직적/집중적 정치를 지향

 

 

        |   |    |   |    | (6) 주요인물

        |   |    |   |    | - 14대 선조(1567-1608) : 김선여, 이기, 이주(李澍)

        |   |    |   |    |    - 풍천임씨(광해군 후궁6) : 임국로, 임몽정, 임취정

        |   |    |   |    |    - 의병장 : 김덕령, 김면

        |   |    |   |    | - 15대 광해군(1608-1623) : 구의강

        |   |    |   |    |    - 의병장 : 곽재우, 정인홍

        |   |    |   |    | - 16대 인조(1623-1649) : 송석경, 이광정(李光庭)-이창정

        |   |    |   |    |

        |   |    |   |    |

        |   |    |   |    |

        |   |    |   |    | => 1599년(선조32년), 북인의 대/소북 분열

        |   |    |   |    | - 세자책봉문제에서, 광해군 지지파(대북)와 영창대군 지지파(소북) 간의 노선대립

        |   |    |   |    | - 對남인 배제파(대북)와 對남인 연대파(소북) 간의 노선대립

        |   |    |   |    | - 연장/기성세력 중심이라 대북(大北), 연소/신진세력 중심이라 소북(小北)으로 붕당명명

        |   |    |   |    | - (대북 중에서도, 인목(仁穆)대비 폐모(계축화옥, 1613) 반대파로서 중북(中北) 분당)

        |   |    |   |    |

        |   |    |   |    |

        |   |    |   |    |

        |   |   └   |    | ┌ 대북(大北)(1599-1623(선조32-인조즉위), 25년) - 광해군 지지 북인들

        |   |         |    |  | (1) 집권시기 및 집권계기

        |   |         |    |  | - 15대 광해군(1608-1623) : 광해군 즉위로 대북집권

        |   |         |    |  | (2) 주요인물

        |   |         |    |  | - 15대 광해군(1608-1623)

        |   |         |    |  |    - 육북(肉北) : 민몽룡, (박응서), 백대형, 서국정, 성하연, 유숙(柳潚), 윤인, 이위경, 이정원, 이재영,

        |   |         |    |  |       정영국, 조존세, 채겸길, 한찬남, 한효순, 한희길, 홍요검, 황덕부

        |   |         |    |  |       - 광주이씨 : 이이첨, 이원엽, 이홍엽, 이대엽, 이익엽, 이영식

        |   |         |    |  |       - 해주정씨 : 정조, 정규, 정준, 정도

        |   |         |    |  |       - 청주한씨 : 한안국, 한정국(韓定國), 한정국(韓正國)

        |   |         |    |  |    - 골북(骨北) : 홍여순

        |   |         |    |  |    - 허균(홍길동전) 계열 : 김개, 원종, 유세증, 이강, (이달), 현응민, 황정필 (-> 허균역모사건(1618))

        |   |         |    |  |    - 문화유씨(광해군 처가) : 유자신, (유희분), 유희발, 유희량, 유두립, 유효립

        |   |         |   └  |    - 기타 : 경섬, 문홍도, 민심, 신식, 윤수민, 이산해-이후(李厚), 이충, 정인홍(최초의 산림(山林)),

        |   |         |        |       정호관, 채겸길, 허잠

        |   |         |        | - 16대 인조(1623-1649) : 김치, 박정현, 유공량, 이경전, 이덕형(李德泂), 이상의, 이성, 이시언, 정립,

        |   |         |        |    조희일-조희진

        |   |         |        |

        |   |         |        |

        |   |         |        |

        |   |         |       ├ 중북(中北)(1613-1623(광해군5-인조즉위), 11년) - 인목(仁穆)대비 폐모반대 북인들

        |   |         |        | (1) 주요인물

        |   |         |        | - 15대 광해군(1608-1623) : 문경호, 유몽인-유약, 최유원

        |   |         |        | - 16대 인조(1623-1649) : 기자헌-기준격, 정온

        |   |         |        |

        |   |         |        |

        |   |         |        |

        |   |         |       └ 소북(小北)(1599-1623(선조32-인조즉위), 25년) - 영창대군 지지 북인들

        |   |         |             | (1) 집권시기 및 집권계기

        |   |         |             | - 14대 선조 후기(1602-1608) : 정유재란(1597-98) 문책으로 남인실각

        |   |         |             | (2) 주요인물

        |   |         |             | - 15대 광해군(1608-1623)

 

 

        |   |         |             |    - 청북(淸北, 남당(南黨)) : 남이신, 남이공

 

        |   |         |             |    - 탁북(濁北, 유당(柳黨)) : 김대래, 성영, 이홍로, 허욱

        |   |         |             |       - 전주유씨(선조사돈7) : 유영경, 유선, 유열, 유업, 유항, 유성, 유정량 / 황섬-황유중

        |   |         |             |    - 남양홍씨(선조사돈5) : 홍식(洪湜), 홍우경

        |   |         |             |    - 밀양박씨(광해군 사돈) : 박승종, 박자흥 / 박엽

        |   |         |             |    - 기타 : 박승업, 박이서, 윤효전, 허성

        |   |         |             | - 16대 인조(1623-1649) : 성준구, 유성증, 이덕온, 이효원-이정

        |   |         |             | - 17대 효종(1649-1659) : 김신국

        |   |         |             | - 18대 현종(1659-1674) : 이해

        |   |         |             |

        |   |         |             |

        |   |         |             |

        |   |         |    ┌ ㅡ ┘=> 1623년(인조반정) 이후, 소북 등 북인의 잔존세력은 남인으로 흡수

        |   |         |     |

        |   |         |     |

        |   |         |     |

       └   |        └ 남인(南人)(1591-1694(선조24-숙종20), 104년) - 경상좌(左)도에 기반한 영남사림들

             |               | (1) 학맥

             |               | - 춘추-전국시대, 공-맹자의 선진(先秦, 원시)유학을 추종

             |               |    - 공-맹자는, 춘추-전국시대 혼란상의 원인을 왕권의 약화에서 찾음 -> 강력한 왕권(王權)을 지지

             |               |    - 4서(4書, 대학-논어-맹자-중용)보다, 5경(5經, 시경-서경-역경(주역)-예기-춘추)을 중시

             |               | - (조광조) -> (이언적) -> 이황(퇴계학파) 도통(道統) 추종의 영남사림파(영남학파)

             |               | (2) 지역기반

 

             |               | - 경상좌(左)도(경북 안동) : 강좌(江左, 낙동강의 왼쪽)학파

             |               |    - 기호지방에 비해, 외부와의 교류가 적은 폐쇄적/안정적/자급자족적 지역기반

             |               |       -> 개인적 수기(修己, 이(理))를 중시하는 수양철학의 지리적 배경

             |               | (3) 학풍

             |               | - 개인적 수기(修己, 이(理))를 중시하는 수양철학적 성격

             |               |    -> 유교원리(= 이(理))에 대한 인식을 중시해, 유교규범(명분(名分)론) 및 유교적 신분질서 확립에 기여

             |               | - 주리(主理)론-이기(理氣)2원론의 학풍에 따른, 정치/경제/사회적 정책성향

             |               |    - [이(理) > 기(氣)] -> [왕권(王權) > 신권(臣權)]           -> 왕권(王權) 중심의 정치질서 추구

             |               |    - [이(理) > 기(氣)] -> [사(士) > 농(農) > 공상(工商)]     -> 유교 원리주의적(>) 경제질서 추구

             |               |    - [이(理) > 기(氣)] -> [남(男) > 여(女), 적(嫡) > 서(庶)] -> 유교 원리주의적(>) 사회질서 추구

 

 

             |               | (4) 對기호학파-서인 간 주요논쟁

 

             |               | i) 1559-1566년, 이황(퇴계학파) <-> 기대승(기호학파) 간의, 4단-7정(4端-7情) 학문논쟁

             |               |    - 기대승(기호학파)과의 공통점

             |               |       - 이기(理氣)는, 하나이면서 둘이요, 둘이면서 하나(一而二 二而一)의 관계

             |               |       - 이기(理氣)는, 불상리-불상잡(不相離-不相雜, 서로 떨어질 수 없으나 섞일 수도 없음)의 관계

             |               |    - 기대승(기호학파)과의 차이점

             |               |       - 이기(理氣) 불상리-불상잡(不相離-不相雜) 중에서, 불상잡(不相雜, 섞일 수 없음)을 더 중시

             |               |    - 이황(퇴계학파)이, 이기-호발(理氣-互發)설을 주장

             |               |       - 이기(理氣)의 호발(互發) : 이기(理氣)가 서로(互) 발(發)현됨

             |               |          - 이발(理發, 이(理)의 발현) -> 4단(4端, 인의예지(仁義禮智) - 도심(道心))

             |               |          - 기발(氣發, 기(氣)의 발현) -> 7정(7情, 희노애락애오욕(喜怒哀樂愛惡慾) - 인심(人心))

             |               |             -> 7정(7情)은 기(氣)의 발현(인심(人心))이나, 4단(4端)은 이(理)의 발현(도심(道心))이라 주장

             |               |             -> 이(理)의 독자적 발현을 주장함으로서, 이(理)만의 능동적 운동성을 인정

             |               |    - 정치적 시사점

             |               |       - 왕권(= 이(理))의 독자적 발현을 주장함으로서, 왕권(= 이(理))만의 능동적 운동성을 인정

             |               | ii) 이황(퇴계학파) <-> 이이/성혼(기호학파) 간의, 이기(理氣) 학문논쟁

             |               |    - 이황(퇴계학파)이, 주리(主理)론-이기(理氣)2원론을 주장

             |               |       - 기(氣, 형이하학적/실제적 재료)에 대한, 이(理, 형이상학적/관념적 원리)의 절대적 우위론을 주장

             |               |    - 정치적 시사점

             |               |       - 신권(= 기(氣))에 대한, 왕권(= 이(理))의 절대적 우위론을 주장

             |               | iii) 1659/1673년, 윤휴(남인) <-> 송시열(서인) 간의, 예송(禮訟) 정치논쟁

             |               |    - 윤휴(남인)가, 사대부(사대부-례(士大夫-禮))와 구분되는, 군주(왕조-례(王朝-禮))만의 특수성 인정

             |               |       -> 1차(기해, 1659(현종즉위)) 예송논쟁 때, 3년복(차-장자복(次-長子服)) 주장의 학문적 배경

             |               |       -> 2차(갑인, 1673(현종14)) 예송논쟁 때, 12개월복(차-장자부복(次-長子婦服)) 주장의 학문적 배경

 

 

             |               | (5) 정치성향

             |               | - 지배층의 개인윤리/도덕을 중시하여, 적극적인 훈구척신정치 청산을 요구

             |               | - 붕당 간의 상호협력을 중시하는 온건성향

             |               | - 신권(臣權) 중심의 정치가 아닌, 왕권(王權) 중심의 정치를 지향

             |               |    -> (숙종)-영조-정조 때의, 탕평론(蕩平論) 지지로 연결

             |               | (6) 각분야 주요당론

             |               | i) 정치분야 - 왕권/신권 관계론에 관한 당론

             |               | - 총론 : 사림의 공론(公論, 사론(士論))보다, 군주의 권위를 우선시

             |               |    - 신권(臣權)정치를 추구하는 서인을 견제할 목적에서, 왕권(王權) 중심의 정치를 지향

             |               |    - 사대부(사대부-례(士大夫-禮))와 구분되는, 군주(왕조-례(王朝-禮))만의 특수성 인정

             |               | - 기타 : 갑인환국(1674) 전후, 서인의 5군영을 견제할 목적에서의 군권장악책

             |               |    -> 군권장악 - 훈련별대(1669) 및 도체찰사부(1675, 1678)의 창/복설 주도

 

 

             |               | ii) 경제분야(농업부문) - 수취제도/토지제도 개혁론에 관한 당론

 

             |               | - 총론 : 재지(在地)중소지주/자영농의 안정을 통해, 향촌경제의 안정을 추구

             |               | - 수취제도(전세-공납-군역) 개혁론에 관한 입장

             |               |    - 농민층의 이익을 중시해, 대동법(大同法) 시행-확대(1608-1708(광해군즉위-숙종34))에 적극적

             |               |    - 유교 원리주의적 경제질서[사(士) > 농(農)]를 추구하여, 호포법(戶布法) 논의에 강력반대

             |               |       -> 호포법 대신에, 균역법(均役法, 1751(영조27))을 시행하는 선에서 집권서인과 타협

             |               | - 토지제도 개혁론에 관한 입장 (-> 남인계열 실학파(중농(경세치용)학파)의 견해)

             |               |    - 농민층의 이해를 대변하여, 한전론(限田論, 토지소유상한제, 이익의 주장) 논의에 적극적

             |               |    - 농민층의 이해를 대변하여, 여전론(閭田論, 토지공동소유제, 정약용(다산)의 주장) 논의에 적극적

             |               | iii) 경제분야(상공업부문)

             |               | - 총론 : 서인에 비해, 상공업부문 발전론에 소극적

             |               |    -> 학문적 배경 : 유교 원리주의적 경제질서[농(農) > 공상(工商)]를 추구

             |               |    -> 지리적 배경 : 영남지방의 향촌에 근거한 붕당기반

             |               |         -> 남인계열 실학파(중농(경세치용)학파)의 학문/지리적 배경

             |               | - 서인에 비해, 화폐유통에 소극적

             |               |    -> 상평통보(常平通寶, 1678(숙종4))가, 서인이 장악한 군영인 훈련도감/어영청/정초청 등에서 발행

             |               | - 육의전/시전상인(독점상인층)과 연결된 서인을 견제할 목적에서, 난전(亂廛, 중소상인층)에 호의적

             |               |    -> 금난전권(禁亂廛權)을 철폐한 신해통공(通共, 1791(정조15))으로 연결

             |               | iv) 사회분야 - 신분제도 완화론에 관한 당론

             |               | - 총론 : 유교 원리주의적 사회질서[적(嫡) > 서(庶)]를 추구

             |               |    -> 서인에 비해, 노비속량(奴婢贖良) 및 서얼허통(庶孼許通)에 소극적

             |               |    -> 유교원리(= 이(理))에 대한 인식을 중시해, 유교규범(명분(名分)론) 및 유교적 신분질서 확립에 기여

             |               | (7) 집권시기 및 집권계기

             |               | - 14대 선조 중기(1591-1602) : 동인의 남북분열 이후, 남인쪽으로 권력승계

             |               | - 19대 숙종 초기1(1674-1680) : 갑인환국으로 서인(산당)실각

             |               | - 19대 숙종 중기1(1689-1694) : 기사환국(100여명 서인처형, 왕후 장희빈)으로 노론(서인)실각

             |               | (8) 주요인물

             |               | - 14대 선조(1567-1608) : 고응척, 권호문, 금난수, 김명원, 김성일, 김응남, 목첨-목수흠, 성락, 유빈(柳濱),

             |               |    우성전(의병장), 유복립, 유운룡-유성룡, 윤탁연, 이덕홍, 이보, 이성중, 이양원, (이순신), (장응인), 정사성

             |               |    정탁, 조목

             |               |    - 안동권씨 : 권극례, 권극지 / (권율)

             |               | - 15대 광해군(1608-1623) : 권득기, 권우, 권춘란, 김수, 김정룡, 남영, 목취선, 배삼익, 백유함, 서산원,

             |               |    송언신, 오억령, 윤승훈, 이광준, 이진, 정협, 조호익(曺好益), 홍진(洪進)

             |               |    - 청주한씨(인조처가1) : 한백겸, 한준겸

             |               | - 16대 인조(1623-1649) : 권태일, 권희(權憘), 김정견, 김중청, 손처눌, 오백령-오단, 이광윤, 이민성,

             |               |    이덕형(한음, 李德馨), 이호민, 정세미, 정호선-정호서, 허교

             |               |    - 사천목씨 : 목서흠, 목장흠, 목대흠, 목성선

             |               |    - 전주이씨 : 이원익 / 이수광(지봉유설), 이성구 / 이호신

             |               | - 17대 효종(1649-1659) : (기호남인) 남두첨, 정언벽-정언황, 조석형

             |               | - 18대 현종(1659-1674) : (기호남인) (권대항), 권시, 박세성, 목겸선, 민응협, 윤선도(고산), 이민구,

             |               |    이휘일, 정효준-정식, 조수익, 채유후, 허후(許厚)

             |               | - 19대 숙종(1674-1720) : (기호남인) 탁남(濁南), 청남(淸南)

             |               |    - 인동장씨(숙종후궁) : 희빈(禧嬪)장씨(장옥정), 장현, 장형, 장희재 / 윤순명

             |               |    - 해주정씨 : 정익, 정석, 정박

             |               |    - 舊북인(대북) 계열 : (양천허씨) 허새, 허영 / 남치훈

             |               |    - 기타 : 권유(權愈), 남중유, 도신징, 유혁연, 신석번-신석형, 윤두서(화가), 이구(李球), 이덕주,

             |               |       이만원, 이운징, 이의징, 정시한-정시윤

             |               | - 20대 경종(1720-1724) : (기호남인) 문내(門內)파, 문외(門外)파

             |               | - 21대 영조(1724-1776) : (기호남인) 문내(門內)파, 문외(門外)파 / 이수연

             |               | - 22대 정조(1776-1800) : (기호남인) 벽파(僻派, 홍당), 시파(時派, 채당)

             |               | - 23대 순조(1800-1834) : (기호남인) 벽파(僻派), 시파(時派) / 이수인

             |               | - 24대 헌종(1834-1849) : 이가순, 이희발

             |               | - 25대 철종(1849-1863)

             |               | - 26대 고종(1863-1907) : 이휘준, 최우형

             |               |   - 경주최씨 : 최제우, 최시형 / (이필제) (-> 동학농민전쟁(1894(고종31)))

             |               | - 27대 순종(1907-1910) : 이만도(의병장)

             |               | - 일제강점기(1910-1945) : 홍승균(친일파)

             |               |    - 독립운동가 : (진성이씨) 이원기, 이육사(원록, 시인), 이원유

             |               | - 대한민국(1945-현재) : (독립운동가) 유림(柳林), 홍진(洪震)

             |               |   - 舊북인 계열 : 엄항섭(독립운동가)

             |               |

             |               |

             |              └ => 인조반정(1623) 및 4대환국(1674-1694) 이후, 남인계열 小계보도

             |               |┌ 영남 남인(이황정통의 이학(理學)파) - 인조반정(1623) 이후, 영남향촌으로 낙향한 남인계열

             |               | |    |

             |               | |    |┌ 병파(屛派, 병론(屛論)) - 유성룡 계열의 영남 남인들(풍산유씨-병산서원파)

             |               | |    | | - 학맥 : (이황) -> 유성룡 -> 정경세 -> 유진 -> 유원지 도통(道統) 추종

             |               | |    | | - 주요인물

             |               | |    | |    - 16대 인조(1623-1649) : (흥양이씨) 이전, 이준(李埈) / 유진, 전식, 정경세, 홍호

             |               | |    | |    - 17대 효종(1649-1659) : 정도응

             |               | |    | |    - 18대 현종(1659-1674) : 김응조, 유원지, 조익(趙翼)

             |               | |   └ |    - 19대 숙종(1674-1720) : 유세철, 홍여하

             |               | |       |    - 21대 영조(1724-1776) : 김간(金侃), 김정

             |               | |       |    - 23대 순조(1800-1834) : (풍산유씨) 유규, 유심춘 / 정종로

             |               | |       |    - 24대 헌종(1834-1849) : 정상리

             |               | |       |    - 25대 철종(1849-1863) : 이윤룡

             |               | |       |    - 26대 고종(1863-1907) : (풍산유씨) 유후조, 유주목

             |               | |       |

             |               | |      └ 호파(虎派, 호론(虎論)) - 김성일 계열의 영남 남인들(의성김씨-호계서원파)

             |               | |          - 학맥 : (이황) -> 김성일 -> 장흥효 -> 이현일 -> 이재(李栽) 도통(道統) 추종

             |               | |          - 주요인물

             |               | |             - 15대 광해군(1608-1623) : 김용, 유복기(柳復起)

             |               | |             - 16대 인조(1623-1649) : 김영조, 신지제, 유우잠, 장흥효, 최현

             |               | |             - 18대 현종(1659-1674) : (의성김씨) 김시온, 김학배 / 유직, 이시명, 이홍조

             |               | |             - 19대 숙종(1674-1720) : 김방걸, 이현일

             |               | |             - 21대 영조(1724-1776) : 권구, 김성탁, 이광정(李光庭), 이재(李栽)

             |               | |                - 전주유씨 : 유승현, 유관현, 유정원

             |               | |             - 22대 정조(1776-1800) : (전주유씨) 유도원, 유장원 / 김종덕, 이상정

             |               | |             - 23대 순조(1800-1834) : 남한조, 유휘문

             |               | |             - 24대 헌종(1834-1849) : 문취광

             |               | |             - 25대 철종(1849-1863) : 유치명

             |               | |             - 26대 고종(1863-1907) : 김흥락, (이돈우), 이만손, 이원조, 이진상(한주학파), 장복추

             |               | |

             |               | |

             |               |└ 기호 남인(근기(近畿)학파) - 인조반정(1623) 이후에도, 중앙정계에 잔존한 남인계열

             |               |       |

             |               |       |┌ 탁남(濁南) - 갑인(1674) 및 기사(1689)환국 때, 송시열(서인 영수) 및 서인 처벌온건파

             |               |       | |    | - 주요인물

             |               |       | |    |    - 19대 숙종(1674-1720)

             |               |       | |    |       - 사천목씨 : 목서흠, 목내선, 목임유, 목임일, 목창명

             |               |       | |    |       - 여흥민씨 : 민희, 민점, 민암, 민종도, 민홍도, 민취도, 민흥도, 민장도

             |               |       | |    |       - 진주유씨 : 유명견, 유명천, 유명현 / (전익대)

             |               |       | |    |       - 안동권씨 : 권대운, 권대재, 권환, 권해, 권시경

             |               |       | |    |       - 전주이씨 : 이당규, 이현석, 이현기, 이현조 / 이우정

             |               |       | |    |       - 기타 : 김덕원, 김해일, 김휘, 박신규, 심재, 안여석, 오시복, 유하익, 이관징-이봉징,

             |               |      └ |    |          이원정, 이지익, 조위명, 함이완, 허적-허견

             |               |          |    |

             |               |          |   └ 문내(門內)파 - 갑술환국(1694) 이후, 정계진출에 소극적이게 된 남인계열

             |               |          |       - 주요인물

             |               |          |          - 20대 경종(1720-1724) : 권규(權珪), 민창도

             |               |          |          - 21대 영조(1724-1776) : 권상일, 이인징

             |               |          |             - 광주이씨 : 이인좌, 이웅보

             |               |          |             - 권중경, 김화윤, 민관효, 정희량(鄭希亮) (-> 이인좌의난(무신란, 1728))

             |               |          |

             |               |          |

             |               |         └ 청남(淸南) - 갑인(1674) 및 기사(1689)환국 때, 송시열(서인 영수) 및 서인 처벌강경파

             |               |               | - 주요인물

             |               |               |    - 17대 효종(1649-1659) : 이지안

             |               |               |    - 19대 숙종(1674-1720)

             |               |               |       - 동복오씨(인평대군(인조3남) 처가) : 오정위-오정창-오정일-오정단-오정복(5정),

             |               |               |          오시수, 오시복 (-> 허견역모사건(3복의옥, 1680))

             |               |               |       - 舊북인(대북) 계열 : 유형원(반계수록), 윤휴, 허목

             |               |               |       - 기타 : 곽세건, 권흠, 남천택, 남천한, 심재, 이기(李沂), 이담명, 이무, 이서우, 이옥,

             |               |               |          이수경(李壽慶), 이태서, 이하진, 장응일, 정지호, 조사기, 조위명, 홍우원

             |               |               |

             |               |              └ 문외(門外)파 - 갑술환국(1694) 이후에도, 정계진출에 적극적이었던 남인계열

             |               |                   - 주요인물

             |               |                      - 21대 영조(1724-1776) : 강박, 권이진, 신광수(申光洙), 심단, 오광운, 이인복(李仁復),

             |               |                         이중환(실학파-택리지), 홍만조

             |               |                         - 평강채씨 : 채명윤, 채성윤, 채팽윤

             |               |                      - 22대 정조(1776-1800) : 정재원, 채제공(남인시파/채당)

             |               |

             |               |

             |              └ => ( 참고 : 17세기말-19세기말, 남인계열 실학파의 분화-발전)

             |               |┌ (영남 남인)

             |               | |     |

             |               | |    └ 구한말/일제강점기 위정척사(衛正斥邪)파

             |               | |        - 주요인물

             |               | |           - 일제강점기(1910-1945) : 김도화(의병장), 송준필, 유필영-유인식, 조긍섭(曺兢燮)

             |               | |              - 독립운동가 : 권상익, 이상룡

             |               | |              - 이진상(한주학파) 계열 : 곽종석, 김진호, (이병헌)

             |               | |                 - 독립운동가 : 이승희, 장석영

             |               | |           - 대한민국(1945-현재) : 권명섭, 하겸진

             |               | |              - 독립운동가 : (의성김씨) 김창숙(성균관대 설립자), 김황

             |               | |

             |               | |

             |               |└ (기호 남인(근기(近畿)학파))

             |               |       |

             |               |      └ 중농학파(경세치용(經世致用)학파)

             |               |             | - 학맥 : (이황) -> 정구(鄭逑)/장현광 -> 유형원/허목 -> 이익 도통(道統) 추종

             |               |             | - 학풍 : 청(淸)대의 고증학(考證學)을 수용-연구

             |               |             | - 주요인물

             |               |             |    - 15대 광해군(1608-1623) : 정구(鄭逑), 서사원, 조익(趙翊)

             |               |             |    - 16대 인조(1623-1649) : 이후경

             |               |             |       - 장현광(여헌학파) 계열 : 선우협, 정극후, 조임도

             |               |             |    - 18대 현종(1659-1674) : 유형원(반계수록)

             |               |             |    - 19대 숙종(1674-1720) : 이잠, (정시한), 허목

             |               |             |    - 21대 영조(1724-1776) : 이익(성호학파), 윤동규, 홍만종(洪萬宗)

             |               |             |    - 23대 순조(1800-1834) : 권철신, 정약전(자산어보)

             |               |             |    - 24대 헌종(1834-1849) : 정약용(다산)

             |               |             |

             |               |            └ 성호학파성호우파(右派) - 온건적 현실개혁-서학수용 지향 (ㅡ> 남인 벽파(홍당/공서))

             |               |             |               └ 성호좌파(左派) - 급진적 현실개혁-서학수용 지향 (ㅡ> 남인 시파(채당/신서))

             |               |             |

             |               |            └ 중농(경세치용)학파 + 중상(이용후생)학파 = 정약용(다산)의 실학 집대성

             |               |             |

             |               |            └ 구한말/일제강점기 애국계몽사상

             |               |                - 주요인물

             |               |                   - 26대 고종(1863-1907) : 이남규

             |               |                   - 27대 순종(1907-1910) : 이기(李沂, 호남출신)

             |               |                   - 일제강점기(1910-1945)

             |               |                      - 독립운동가 : 신채호(단재), 이동녕(임시정부 4대/6대 주석), 장지연(시일야방성대곡)

             |               |

             |               |

             |               |

             |              └ => 1776년(정조즉위) 이후, 노론(시파) 및 소론과 함께 對벽파대항 붕당연합

             |               |

             |               |

             |               |

             |              └ => 정조즉위-벽/시파분열(1776) 이후, 남인계열(기호 남인) 小계보도

             |                 ┌ 남인 벽파(홍당(洪黨), 공서(攻西)) - 對노론 중도(온건)파

             |                  | - 채제공 독상(獨相, 1790-92)체제 비판, 서구과학문명은 수용하되, 천주교는 배격할 것을 주장

             |                  | - 주요인물

             |                  |    - 21대 영조(1724-1776) : 신후담, 정상기(동국지도)

             |                  |    - 22대 정조(1776-1800) : 신경준(동국여지도), 안정복(동사강목/천학고), 이동욱, 홍수보-홍인호

             |                  |    - 23대 순조(1800-1834) : 강준흠, 목만중, 박장설, 윤필병, 이기경, 채홍리, 홍낙안(희운), 홍의호,

             |                  |       황덕길

             |                  |    - 26대 고종(1863-1907) : 최한기(개화파)-김정호(대동여지도), 허전(舊북인 계열), 허훈

             |                  |

             |                 └ 남인 시파(채당(蔡黨), 신서(信西)) - 對노론 강경파

             |                     - 채제공 독상(獨相, 1790-92)체제 비호, 서구과학문명 및 천주교 모두를 수용할 것을 주장

             |                     - 주요인물

             |                        - 22대 정조(1776-1800) : 김한동, 심규로, 이용휴

             |                           - 권상연, 권일신, 윤지충, 이벽 (-> 신해사옥(신해진산의변, 1791)

             |                        - 23대 순조(1800-1834) : 정범조(鄭範祖), 채홍원, 홍시제

             |                           - 여주이씨 : 이병휴, 이가환 / 이기양, 이승훈

             |                           - 나주정씨 : 정약현, 정약전(자산어보), 정약종, 정철상

             |                           - 청주한씨 : 한치규, 한치응, 한치윤, 한진서

             |                           - 기타 : 권철신, 이익운, 홍교만, 홍낙민, 황사영 (-> 신유사옥(1801))

             |                        - 24대 헌종(1834-1849) : 유태좌, 이학규

             |                           - 나주정씨 : 정약용(다산), 정하상

             |                        - 25대 철종(1849-1863) : 정학연, 정학유(농가월령가)

             |                        - 26대 고종(1863-1907) : 남종삼, 홍봉주

 

 

             |

 

             |

             |

            └ 서인(西人)(1575-1680(선조8-숙종6), 106년) - 13대 명종 때부터, 중앙정계에 진출한 기호사림들

                   | (1) 학맥

                   | - 남송(南宋)대, 주자의 성리학을 추종(주자-도통(朱子-道統)주의)

                   |    - 북-남송 교체(정강의변(1127)) 이후, 주자는 왕권를 대신할 통치주체로서, 강력한 신권(臣權)을 주장

                   |    - 5경(5經, 시경-서경-역경(주역)-예기-춘추)보다, 4서(4書, 대학-논어-맹자-중용)를 중시

                   | - (조광조) -> (서경덕) -> 이이(율곡학파)/성혼(우계학파)/기대승 도통(道統) 추종의 기호사림파(기호학파)

                   | (2) 지역기반

                   | - 경기도(기), 충청도(호서) : 영남지방에 비해, 외부와의 교류가 많은 개방적 지역기반

                   |    -> 사회적 치인(治人, 기(氣)), 경험적/가시적 현실세계(기(氣)), 농상겸행을 중시하는 실천철학의 지리적 배경

                   | (3) 학풍

                   | - 사회적 치인(治人, 기(氣))을 중시하는 실천철학적 성격

                   |    -> 유교원리(= 이(理))에 따른 윤리/도덕을 중시하는 동시에, 경험적 현실세계(= 기(氣)) 역시 존중

                   | - 주기(主氣)-이기(理氣)1원론의 학풍에 따른, 정치/경제/사회적 정책성향

                   |    - [이(理)  기(氣)] -> [왕권(王權) 신권(臣權)]           -> 신권(臣權) 중심의 정치질서 추구

                   |    - [이(理) 기(氣)] -> [사(士)  농(農)  공상(工商)]     -> 비교적 유연한() 유교경제질서 추구

                   |    - [이(理) 기(氣)] -> [남(男) 여(女), 적(嫡) 서(庶)] -> 비교적 유연한() 유교사회질서 추구

 

 

                   | (4) 對퇴계학파-남인 간 주요논쟁

 

                   | i) 1559-1566년, 기대승(기호학파) <-> 이황(퇴계학파) 간의, 4단-7정(4端-7情) 학문논쟁

                   |    - 이황(퇴계학파)과의 공통점

                   |       - 이기(理氣)는, 하나이면서 둘이요, 둘이면서 하나(一而二 二而一)의 관계

                   |       - 이기(理氣)는, 불상리-불상잡(不相離-不相雜, 서로 떨어질 수 없으나 섞일 수도 없음)의 관계

                   |    - 이황(퇴계학파)과의 차이점

                   |       - 이기(理氣) 불상리-불상잡(不相離-不相雜) 중에서, 불상리(不相離, 떨어질 수 없음)를 더 중시

                   |    - 기대승(기호학파)이, 기발-이승-일도(氣發-理乘-一途)설을 주장

                   |       - 기발(氣發) + 이승(理乘) = 일도(一途) : 기(氣)의 발(發)현 위에, 이(理)가 올라탐(乘)

                   |          - 기발(氣發, 기(氣)의 발현) -> 4단(4端, 인의예지(仁義禮智) - 인심(人心))

                   |          - 기발(氣發, 기(氣)의 발현) -> 7정(7情, 희노애락애오욕(喜怒哀樂愛惡慾) - 인심(人心))

                   |             -> 4단(4端) 및 7정(7情) 모두가, 기(氣)의 발현으로서 출현한, 인심(人心)이라 주장

                   |             -> 이(理)의 독자적 발현을 부정함으로서, 기(氣)에 의존하는 이(理)의 수동성을 주장

                   |    - 정치적 시사점

                   |       - 왕권(= 이(理))의 독자적 발현을 부정함으로서, 신권(= 기(氣))에 의존하는 왕권(= 이(理))의 수동성을 주장

                   | ii) 이이/성혼(기호학파) <-> 이황(퇴계학파) 간의, 이기(理氣) 학문논쟁

                   |    - 이이/성혼(기호학파)이, 주기(主氣)론-이기(理氣)1원론을 주장

                   |       - 기(氣, 형이하학적/실제적 재료)에 대한, 이(理, 형이상학적/관념적 원리)의 상대적 우위론을 주장

                   |    - 정치적 시사점

                   |       - 신권(= 기(氣))에 대한, 왕권(= 이(理))의 상대적 우위론을 주장

                   | iii) 1659/1673년, 송시열(서인) <-> 윤휴(남인) 간의, 예송(禮訟) 정치논쟁

                   |    - 송시열(서인)이, 사대부(사대부-례(士大夫-禮))와 구분되는, 군주(왕조-례(王朝-禮))만의 특수성 부정

                   |       -> 1차(기해, 1659(현종즉위)) 예송논쟁 때, 1년복(차자복(次子服)) 주장의 학문적 배경

                   |       -> 2차(갑인, 1673(현종14)) 예송논쟁 때, 9개월복(차자부복(次子婦福)) 주장의 학문적 배경

 

 

                   | (5) 각분야 주요당론

 

                   | i) 정치분야 - 왕권/신권 관계론에 관한 당론

                   | - 총론 : 왕권(王權)의 거대화를 견제하면서, 신권(臣權) 중심의 정치를 지향

                   |    - 안정적인 붕당기반(기호지방)을 바탕으로, 군주의 권위에 맞서, 사림의 공론(公論, 사론(士論))을 주장

                   |    - 사대부(사대부-례(士大夫-禮))와 구분되는, 군주(왕조-례(王朝-禮))만의 특수성 부정

                   | - 기타 : 인조반정(1623) 이후, 정권유지/안보를 위한 여론조성책, 외척지위유지책, 군권장악책

                   |    -> 우호적 여론조성 - 숭용산림(崇用山林, 재야사림을 우대함)

                   |    -> 외척지위유지 - 무실국혼(毋失國婚, 국혼을 놓치지 않음)

                   |    -> 군권장악 - 수도방어(어영청(1624), 금위영(1682)) 및 외곽방어(총융청(1624), 수어청(1656))군 창설주도

                   | ii) 경제분야(농업부문) - 수취제도/토지제도 개혁론에 관한 당론

                   | - 총론 : 남송(南宋)대 주자토지론을 채택함으로서, 지주-전호제(지주제유지론)를 이론적으로 대변

                   | - 수취제도(전세-공납-군역) 개혁론에 관한 입장

                   |    - 부재(不在)대지주층의 이익을 중시해, 대동법(大同法) 시행-확대(1608-1708(광해군즉위-숙종34))에 소극적

                   |       -> 대동법 시행-확대 대신에, 호패법(號牌法) 재시행(1626(인조3))만으로 보완할 것을 주장

                   |    - 세액증진 및 병력강화(북벌론 지지) 목적에서, 호포법(戶布法) 시행에 호의적

                   |       -> 재야남인 등 지배층의 강력반대로, 호포법 대신에 균역법(均役法, 1751(영조27))을 시행하는 선에서 타협

                   | - 토지제도 개혁론에 관한 입장 (-> 서인계열 실학파(중상(이용후생, 북학)학파)의 견해)

                   |    - 한전론(限田論, 토지소유상한제, 이익(남인계열)의 주장을 박지원(연암)이 수용) 논의에 적극적

                   | iii) 경제분야(상공업부문)

                   | - 총론 : 남인에 비해, 상공업부문 발전론에 적극적

                   |    -> 학문적 배경 : 비교적 유연한 유교경제질서[농(農)  공상(工商)]를 추구

                   |    -> 지리적 배경 : 기호지방의 도시에 근거한 붕당기반

                   |         -> 서인-노론계열 실학파(중상(이용후생, 북학)학파)의 학문/지리적 배경

                   | - 상평통보(常平通寶, 1678(숙종4))의 발행추진 등, 화폐유통에 적극적

                   |    -> 정치적 배경 : 서인이 장악한 군영인, 훈련도감/어영청/정초청 등에서 발행되어, 서인의 군자금 창구역할

                   | - 한양의 육의전/시전상인(독점상인층)에게 금난전권(禁亂廛權)을 부여

                   |    -> 정치적 배경 : 육의전/시전상인(독점상인층)들이, 서인과 정치적으로 연결되어, 서인의 정치자금 창구역할

                   | iv) 사회분야 - 신분제도 완화론에 관한 당론

                   | - 총론 : 남인에 비해, 노비속량(奴婢贖良) 및 서얼허통(庶孼許通)에 호의적

                   |    -> 학문적 배경 : 비교적 유연한 유교사회질서[적(嫡) 서(庶)]를 추구

                   |    -> 정치적 배경 : 세액증진 및 병력강화(북벌론 지지) 목적

                   | - 임진왜란(1592-98) 이후, 납속종량(納粟從良) 및 납속책(納粟策)의 지속적인 확대

                   |    -> 공노비(公奴婢)제도의 철폐(1801(순조1))로 연결

                   (6) 집권시기 및 집권계기

                   | - 16대 인조(1623-1649) : 인조반정으로 대북(북인)실각

                   | - 17대 효종(1649-1659)

                   | - 18대 현종(1659-1674)

                   | (7) 주요인물

                   | - 14대 선조(1567-1608)

                   |    - 반남박씨(선조처가1) : 박응천, 박응순, 박응남, 박응복, 박동언

                   |    - 능성구씨(인조외가) : 구사맹 / 구원일 / (남양홍씨) 홍희, 홍진도

                   |    - 기호사림

                   |       - 이이(율곡학파) 계열 : 김계휘-김은휘, (김빙), 민선, 박점, (신립), 신응시, 심의겸-심충겸(척신파 출신),

                   |          어운해, (오희길), 유공진, 윤두수-윤현, 윤인함, (원균), (원호(元豪)), 이산보, 홍이상

                   |          - 여산송씨 : 송사련, 송부필, 송익필, 송한필, 곽사원

                   |          - 장수황씨 : 황정욱, 황윤길, (황진)

                   |       - 성혼(우계학파) 계열 : 김흥우, 남언경, 성호, 이춘영, 홍천민-홍성민

                   |          - 의병장 : (조헌계열) 김성원, 노응환, 박사진, 유봉, 이윤(李潤), 한응성 / 양산숙

                   |    - 호남사림(전라좌(左)도, 서인계열)

 

 

                   |       - 기대승 계열 : 강견, 민인백, 양천경-양천회, 이해수, 장운익, 정운룡, 정철(송강), 홍인걸

                   |          - 의병장 : (장흥고씨) 고경명, 고종후, 고인후 / 양대박, 유팽로, 최경회

                   |       - 서경덕(화담학파) 계열 : 박순(朴淳), 백광훈, 송대립

                   |       - 송순 계열 : 변성온-변성진, 양자징, 오겸, 임억령

                   |       - 이항 계열 : (의병장) 김제민, 김천일, 변사정

                   | - 15대 광해군(1608-1623) : 고경리, 권필, 구성, 박동열-박동망, 변이중, (신경희), 심희수, 여유길, 윤근수,

                   |    윤광계, 윤홍립, 이성록, 이욱(李郁), 이의건, 이항복(오성), 조수륜, 조희보, 최기남, 한응인, 황신

                   |    - 연안김씨(선조처가2) : 인목(仁穆)대비, 김제남 / (정협)

                   |    - 장수황씨(순화군(선조庶6남) 처가) : 황혁, 황상

                   | - 16대 인조(1623-1649) : 공서(功西), 청서(淸西) / (송극인)

                   |    - 동래정씨 : 정창연, 정광경 / 정홍익

                   | - 17대 효종(1649-1659) : 산당(山黨), 한당(漢黨) / 정광성

                   | - 18대 현종(1659-1674) : 산당(山黨), 한당(漢黨)

                   |    - 남양홍씨(효종사돈1) : 홍중보, 홍득기

                   |    - 기타 : 박세모, 박장원, 이시술-이세장, (이완), 정두경, 정태화, 조경, 홍주원

                   | - 19대 숙종(1674-1720) : 노론(老論), 소론(少論)

                   |    - 동래정씨(효종사돈4) : 정치화, 정채화, 정지화, 정재숭, 정재륜

                   |    - 해주오씨(현종사돈) : 오두인, 오태주

                   |    - 기타 : 남용익, 박필성, 서문상-서종태, 신여철, 윤진(尹搢), 윤형성,이광하, 이기남, 이무, 이석, 이세화,

                   |       이징명, 조원기(趙遠期)-조성기, 홍주국, 홍숙

                   |

                   |

                  └ => 16대 인조정권기(1623-1649), 서인정권 小계보도

                   |┌ 공서(功西, 훈서(勳西)) - 인조반정 공신파(정사(靖社)공신 53명)

                   | |    | - 주요인물 : 구굉, 김원량, 남이흥, (문회), 박영서, 심기원, 이귀, 이명, 이서, 이수일, 이시발, 이중로,

                   | |    |    (이확(李廓)), 장만, 정충신, (조속), 한교

                   | |    |    - 평산신씨(신성군(선조庶4남) 처가) : 신경진, 신경유

                   | |    |    - 반남박씨(선조사돈6) : (박동량), 박미, 박황

                   | |    |    - 고성이씨 : 이괄, 이돈, 이수, 이전 / 기익헌, 이수백, 한명련-한윤 (-> 이괄의난(1624))

                   | |    |

                   | |   └ 노서(老西) - 對남인 연대파, 對청(정묘-병자호란) 주화파

                   | |         | - 주요인물

                   | |         |    - 덕수장씨(효종 처가) : 장유, 장신 / 김상용, 이흥립

                   | |         |    - 기타 : 김류-김경징, 오윤겸, 최명길, 홍서봉

                   | |         |

                   | |        └┌ 낙당(洛黨) : (안동김씨(인조사돈)) 김자점, 김련, 김식, 김익, 김세룡 (-> 김자점의옥(1651))

                   | |           └ 원당(元黨) : (원주원씨(효종사돈5)) : 원유남, 원두표, 원두추, 원만리, 원몽린 / 서원리

                   | |

                   | |

                   |└ 청서(淸西) - 인조반정 관망사림파

                   |       | - 주요인물

                   |       |    - 달성서씨(선조사돈2) : 서성, 서경주

                   |       |    - 해평윤씨(선조사돈3) : 윤방(尹昉), 윤훤, 윤신지, 윤구(尹坵)

                   |       |    - 평산신씨(선조사돈4, 숭선군(인조庶1남) 처가) : 신감, 신흠, 신익성 / 신익전

                   |       |    - 양주조씨(인조처가2) : 조존성, 조창원

                   |       |    - 금천강씨(소현세자(인조1남) 처가) : 강석기, 강문성, 강문명 (-> 강빈(姜嬪)옥사(1646))

                   |       |    - 광산김씨 : 김장생, 김반, 김익겸

                   |       |    - 연일정씨 : 정종명, 정수(鄭洙), 정양

                   |       |    - 남양홍씨 : 홍서익, 홍명구 / 홍명원

                   |       |    - 기타 : 고용후-고부천, 권확, 김극형, 김약, 민욱, 민호, 박정, 박지계, 성문준, 송갑조, 심집-심연,

                   |       |       (유림(柳琳)), 유순익, 윤동로(尹東老), 이덕수, 이의길, 정엽, 조익, 조평, 한인급

                   |       |

                   |      └ 소서(少西) - 對남인 배제파, 對청(정묘-병자호란) 척화파

                   |            | - 주요인물

                   |            |    - 파평윤씨 : 윤돈, 윤황, 윤전, 윤원거

                   |            |    - 연안이씨 : 이정구, 이명한, 이소한 / 이시직

                   |            |    - 전주이씨 : 이유간, 이경직 / 이홍주 / 이목 / 이상형 / 이명웅

                   |            |    - 기타 : 김덕함, 김시양, 나만갑, 오달제-윤집-홍익한(척화 3학사), 유백증, 윤계, 이식(李植),

                   |            |       조경남(의병장)

                   |            |

                   |           └┌ (한당)

                   |              └ (산당)

                   |

                   |

                  └ => 17-18대 효종-현종정권기(1649-1674), 서인정권 小계보도 (-> 최초의 경기-충청(호서) 서인분열)

                   | - (청서) ㅡ>┌ 한당(漢黨, 경기 서인) - 궁중(宮中, 척신중심)파, 경화사족(京華士族) 세력

                   |                    | - 현실-공의(公義)를 중시하는 관료 성향, 대동법(大同法) 확대(충청도) 시행주장

                   |                    | - 주요인물

                   |                    |    - 17대 효종(1649-1659) : 청풍김씨(현종처가) 김육

                   |                    |       - 기타 : 김홍욱, 신면, 조석윤

                   |                    |    - 18대 현종(1659-1674)

                   |                    |       - 청풍김씨(현종처가) : 김좌명, 김우명

                   |                    |       - 기타 : 김시진, 민응형, 박증휘, 서필원, 이경휘-이경억, 이시백-이시방, 이형, 정세규,

                   |                    |          정수(鄭修), 채유후, 홍명하, 홍위

                   |                    |

                   |                   └ 산당(山黨, 충청(호서) 서인) - 부중(府中, 非척신중심)파, 충청(호서)산림 세력

                   |                         | - 명분-사의(私義)를 중시하며 청의 지향, 대동법(大同法) 확대(충청도) 시행반대

                   |                         | - 주요인물

                   |                         |    - 17대 효종(1649-1659) : 구인후, 김경여, 민광훈, 맹세형, 신경(申炅)-신최, 이경여,

                   |                         |       안방준(호남출신, 의병장), 이기조, 정근, 정홍명, 홍무적

                   |                         |       - 광산김씨 : 김집, 김익희

                   |                         |       - 안동김씨 : 김상헌, 김상복(金尙宓)

                   |                         |    - 18대 현종(1659-1674)

                   |                         |       - 은진송씨 : 송시영, 송시열 / 송준길

                   |                         |       - 파평윤씨 : 윤순거, 윤문거, 윤선거 / 윤강

                   |                         |       - 전주이씨 : 이경석, 이민적 / 이후원

                   |                         |       - 기타 : 민업, 송시철, 신만(申曼), 심지원-심동구, 유계-유명윤, 이일상-이단상,

                   |                         |          이천기(李天基), 정유성, 조계원(趙啓遠), 조극선, 조복양, 조한영(曺漢英), 최혜길,

                   |                         |          한서원, 홍처후

                   |                         |

                   |                        └┌ (소론)

                   |                           └ (노론)

                   |

                   |                                                                ㅡ ㅡ ㅡ> 송시열의 산당(山黨)을 중심으로 서인정권 분열수습

                   |

                   |

                   |

                   | => 1680년(숙종6년, 경신환국), 서인의 노/소론 분열

                   | - 학문/사상에서의 관용을 중시하는 소장파(소론)와 주자절대론의 노장파(노론) 간의 학풍대립

                   | - 이경석의 삼전도비문을 놓고, 대청(對淸) 현실외교파(소론)와 친명반청(親明反淸) 외교파(노론) 간의 정책대립

                   | - 위화도회군을 놓고, 화가위국(化家爲國)의 박세채(소론)와 숭명의리(崇明義理)의 송시열(노론) 간의 인식대립

                   | - 회니시비(懷尼是非, 1673-78)와 가례원류(家禮源流, 1715) 시비 때, 윤증(소론)과 송시열(노론) 간의 감정대립

                   | - 남인실각(경신환국, 1680) 때, 처벌온건파(소론)와 처벌강경파(노론) 간의 노선대립

                   | - 임술고변(1682) 때, 對남인온건-對척신청산파(소론)와 對남인강경-對척신타협파(노론) 간의 노선대립

                   | - 조지겸/한태동 중심의 少장파라서 소론(少論), 송시열/송준길 중심의 老장파라서 노론(老論)이라 붕당명명

                   |

                   |

                   |

                   |  ┌ 소론(少論)(1680-1776(숙종6-정조즉위), 97년) - 성혼-윤증 계열의 기호사림들

                   |   |    | (1) 학맥

                   |   |    | - (성수침) -> 성혼(우계학파) -> 윤황/정엽 -> 윤선거 -> 윤증 도통(道統) 추종의 기호사림파(기호학파)

                   |   |    | (2) 학풍

                   |   |    | - 성혼(서인-주기(主氣)론) 및 윤휴(기호 남인) 중심의 비판적 주자학 이해(주자상대론)

                   |   |    | - 이황(주리(主理)론)의 남인학설에 호의적이며, 양명학(陽明學)에도 관심 (-> 강화(江華)학파로 연결)

                   |   |    | (3) 정치성향

                   |   |    | - 전반적 국정혁신을 추구하는 진보적 입장

                   |   |    | - 관용중시의 학풍으로 인해, 다른 붕당의 존재를 인정하는 온건성향을 형성

                   |   |    | (4) 주요당론

                   |   |    | - 서인의 주요당론 바탕에, 남인계열의 당론을 수용

                   |   |    |    - 노론이 추구하는 북벌론의 관념성-허구성을 비판하며, 대청(對淸) 현실외교 노선을 주장

 

 

                   |   |    | - 이이의 붕당론(우열론, 조제보합론)을 계승

 

                   |   |    |    - 박세채의, 왕권(王權) 중심의 황극(皇極) 탕평론을 지지

                   |   |    |    - 신권(臣權)이 정치의 중심인 붕당론에 맞서, 왕권(王權)이 정치의 중심인 탕평론을 지지

 

 

                   |   |    | (5) 집권시기 및 집권계기

 

                   |   |    | - 19대 숙종 중기2(1694-1716) : 갑술환국(인현(仁顯)왕후 복위, 135명 남인처형)으로 남인실각

                   |   |    | - 20대 경종(1720-1724) : 경종즉위로 노론실각 (-> 신임옥사(1720-21), 60여명 노론처형)

                   |   |    | - 21대 영조 초기1(1724-1725)

                   |   |    | - 21대 영조 중기(1727-1741) : 정미환국으로 노론실각

                   |   |    | (6) 주요인물

                   |   |    | - 19대 숙종(1674-1720)

                   |   |    |    - 반남박씨 : 박세당, 박세채, 박태상, 박태손, 박태유, 박태보, 박태정

                   |   |    |    - 달성서씨 : 서문중, 서문유, 서종헌

                   |   |    |    - 여산송씨 : 송광연, 송징은, 송정명

                   |   |    |    - 파평윤씨 : 윤지미, 윤지선, 윤지완, 윤지경, 윤지인, 윤심 / 윤경교

                   |   |    |    - 청주한씨 : 한구, 한중혁 / 한태동

                   |   |    |    - 기타 : 강세구, 나양좌-나석좌, 남구만, 성지선, 신완-신성하, 신익상, 여성제, 오도일, 유득일, 윤증,

                   |   |    |       유상운, 윤이도, 이명세, 이번(李燔), 이상진, 이세구, 이언경(李彦經), 이유태, (이익수), 이제(李濟), 

                   |   |    |       이집(李鏶), 임완, 임영-임상덕, 조대수, 조상우, 조지겸, 최석정

                   |   |    | - 20대 경종(1720-1724) : 준소(埈少), 완소(緩少), 청류(淸流) / 한배하

                   |   |    |    - 경주김씨(숙종처가3) : 김주신

                   |   |    |    - 경종 때 소론 5대신 : 유봉휘, 이광좌, 조태구-조태억, 최석항

                   |   |    | - 21대 영조(1724-1776) : 탕평당, 反탕평당 / 권구(權絿), 이득일

                   |   |    | - 22대 정조(1776-1800) : 벽파(僻派), 시파(時派)

                   |   |    | - 23대 순조(1800-1834) : 박종일, 이경일

                   |   |    |    - 벽파계열 : 서형수(徐瀅修), 정창순, 조윤대(曺允大)

                   |   |    |    - 시파계열 : 박하원, 서유린, 윤광안, 이경일, 이면긍

                   |   |    |       - 연안이씨 : 이시원(李始源), 이시수, 이만수

                   |   |    | - 24대 헌종(1834-1849) : 강필효, 이면승, 이석규

                   |   |    |    - 박지원(연암학파) 계열 : 서유구(중상(이용후생)학파), 이상황

                   |   |    | - 25대 철종(1849-1863) : 서준보, 성근묵, 이가우

                   |   |    | - 26대 고종(1863-1907)

                   |   |    |    - 동래정씨 : 정원용, 정기세, 정범조(鄭範朝), 정은조

                   |   |    |    - 기타 : 김영작-김홍집(온건개화파), 서기순, 신단, 이유승, 조석우(曺錫雨)-조석여(曺錫輿)

                   |   |    | - 27대 순종(1907-1910) : 조병필

                   |   |    | - 일제강점기(1910-1945)

                   |   |    |    - 친일파 : 박기양(일제남작), 조중응(정미7적/경술국적)

                   |   |    |       - 경주이씨 : 이주영(일제남작), 이하영(일제자작)

                   |   |    | - 대한민국(1945-현재) : 이종찬(6대 육군참모총장)

                   |   |    |

                   |   |    |

                   |   |   └ => 20대 경종정권기(1720-1724), 소론정권 小계보도

                   |   |    |┌ 준소(埈少) - 신임옥사(1721-22) 때, 노론 처벌강경파(관련자 전원 처형주장) (ㅡ> 反탕평당 계열)

                   |   |    | |    | - 주요인물 : 김일경, (목호룡), (박상검), 유봉휘, (윤취상), 이사상, 이진유-이진검

                   |   |    | |    |

                   |   |    | |   └ (강화학파)

                   |   |    | |

                   |   |    |├ 완소(緩少) - 신임옥사(1721-22) 때, 노론 처벌온건파(주모자만 처형주장) (ㅡ> 탕평당 계열)

                   |   |    | | - 주요인물 : 오명항, 이태좌-이광좌, 이정신, 조태구-조태억, 최규서

                   |   |    | |

                   |   |    |└ 청류(淸流) - 신임옥사(1721-22) 때, 왕세제(연잉군 : 영조) 보호파 (ㅡ> 탕평당 계열)

                   |   |    |     - 주요인물 : 송인명, 이진망-이광덕, 조문명-조현명

                   |   |    |

                   |   |    |

 

 

                  └   |   └ => 21대 영조중기(1727-1741), 완론탕평(소론주도-노론참여)정권 小계보도

 

                        |    |┌ 탕평당(蕩平黨) 계열 - 노/소 완론(온건파) 세력

                        |    | | - 정치성향

                        |    | |    - 영조의 조제보합(調劑保合, 노소보합/노소병용)론을 지지

                        |    | |       -> 쌍거호대(雙擧互對) - 노/소론간 균등인사

                        |    | |       -> 시비불분(是非不分) - 노/소론간 신임의리(충역시비)에 불간섭-중립고수

                        |    | |       -> 양치양해(兩治兩解) - 노/소론간 동시 처벌-사면으로, 숙종식 환국(換局)정치 지양

                        |    | |       -> 분등설(分等說) - 신축환국(1721)은 충(忠)이나, 임인옥사(1722)는 역(逆)으로, 신임의리 절충

                        |    | | - 주요정책

                        |    | |    - 산림(山林)의 정치적 위상 격하

                        |    | |    - 4색붕당의 뿌리인 서원 170여개를 폐쇄

                        |    | |    - 탕평책 시행을 위해, 붕당정치의 주요장치들을 제거

                        |    | |       - 이조전랑(吏曹銓郞)의, 통청(通淸)-낭천(郎薦)권을 폐지(1741(영조17))

                        |    | |       - 예문관 검열(藝文館 檢閱)의, 한림(翰林, 사관(史官)) 회천(回薦)권을 폐지(1741(영조17))

                        |    | | - 주요인물

                        |    | |    - 소론 완론 계열

                        |    | |       - 풍양조씨(효장세자(진종) 처가) : 조석명, 조준명, 조익명, 조문명

                        |    | |       - 여산송씨 : 송성명, 송진명, 송인명

                        |    | |       - 파평윤씨 : 윤행교, 윤동로(尹東魯), 윤동수, 윤동원

                        |    | |       - 舊북인 계열 : 강현

                        |    | |       - 기타 : 김동필, 박사수, 신방-신경(申暻), 심수현, 유명응, 윤순(尹淳, 강화학파), 이광보(李匡輔),

                        |    | |          이태좌-이광좌, 이진망, 정석삼, 조지빈

                        |    | |    - 노론 완론 계열 : 윤헌주, 이기익, 이정소, 이집, 조도빈, 조상경(趙尙絅), 홍중성, 홍치중, 황구하

                        |    | |

                        |    | 反탕평당 계열 - 노/소 준론(강경파) 세력

                        |    |    - 정치성향

                        |    |       - 영조의 조제보합(調劑保合, 노소 보합/병용)식 탕평책의 정치적 한계 및 부작용을 주장

                        |    |          -> 붕당간, 충역(忠逆) 및 시비(是非)가 불분명해질 가능성을 우려 (-> 임오화변, 1762)

                        |    |    - 주요정책

                        |    |       - 탕평책 시행 및 붕당정치의 주요장치들 제거에 반대

                        |    |          - 이조전랑(吏曹銓郞)의, 통청(通淸)-낭천(郎薦)권 폐지(1741(영조17))에 반대

                        |    |          - 예문관 검열(藝文館 檢閱)의, 한림(翰林, 사관(史官)) 회천(回薦)권 폐지(1741(영조17))에 반대

                        |    |    - 주요인물

                        |    |       - 소론 준론 계열 : 윤유, 이세최, 조상경(趙尙慶)

                        |    |          - 김중기, 남태징, (목시룡), 박필몽-박필현, 이하, (정사효) (-> 이인좌의난(무신란, 1728))

                        |    |       - 노론 준론 계열 : 이관명, (이봉상), 이병태, 이의연

                        |    |

                        |    |

                        |   └ => (참고 : 17세기말-19세기말, 소론계열의 양명학 연구)

                        |    | - 강화(江華)학파 - 준소(埈少) 계열

                        |    |       | - 학풍

                        |    |       |    - 교조화된 주자 성리학을 대신할, 학문적 대안을 모색

                        |    |       |    - 명(明)대의 양명학(陽明學, 우파(온건성향))을 수용하여, 조선적 양명학으로 연구-발전

                        |    |       | - 주요인물

                        |    |       |    - 21대 영조(1724-1776)

                        |    |       |       - 영일정씨 : 정제두, 정제태, 정후일 / 윤순(尹淳) (-> 나주괘서사건(을해옥사, 1755))

                        |    |       |    - 22대 정조(1776-1800) : (전주이씨) 이광사, 이광려, 이광명 / 이재협, 이종휘

                        |    |       |    - 23대 순조(1800-1834) : 정동유

                        |    |       |       - 전주이씨 : 이긍익(연려실기술), 이영익, 이충익, 이면백

                        |    |       |       - 평산신씨 : 신대우, 신작

                        |    |       |       - 청송심씨 : 심육, 심악

                        |    |       |    - 24대 헌종(1834-1849) : 신위(실사구시학파 출신), 유희(언문지)

                        |    |       |    - 26대 고종(1863-1907) : 정문승

                        |    |       |       - 전주이씨 : 이시원(李是遠), 이지원, 이상학, 이건창(당의통략 : 조선붕당史)

                        |    |       |    - 일제강점기(1910-1945) : (전주이씨) 이건승, 이건방 / 황현(黃玹, 순국지사)

                        |    |       |

                        |    |      └ 구한말/일제강점기 국학(韓國學, 민족주의)운동

                        |    |          - 주요인물

                        |    |             - 27대 순종(1907-1910) : 이원긍

                        |    |             - 일제강점기(1910-1945) : 김택영, 이능화, 주시경(국어학자)

                        |    |                - 독립운동가 : 남궁억, 박은식(임시정부 2대 주석), 여병현, 이회영-이상설

                        |    |             - 대한민국(1945-현재) : 최현배(국어학자), 정인보

                        |    |                 - 독립운동가 : 신익희(1-2대 국회의장), 여운형

                        |    |                    - 경주이씨 : 이규창, 이규학, 이시영(1대 부통령)

                        |    |

                        |    |

                        |    |

                        |   └ => 1776년(정조즉위) 이후, 노론(시파) 및 남인과 함께 對벽파대항 붕당연합

                        |

                        |

                        |

                       └ 노론(老論)(1680-1776(숙종6-정조즉위), 97년) - 이이-송시열 계열의 기호사림들

                              | (1) 학맥

                              | - 이이(율곡학파) -> 김장생 -> 김집 -> 송시열 도통(道統) 추종의 기호사림파(기호학파)

                              | (2) 학풍

                              | - 송시열 중심의 명분(名分)론-예(禮)론 정리, 절대적 주자학 신뢰(주자절대론)

                              | - 이이(서인-주기(主氣)론)의 서인정통학통 계승 자부, 양명학(陽明學) 배격

                              | (3) 정치성향

                              | - 부분적 제도개선을 추구하는 보수적 입장

                              | - 주자절대론의 영향으로 인해, 다른 붕당과 타협치 않는 강경성향을 형성

                              | (4) 주요당론

                              | - 철저하게, 서인(송시열)의 주요당론을 계승

                              |    - 친명반청(親明反淸) 및 관념적 북벌론을 계승 -> 만동묘/대보단(明황제의 사당 및 제단)의 건립

                              | - 주자의 붕당론(시비분별론, 군자-소인론)을 계승

                              |    - 왕권(王權)이 정치의 중심인 탕평론에 맞서, 신권(臣權)이 정치의 중심인 붕당론을 지지

                              |    - 충역(忠逆) 및 시비(是非)의 불분명 가능성을 우려 -> 反탕평론적 입장

 

 

                              | (5) 집권시기 및 집권계기

 

                              | - 19대 숙종 초기2(1680-1689) : 경신환국(경신대출척, 100여명 남인처형)으로 남인실각

                              | - 19대 숙종 후기(1716-1720) : 병신환국(병신처분)으로 소론실각

                              | - 21대 영조 초기2(1725-1727) : 을사처분으로 소론실각

                              | - 21대 영조 후기(1741-1776) : 신유대훈으로 소론실각

                              | (6) 주요인물

                              | - 19대 숙종(1674-1720)

                              |    - 청풍김씨(숙종외가) : 김석주, 김도연 / 김징, 김간(金幹), 김구

                              |    - 광산김씨(숙종처가1) : 김익훈, 김익경, 김만균(金萬鈞), 김만기, 김만중(서포), 김만채, 김만길,

                              |       김진구, 김진규, 김춘택

                              |    - 여흥민씨(숙종처가2) : 민정중, 민유중, 민진후

                              |    - 달성서씨(영조처가1) : 서종제, 서인수

                              |    - 안동김씨 : 김수증, 김수흥, 김수항, 김창협 / 김창국

                              |    - 은진송씨 : 송시열, 송순석 / 송상민, 송규렴

                              |    - 기계유씨 : 유명일, 유복기 / 유상기

                              |    - 풍산홍씨 : 홍만용 홍만회 / 홍만종(洪萬鐘)

                              |    - 기타 : 강백년, 강이상, 권령, 김인, 김일진, 김환, 맹주서-맹만택, 송창, 신여철, 심익현, 이광적,

                              |       윤비경-윤명운, 이단하, 이담(李湛), 이민서, 이사명, 이상, 이선(李選), 이세백, 이수언, 이여, 이은상

                              |       조형, 최신(함경출신), 한영휘, 홍득우, 홍처량

                              | - 20대 경종(1720-1724)

                              |    - 광산김씨 : 김운택, 김민택 / 김용택

                              |    - 안동김씨 : 김창흡, 김창업, 김제겸, 김성행

                              |    - 전주이씨 : 이기지, 이희지, 이천기(李天紀)

                              |    - 경종 때 노론 4대신 : 김창집, 이건명, 이이명, 조태채

                              |    - 기타 : 박광일, 송상기, 윤지술, 이유, 이휘(李暉), 이희조, 임창, 조성복, 조상건, 홍계적, 홍의인

                              |       (-> 신임옥사(1721-22, 신축옥사1721 - 임인옥사1722))

                              | - 21대 영조(1724-1776) : 탕평당, 反탕평당 / (구성임), 김시민

                              |    - 함종어씨(경종처가) : 어사형, 어유봉, 어유구

                              |    - 영조 때 노론 4대신 : 민진원, 이관명, 정호, 홍치중

                              | - 22대 정조(1776-1800) : 벽파(僻派), 시파(時派)

                              | - 23대 순조(1800-1834) : (윤명렬), 이우재

                              |    - 벽파계열 : 권유(權裕), 김관주, 김달순, 김화진, 신헌조, 심환지, 이노춘, 이병모, (이여절), 이의필,

                              |       정일환, 한용구, 황승원

                              |       - 달성서씨 : (노론전향 소론) 서유신, 서영보 / 서매수, 서용보

                              |    - 시파계열 : 안동김씨(安東金氏, 순조처가), 중상(이용후생)학파

                              |       - 풍산홍씨(정조외가, 정조사돈) : 홍양호, 홍명호, 홍낙유, 홍낙임 / 홍인모, 홍현주

                              |       - 기타 : 김재찬, 박윤수, 윤행임, 이재학, 이조원(李祖源), 이존수

                              | - 24대 헌종(1834-1849) : 남공철(연암학파), 서경보, 윤제홍, 이광문, 홍석주

                              | - 25대 철종(1849-1863) : 송달수, 유신환

                              | - 26대 고종(1863-1907) : 박원양, 서응순, 송근수, 송내희, (윤의선), 이봉구, 이우, 홍우길

                              | - 27대 순종(1907-1910) : 홍범식

                              | - 일제강점기(1910-1945)

                              |    - 이완용(을사5적) 계열 : (우봉이씨) 이윤용(일제남작), 이병길(일제후작) / 조민희(경술국적),

                              |       한상룡(일제귀족원의원)

                              |    - 기타 친일파 : 남정철(일제남작), 박제순(을사5적), 성기운(일제남작), 정만조, 홍승목

                              | - 대한민국(1945-현재)

                              |    - 독립운동가 : 김규식, 조소앙, 조완구

                              |       - 풍산홍씨 : 홍명희(벽초, 소설가), 홍성희, 홍기문

                              |    - 우봉이씨 : 이병도(역사학자), 이장무(서울대 24대총장), 이건무

                              |

                              |

                             └ => 21대 영조후기(1741-1755), 완론탕평(노론주도-소론참여)정권 小계보도

                              |┌ 탕평당(蕩平黨) 계열 - 노/소 완론(온건파) 세력

                              | |    | - 주요정책

                              | |    |    - 균역법(均役法, 1751(영조27))의 시행을 주장

                              | |    |    - 수도정비(청계천 준설, 훈련도감/금위영/어영청의 수도방위체제 확립) 사업을 추진

                              | |    | - 주요인물

                              | |    |    - 노론 완론 계열 : 김시형-김상적, 서명균, 신사철, 원경하-원인손, 이제원, 이주진

                              | |    |       - 창원황씨(영조사돈5) : 황흠, 황재, 황인검, 황인점

                              | |    |    - 소론 완론 계열

                              | |    |       - 풍양조씨(효장세자(진종) 처가) : 조현명, 조원명, 조재호

                              | |    |       - 달성서씨 : 서명형, 서효수 / 서종옥

                              | |    |       - 연안이씨 : 이현보(李玄輔), 이길보, 이철보 / 이천보

                              | |    |       - 기타 : 박필정, 이윤성(李潤成), 양득중, 윤용, 정석오

                              | |    |

                              | |   (북당)

                              | |

                              | |

                              |反탕평당 계열 - 노/소 준론(강경파) 세력

                              |       | - 주요정책

                              |       |    - 균역법(均役法, 1751(영조27))의 시행을 반대

                              |       | - 주요인물

                              |       |    - 노론 준론 계열

                              |       |       - 여흥민씨 : 민응수 / 민형수, 민통수

                              |       |       - 기타 : 심성희, 유최기, 이기진, 이병상, 이의천, 이의현, 이재(李縡), 조관빈, 조명교(曺命敎)

                              |       |    - 소론 준론 계열 : 박문수(암행어사), 윤득우, (이광덕), 이세진, 이종성

                              |       |       - 을해옥사

                              |       |          - 나주괘서사건(1755, 500여명 준소처형) : 윤지-윤광철, 이광사(강화학파), 이하징, 이효식

                              |       |          - 교영계(敎英契(서당계), 1755) 역모사건 : 신치근, 신치운, 유수원(중상(이용후생)학파),

                              |       |             심정연, 이거원

                              |       |

                              |      └┌ (남당)

                              |         (동당)

                              |

                              |

                              |

                              | => 1755년(을해옥사) 이후, 완론탕평(노론주도-소론참여)정권에서 노론(전제)정권으로 전환

                              |

                              |

                              |

                             └ => 21대 영조후기(1755-1776), 노론(전제)정권 小계보도

                              |┌ (탕평당 계열) ㅡ> 북당(北黨, 부홍(扶洪)파)

                              | |                             - 정치성향

                              | |                                - 정치적으로 노론 완론(온건파)이자, 학문적으로 낙론(경기 노론) 세력

                              | |                                - 척신(풍산홍씨-사도세자(장조)처가) 세력 -> 홍봉한 비호파

                              | |                             - 주요인물

                              | |                                - 노론 척신 계열

                              | |                                   - 풍산홍씨(사도세자(장조)처가) : 혜경궁홍씨(경의(敬懿)왕후, 한중록),

                              | |                                      홍현보, 홍상한, 홍봉한, 홍인한

                              | |                                   - 기타 : 김상복(金相福)-김상정, 민항렬, 심상운-심익운, 이사관(李思觀),

                              | |                                      윤양후

                              | |                                - 소론 척신 계열

                              | |                                   - 연일정씨(영조사돈4) : 화안옹주, 정수기, 정우량, 정휘량, 정치달, 정후겸

                              | |                                   - 남양홍씨 : 홍계능, 홍신해, 홍이해

                              | |                                   - 기타 : 이창수

                              | |

                              |├ (反탕평당 계열) ㅡ> 남당(南黨, 공홍(攻洪)파)

                              | |                               - 정치성향

                              | |                                  - 정치적으로 노론 준론(강경파)이자, 학문적으로 호론(충청(호서) 노론) 세력

                              | |                                  - 척신(경주김씨-영조처가2) 세력 -> 홍봉한 공격파

                              | |                               - 주요인물

                              | |                                  - 경주김씨(영조처가2) : 정순(貞純)왕후, 김한철, 김한구, 김구주(귀주)

                              | |                                  - 경주김씨(영조사돈1) : 김흥경(金興慶), 김한신

                              | |                                  - 평산신씨(영조사돈3) : 신만(申晩), 신회, 신광수(申光洙)

                              | |                                  - 청풍김씨 : 김약로, 김취로, 김상로

                              | |                                  - 남양홍씨 : 홍계희, 홍지해, 홍경해, 홍술해, 홍찬해, 홍상간, 홍상범

                              | |                                  - 기타 : (나경언), 윤재겸, 정이환, 조영순

 

                              | |

 

                              |└ (反탕평당 계열) ㅡ> 동당(東黨, 청명(淸名)당)

                              |                                     | - 정치성향

                              |                                     |    - 정치적으로 노론 준론(강경파)이자, 학문적으로 낙론(경기 노론) 세력

                              |                                     |    - 非척신 세력 -> 사조세자(장조)-왕세손(정조) 보호파, 탕평당의 전횡비판

                              |                                     | - 주요인물

                              |                                     |    - 반남박씨(영조사돈2) : 박필주, 박사익, 박사정, 박명원, 박지원(연암)

                              |                                     |    - 청풍김씨(정조처가) : 김성응, 김시묵 / 김재로, 김치인, 김종수

                              |                                     |    - 파평윤씨 : 윤봉조, 윤봉구, 윤봉오

                              |                                     |    - 청주한씨 : 한현모, 한익모 / 한광조

                              |                                     |    - 기타 : 김시찬, 남유용, 민백상, 서지수, 유척기, 윤급, 이후, 조엄, 최익남

 

                              |                                     |       - 김종수, 김치인, 유언호, 이명식, 정존겸 (-> 노론 청명당 사건(1772))

 

                              |                                     |

                              |                                     |

                              |                                    ┌ (정조즉위(1776) 이후, 남당의 잔존세력과 연대 ㅡ> 호론-벽파)

                              |                                       └ (정조즉위(1776) 이후, 북당의 잔존세력과 연대 ㅡ> 낙론-시파)

                              |

                              |

                              => ( 참고 : 17세기중-19세기말, 노론계열 주기(主氣, 기호사림파)론의 분화-발전)

 

                              |┌ 호론(湖論, 충청(호서) 노론)

 

                              | |    | - 학맥

                              | |    |    - (송시열) -> 권상하 -> 한원진 도통(道統) 추종

                              | |    |    - 주기(主氣)론만을 추종하는(주기(主氣) > 주리(主理)) 주기(主氣)론을 주장

                              | |    |       -> 이이(주기(主氣)론)의 서인정통학통 계승자부

                              | |    | - 학풍

                              | |    |    - 낙론과의 공통점

                              | |    |       - 이(理, 형이상학/추상적 원리) + 기(氣, 형이하학/실제적 재료) = 성(性, 사람/사물의 성질)

                              | |    |       - 사람(人)과 사물(物) 각각은, 이(理)는 같으나, 기(氣)가 다름으로서, 그 차이가 생김

                              | |    |          - 본연(本然)의 성(性) - 기(氣)의 영향으로 변질되기 이전의 이(理) -> 성즉리설(性 = 理)

                              | |    |          - 기질(氣質)의 성(性) - 기(氣)의 영향으로 변질된 이후의 이(理)    -> 성즉기설(性 = 氣)

                              | |    |    - 낙론과의 차이점

                              | |    |       - 인물성-상이론(人物性-相異論)

                              | |    |          - 기질(氣質)의 성(性)에 주목

                              | |    |          - 인성(人性)과 물성(物性)에서의 차이점(= 기(氣))에 주목

                              | |    |    - 인물성-상이론(人物性-相異論)의 학풍에 따른, 정치/경제/사회적 정책성향

                              | |    |       - [인성(人性)  물성(物性)] -> [사(士) 농(農)  공상(工商)] -> 조선의 기존질서 유지론

                              | |    |       - [인성(人性)  물성(物性)] -> [화(華) 이(夷)]                     -> 존화양이(尊華攘夷)론

                              | |    | - 주요인물

                              | |    |    - 19대 숙종(1674-1720) : (김창협), 성만징

                              | |    |    - 20대 경종(1720-1724) : 권상하-권상유, (김창흡)

                              | |    |    - 21대 영조(1724-1776) : 김성후, 송능상, 윤봉구, 채지홍, 최징후, 한원진

                              | |    |    - 22대 정조(1776-1800) : (김종후), 송덕상, 이해(李瀣), (임성주)

                              | |    |    - 23대 순조(1800-1834) : (민기현), 송환기

                              | |    |    - 25대 철종(1849-1863) : 이준(李埈)

                              | |    |    - 26대 고종(1863-1907) : 송근수

                              | |    |

                              | |   └ 구한말/일제강점기 위정척사(衛正斥邪)파 - 존왕양이(尊王攘夷)론을 주장

                              | |       - 주요인물

                              | |          - 26대 고종(1863-1907) : 이지호, (이용희)

                              | |             - 기정진(호남출신, 노사학파) 계열 : 이최선, 조성가

                              | |             - 이항로(화서학파) 계열 : 김평묵, (양헌수), 유중교, 최익현(의병장), 홍재학

                              | |                - 평안출신 : (밀양박씨) 박문일, 박문오

                              | |          - 27대 순종(1907-1910) : (의병장) 기삼연, 이강년

                              | |          - 일제강점기(1910-1945) : (의병장) 김복한, 유인석

                              | |             - 기정진(호남출신, 노사학파) 계열 : 기우만(의병장), 정재규

                              | |          - 대한민국(1945-현재) : (독립운동가) 송진우(동아일보사 3대사장), 이희석

                              | |

                              | |

                              |└ 낙론(洛論, 경기 노론) - 경화사족(京華士族) 세력

                              |       | - 학맥

                              |       |    - (송시열)/(이단상) -> (김창협) -> 이간/이재(李縡) -> 김원행 도통(道統) 추종

                              |       |    - 주리(主理)론까지도 수용하는(주기(主氣) 주리(主理)) 주기(主氣)론을 주장

                              |       |       -> 이이(주기(主氣)론)의 서인정통학통에, 이황(주리(主理)론)의 남인학설을 수용

                              |       | - 학풍

                              |       |    - 호론과의 공통점

                              |       |       - 이(理, 형이상학/추상적 원리) + 기(氣, 형이하학/실제적 재료) = 성(性, 사람/사물의 성질)

                              |       |       - 사람(人)과 사물(物) 각각은, 이(理)는 같으나, 기(氣)가 다름으로서, 그 차이가 생김

                              |       |          - 본연(本然)의 성(性) - 기(氣)의 영향으로 변질되기 이전의 이(理) -> 성즉리설(性 = 理)

                              |       |          - 기질(氣質)의 성(性) - 기(氣)의 영향으로 변질된 이후의 이(理)    -> 성즉기설(性 = 氣)

                              |       |    - 호론과의 차이점

                              |       |       - 인물성-상동론(人物性-相同論)

                              |       |          - 본연(本然)의 성(性)에 주목

                              |       |          - 인성(人性)과 물성(物性)에서의 공통점(= 이(理))에 주목

                              |       |    - 인물성-상동론(人物性-相同論)의 학풍에 따른, 정치/경제/사회적 정책성향

                              |       |       - [인성(人性) = 물성(物性)] -> [사(士) = 농(農) = 공상(工商)] -> 조선후기 사회변화 수용론

                              |       |       - [인성(人性) = 물성(物性)] -> [화(華) = 이(夷)]                    -> 북학(北學)론

                              |       | - 주요인물

                              |       |    - 18대 현종(1659-1674) : (이단상)

                              |       |    - 19대 숙종(1674-1720) : (김창협), 이현익

                              |       |       - 낙당(駱黨) : 김유

                              |       |    - 20대 경종(1720-1724) : (김창흡)

                              |       |       - 낙당(駱黨, 對소론 온건파) : 조태채

                              |       |       - 화당(花黨, 對소론 강경파) : 이만성

                              |       |    - 21대 영조(1724-1776) : 김위재, 박필주, 어유봉, 이간, 현상벽

                              |       |       - 낙당(駱黨, 對소론 온건파) : (여흥민씨) 민진원, 민익수, 민우수 / 김취로, 조관빈

                              |       |       - 화당(花黨, 對소론 강경파) : 김원행, 박성원(朴聖源), 송명흠, 이의현, 이재(李縡)

                              |       |    - 22대 정조(1776-1800) : 김양행, 김정묵, 심정진, 오윤상, 유언집-유언호

                              |       |       - 낙당(駱黨, 對소론 온건파) : 김치인-김종수

                              |       |       - 화당(花黨, 對소론 강경파) : 김이안, 박윤원, 유당

                              |       |    - 23대 순조(1800-1834) : 오희상, 이직보(성보)

                              |       |    - 24대 헌종(1834-1849) : 김매순(연암학파 출신), (송계간), (송치규), 이재의

                              |       |    - 25대 철종(1849-1863) : 송달수, 홍직필

                              |       |    - 26대 고종(1863-1907) : 송병선(순국지사), 임헌회

                              |       |    - 일제강점기(1910-1945) : 박세화(함경출신, 의병장), 윤응선

                              |       |       - 전우(호남출신, 간재학파) 계열 : 오진영, 유영선

                              |       |       - 순국지사 : 송병순, 조희제

                              |       |    - 대한민국(1945-현재) : 신현국

                              |       |       - 전우(호남출신, 간재학파) 계열 : 권순명, 김병로, 김택술, 송기면, 이병은, 최병심

                              |       |

                              |      └ 중상학파(이용후생(利用厚生)학파, 북학(北學)파)

                              |             | - 학풍 : 청(淸)대의 고증학(考證學)을 수용-연구

                              |             | - 주요인물

                              |             |    - 21대 영조(1724-1776) : 유수원(소론계열)

                              |             |    - 22대 정조(1776-1800) : 서이수, 이규경, 이덕무, 홍대용

                              |             |       - 서명응-서호수(소론계열) / 유득공(舊북인계열, 발해고)

                              |             |    - 23대 순조(1800-1834) : 박제가(舊북인계열, 북학의), 박지원(연암), 이서구

                              |             |    - 24대 헌종(1834-1849) : 서유구(소론계열), 성해응

                              |             |

                              |            └ 구한말/일제강점기 개화(開化)파

                              |                   | - 주요인물

                              |                   |    -  26대 고종(1863-1907) : 박규수, 오경석(실사구시학파), 유홍기(대치), 이동인,

                              |                   |        최한기(남인계열)

                              |                   |

                              |                   |┌ 급진개화파 - 여흥민씨(고종처가) 정권 청산파, 일본식 변법자강(變法自彊)론을 주장

                              |                   | | - 주요인물

                              |                   | |    - 26대 고종(1863-1907)

                              |                   | |       - 김옥균, 박제형, 박영교, 박호양, 서광범, 신복모, 홍영식 (-> 갑신정변(1884))

                              |                   | |    - 27대 순종(1907-1910) : 신기선, 이도재

                              |                   | |    - 일제강점기(1910-1945)

                              |                   | |       - 애국지사 : 유길준(서유견문), (한규설)

                              |                  └ |       - 친일파

                              |                      |          - 기계유씨 : 유성준, 유만겸, 유억겸

                              |                      |          - 해평윤씨 : 윤웅렬(일제남작), 윤치호(일제귀족원의원)

                              |                      |          - 기타 : 박영효(철종사위, 일제후작, 동아일보사 1대사장)

                              |                      |    - 대한민국(1945-현재)

                              |                      |       - 독립운동가 : 서재필(독립협회/신문), 이승만(1-3대 대통령)

                              |                      |       - 해평윤씨 : 윤치오, 윤치영(5선의원), 윤일선(서울대 6대총장), 윤보선(4대 대통령)

                              |                      |

                              |                     └ 온건개화파 - 여흥민씨(고종처가) 정권 타협파, 청나라식 동도서기(東道西器)론을 주장

                              |                         - 주요인물

                              |                            - 26대 고종(1863-1907) : 김홍집(소론계열), 박정양, 심상훈, 어윤중, (이원회),

                              |                               이조연

                              |                            - 일제강점기(1910-1945)

                              |                               - 독립운동가 : 이상재

                              |                               - 친일파 : (김윤식), 이재곤(정미7적)

                              |                                  - 은진송씨 : 송병준(정미7적), 송종헌(일제귀족원의원)

                              |

                              |

                              |

                              | => 1776년(정조즉위년), 노론/소론/남인의 벽/시파 분열

                              | - 호락(湖洛, 인물성-동이(人物性-同異))논쟁에서, 호론(벽파)과 낙론(시파) 간의 학맥대립

                              | - 사도세자(장조) 폐출/사사 사건(임오화변, 1762)을 놓고, 강경파(벽파)와 동정파(시파) 간의 노선대립

                              | - 정조의 시책(준론탕평-왕권강화)을 놓고, 반대파(벽파)와 지지파(시파) 간의 정책대립

                              | - 당론에만 집착한다는 비양조에서 벽파(僻派), 시류에만 편승한다는 비양조에서 시파(時派)라 붕당명명

                              |

                              |

                              |

                              |  ┌ 벽파(僻派)(1776-1806(정조즉위-순조6), 31년) - 충청(호서)지역 노론들

                              |   | (1) 학맥/학풍

                              |   | - 호론(湖論, 충청(호서) 노론) - 인물성-상이론(人物性-相異論)을 주장

                              |   | - 이이(주기(主氣)론)-송시열의 서인정통학통 계승자부

                              |   | (2) 지역기반

                              |   | - 충청도(호서지방)

                              |   | (3) 정치성향

                              |   | - 조선의 기존사회질서를 유지하려는 입장 (-> 신유사옥(1801))

                              |   | - 신임의리(신임옥사, 1721-22(경종1-2))에서, 소론의 책임 주장

                              |   | - 임오의리(임오화변, 1762(영조38))에서, 사도세자(장조)/시파의 책임 주장

                              |   | - 영조의 완론탕평(緩論, 탕평(蕩平)당-척신 중심의 온건한 탕평책)을 지지

                              |   |    -> 노론 탕평(蕩平)당, 소론 완소(緩少)가 영조의 완론탕평 중심세력

                              |   | - 영조의 조제보합(調劑保合)론을 지지

                              |   | (4) 집권시기 및 집권계기

                              |   | - 23대 순조 초기1(1800-1805) : 정순(貞純)왕후 수렴청정으로 시파실각

                              |   | (5) 주요인물

                              |   | - 22대 정조(1776-1800)

                             └   |    - 노론 청명(淸名)당-벽파 계열

                                   |       - 홍국영(최초의 세도(勢道)정치) 계열

                                   |          - 풍산홍씨(정조외가, 정조후궁) : 홍낙순, 홍낙빈, 홍복영

                                   |          - 능성구씨(영조사돈7) : 구선행, 구민화 / 구선복, 구명겸

                                   |          - 기타 : 김종후, 송덕상, 이보행, 이휘지, 황경원

                                   |       - 경주김씨(영조처가2, 영조사돈1) : 정순(貞純)왕후, 김한록, 김관주, 김용주, 김일주 / 김이주

                                   |       - 청송심씨(영조사돈6) : (심능건) / 심풍지, 심환지

                                   |       - 기타 : 권유(權裕), 김달순, 김양택-김하재, 김종수, 김화진, 서매수, 서용보, 유당, 유성한,

                                   |          유언호, 윤구종, 윤득부, 윤시동, 이경신, 이노춘, 이병모, 이의필, 이적보, 조진관, 한용구

                                   |    - 소론 벽파 계열 : 서형수(徐瀅修), 정창순, 조윤대(曺允大)

                                   |       - 노론전향 소론 : (달성서씨) 서명선, 서형수(徐逈修), 서유신, 서영보, 서경보

                                   |    - 남인 벽파(홍당(洪黨)) 계열

                                   |       - 풍산홍씨 : 홍수보, 홍인호, 홍의호 / 홍낙안

                                   |       - 기타 : 강준흠, 목만중, 박장설, 신후담, 안정복(동사강목/천학고), 윤필병, 이기경, 채홍리,

                                   |          최헌중, 황덕길

                                   |

                                   |

                                   |

                                  └ 시파(時派)(1776-1806(정조즉위-순조6), 31년) - 경기지역 노론들

                                        | (1) 학맥/학풍

                                        | - 낙론(洛論, 경기 노론) - 인물성-상동론(人物性-相同論)을 주장

                                        | - 이이(주기(主氣)론)의 서인정통학통에, 이황(주리(主理)론)의 남인학설을 수용

                                        | - 22대 정조(1776-1800) 때, 규장각(38명) 및 초계문신제(138명)를 중심으로 성장

                                        |    -> 사림-도통(士林-道統)론 대신에, 정조의 군주-도통(君主-道統)론을 지지

                                        | (2) 지역기반

                                        | - 경기도

                                        | (3) 정치성향

                                        | - 조선후기의 사회질서변화를 수용하려는 입장

                                        | - 신임의리(신임옥사, 1721-22(경종1-2))에서, 노론의 일부책임 인정

                                        | - 임오의리(임오화변, 1762(영조38))에서, 노론(벽파)의 책임 주장

                                        |    -> 영남만인소(萬人疎, 사도세자(장조)의 복권을 주장한 3번의 만인소, 1792(정조16))와 연결

                                        | - 정조의 준론탕평(埈論, 청류(淸流)당-非척신 중심의 적극적 탕평책)을 지지

                                        |    -> 노론 청명(淸名)당, 소론 준소(埈少), 남인 청론(淸論)이 정조식 준론탕평의 중심세력

                                        | - 정조의 의리(義理)론을 지지

                                        |    -> 우문정치(右文政治) - 학문(文)을 중시(右)하는 정치

                                        |    -> 우현좌척(右賢左戚) - 사림(賢)등용(右)과 척신(戚)배제(左)

                                        |    -> 작인지화(作人之化) - 규장각/초계문신제를 통한 인재(人) 양성(作)

                                        |    -> 이열치열(以熱治熱) - 숙종식 이수치열(以水治熱, 환국(換局)정치) 지양

                                        |    -> 대승기탕(大承氣湯) - 노론/소론/남인을, 각각 찬/반/중재역에 기용함으로서, 정국균형 추구

                                        |    -> 문체반정(文體反正) - 노론의 문체를 역비판함으로서, 서학(西學)수용론을 주장한 남인보호

                                        | - 정조즉위(1776) 이후, 노론-벽파의 5군영을 견제할 목적에서의 군권장악책

                                        |    -> 군권장악 - 장용내영(1788) 및 장용외영(1793)의 창설 주도

                                        | (4) 집권시기 및 집권계기

                                        | - 22대 정조(1776-1800) : 정조즉위로 노론(벽파)실각

                                        | - 23대 순조 초기2(1805-1806) : 정순(貞純)왕후 사망으로 벽파실각

                                        | (5) 주요인물

                                        | - 22대 정조(1776-1800)

                                        |    - 노론 청명(淸名)당-시파 계열

                                        |       - 중상(이용후생)학파 : 서이수

                                        |          - 박지원(연암학파) 계열 : 이덕무, (이서구)

                                        |             - 舊북인(소북) 계열 : 박제가(북학의), 유금, 유득공(발해고), 정철조

                                        |       - 풍산홍씨(정조외가, 정조사돈) : 홍낙성, 홍낙명, 홍낙신, 홍낙인, 홍낙임

                                        |       - 안동김씨(순조처가) : 김이안, 김이소, 김이익, 김이도, 김이양, 김이교, 김이재, 김이중,

                                        |          김문순, 김희순, 김학순, 김조순-김매순(연암학파)

                                        |       - 반남박씨 : 박종덕, 박종악 / 박윤수

                                        |       - 연안이씨 : 이명식 / 이조원(李祖源) / 이문원, 이존수

                                        |       - 기타 : 김익, 김치인, 김희(金熹), 신헌조, 윤방(尹坊), 윤숙, 윤행임, 이규위, 이숭호-이재학,

                                        |          이은, 이채, 정동채, 정동준, 정민시, 정존겸, 황승원

                                        |    - 소론 시파 계열

                                        |       - 강화학파 : 이재협, (오익환)

                                        |       - 달성서씨 : 서유린, 서유방

                                        |          - 중상(이용후생)학파 : 서명응, 서호수, 서유구(연암학파)

                                        |       - 연안이씨 : 이복원, 이성원, 이시원(李始源), 이시수, 이만수

                                        |       - 기타 : 김상철-김우진, 박성원(朴盛源), 박하원, 윤광소-윤광안, 이면긍, 정홍순

                                        |    - 남인 시파(채당(蔡黨)) 계열

                                        |       - 중농(경세치용)학파 : (나주정씨) 정약전(자산어보), 정약용(다산)

                                        |       - 舊북인 계열 : 남태제

                                        |       - 기타 : 김한동, 심규로, 유태좌, 이용휴-이가환, 이기양, 이승훈, 이익운, 이학규,

                                        |          정범조(鄭範祖), 채제공-채홍원, 한치응, 홍낙민, 홍시제

                                        |

                                        |

                                        |

                                       └ 외척 세도(勢道)정권(1806-1863(순조6-고종즉위), 58년)

                                              |

                                              |

                                              |┌ 안동김씨(安東金氏) 세도정권 - 23대 순조 및 25대 철종 때의 외척들

                                              | | (1) 정치성향

                                              | | - 영조정권기, 조제보합(調劑保合)론 등 노론 탕평당의 완론탕평책을 계승

                                              | | - 정조정권기, 인물성(人物性)-상동(相同)론 등 낙론-시파의 학맥/학풍을 계승

                                              | | - 정조정권기, 중상(이용후생, 북학(北學))학파 등 낙론-시파의 학맥/학풍을 계승

                                              | |    -> 신임의리(1721-22) 및 임오의리(1762)에서, 시파의 정치적 입장을 계승

                                              | |    -> 소론 및 남인-서학(천주교) 등 다른 붕당/학문의 존재를 인정하는 온건성향을 형성

                                              | | (2) 집권시기 및 집권계기

                                              | | - 23대 순조 중기(1806-1827) : 병인경화(벽파숙청)로 안동김씨 집권 (-> 최초의 세도정권)

                                              | | - 23대 순조 후기2(1830-1834) : 효명세자(익종) 사망으로 풍양조씨 실각

                                              | | - 25대 철종(1849-1863) : 철종즉위로 풍양조씨 실각

                                              | | (3) 세대별 주요인물

                                              | | - 1세대 : 김문순, 김희순, 김학순, 김매순(연암학파), 김명순, 김지순 / 김익순

                                              | | - 2세대 : 김유근, 김홍근, 김흥근, 김좌근, 김수근, 김문근, 김교근

                                             └ | - 3세대 : 김병조, 김병수, 김병교, 김병욱, 김병기(金炳基), 김병기(金炳冀), 김병학, 김병국,

                                                 |    김병덕, 김병지, 김병시, 김병필 / 김병연(김삿갓, 방랑시인)

                                                 |    - 순조처가 : 김조순(연암학파)

                                                 |    - 순조사돈1 : 김한순, 김현근

                                                 |    - 순조사돈2 : 김연근, 김병주

                                                 |    - 헌종처가1 : 김조근

                                                 | - 3세대 이후 : 김옥균(급진개화파), 김석진(순국지사), 김영한

                                                 |    - 독립운동가 : 김가진, 김좌진(청산리전투) / 김구(백범)

 

 

                                                 | - 기타인물

                                                 |    - 박지원(연암학파) 계열 : 남공철, 이상황(소론계열)

 

                                                 |    - 반남박씨(순조외가) : 수빈(綏嬪)박씨, 박준원, 박종보, 박종경 / 박종래, 박종훈

                                                 |    - 동래정씨(소론계열) : 정원용, 정기세, 정범조(鄭範朝) / 정기일, 정건조

                                                 |    - 청송심씨 : 심상규(연암학파) / 심의면, 심이택

                                                 |    - 기타 : 이경재, 이학수, 조신희, 홍직필

                                                 |

                                                 |

                                                 |

                                                └ 풍양조씨(豊壤趙氏) 세도정권 - 효명세자(익종) 및 24대 헌종 때의 외척들

                                                       | (1) 정치성향

                                                       | - 서인-노론의 숭용산림(崇用山林, 재야사림을 우대함) 노선을 계승

 

                                                       | - 정조정권기, 인물성(人物性)-상이(相異)론 등 호론-벽파의 학맥/학풍을 계승

                                                       | - 정조정권기, 존화양이(尊華攘夷)론 등 호론-벽파의 학맥/학풍을 계승

                                                       |    -> 신임의리(1721-22) 및 임오의리(1762)에서, 벽파의 정치적 입장을 계승

                                                       | - 서학(천주교)은 배격하되, 청(淸)대의 고증학(考證學)은 수용-연구

                                                       |    -> 실사구시(實事求是)학파 형성의 정치적 배경

                                                       |    -> 존왕양이(尊王攘夷)론 형성의 정치적 배경

                                                       |    -> 위정척사(衛正斥邪)사상 형성의 정치적 배경 (-> 기해사옥, 1838-40)

                                                       | (2) 집권시기 및 집권계기

                                                       | - 23대 순조 후기1(1827-1830) : 효명세자(익종) 대리청정으로 안동김씨 실각

                                                       | - 24대 헌종(1834-1849) : 헌종즉위로 안동김씨 실각

                                                       | (3) 세대별 주요인물

                                                       | - 1세대 : 조득영, 조종영, 조인영(실사구시학파)

                                                       | - 2세대 : 조병현, 조병구, 조병헌, 조병기

                                                       | - 3세대 : 조구하, 조봉하, 조강하, 조성하, 조영하, 조경하 / 조동면, 조동윤(일제남작)

                                                       |    - 효명세자(익종) 처가 : 조진관, 조만영

                                                       | - 기타인물

                                                       |    - 풍산홍씨(헌종처가2) : 홍기섭, 홍재룡

                                                       |    - 경주김씨 : 김노영, 김노경, 김도희, 김정희(추사), 김명희, 김상희

                                                       |    - 기타 : 권돈인(실사구시학파), 김재찬-김로, 성해응(실학파), 이조원(李肇源),

                                                       |       이인보, 이지연-이기연, 홍기섭

                                                       |

                                                       |

                                                       |

                                                      └ => (참고 : 19세기중-말, 실사구시(實事求是)학파의 형성-분화)

                                                       | - 학풍

                                                       |    - 청(淸)대의 고증학(考證學)을 수용-연구

                                                       |    - 중상(이용후생(利用厚生), 북학(北學))학파를 수용-연구 -> 금석(金石)학 발달

                                                       | - 주요인물

                                                       |    - 24대 헌종(1834-1849) : 성해응(중상(이용후생)학파 출신), 신위(강화학파 출신)

                                                       |    - 25대 철종(1849-1863) : 권돈인, 김정희(추사), 민노행, 전기, 조인영(풍양조씨)

                                                       |       - 화가 : (김수철), 박인석, 조희룡

                                                       |    - 26대 고종(1863-1907) : 조면호

                                                       |       - 화가 : 유숙(劉淑), 이한철, 조중묵, 허련

                                                       |       -> 위정척사(衛正斥邪)파 : 남상길, 민태호(여흥민씨), 신헌, 이하응(흥선대원군)

                                                       |       -> 개화(開化)파 : (중인(中人)출신) 강위, 오경석, 이상적

                                                       |    - 일제강점기(1910-1945) : 유재소(화가)

                                                       |

                                                       |

                                                       |

                                                      └ 흥선대원군-여흥민씨 정권(1863-1895(고종즉위-고종32), 33년)

                                                             |

                                                             |

                                                             |┌ 흥선대원군(興宣大院君) 섭정정권 - 26대 고종 때의 왕실종친

                                                             | | (1) 주요정책

                                                             | | i) 정치정책

                                                             | | - 왕실의 위상제고를 위해, 경복궁(景福宮)을 중건

                                                             | | - 노론은 물론, 소론/남인/북인 등 4색붕당 모두를 기용

                                                             | | - 왕실종친, 무반(武班), 서북인(西北人), 중인(中人) 등도 기용

                                                             | | - 4색붕당의 뿌리인 서원을, 전국 670여개소에서 47개소로 축소(1864-71)

                                                             | | - 안동김씨 등 외척중심의 비변사(備邊司)를 해체(1865)

                                                             | |    -> 의정부 및 6조(이/호/예/병/형/공조)의 기능을 강화하고, 3군부를 부활

                                                             | | ii) 경제정책

                                                             | | - 각종 무명잡세(無名雜稅)의 폐지

                                                             | | - 호포법(戶布法, 1871(고종8))을 시행

                                                             | | - 양곡상납시, 이서배(吏胥輩)의 중간착취를 배제

                                                             | | iii) 사회정책

                                                             | | - 각급 도고(都賈, 독점상인)의 철폐

                                                             | | - 사창제(社倉制)의 합리적 운영을 통해, 환곡제(還穀制)의 파행을 시정

                                                             | | - 위정척사(衛正斥邪)사상에 따른, 서학(천주교) 탄압 -> 병인사옥(1866)

                                                             | | iv) 외교정책

                                                            └ | - 재야유림과 연대하여, 쇄국(鎖國)정책을 시행

                                                                |    -> 프랑스와의 병인양요(1866), 미국과의 신미양요(1871) 발발 

                                                                | (2) 집권시기 및 집권계기

                                                                | - 26대 고종 초기(1863-1873) : 고종즉위로 안동김씨 실각

                                                                | - 26대 고종 중기2(1882-1882) : 임오군란으로 여흥민씨 실각 - 33일 집권

                                                                | - 26대 고종 중기4(1894-1894) : 동학농민전쟁으로 여흥민씨 실각 - 122일 집권

                                                                | (3) 주요인물

                                                                | - 26대 고종(1863-1907)

                                                                |    - 舊안동김씨 : 김병학, 김병국

                                                                |    - 舊북인 계열 : 강로, 허전

                                                                |    - 남인계열 : 유후조 / (이돈우), 이원조

                                                                |       - 권정호, 안기영, 이재선(흥선대원군子) (-> 이재선역모사건(1881))

                                                                |    - 서북출신 : (풍천임씨) 임백수, 임응준 / 임상준

                                                                |    - 기타 : (우범선), 이회정, 정현덕, 조두순, 조병창-조채하, 조우희, 한계원,

                                                                |       홍순목

                                                                |       - 박준양, 이준용(흥선대원군孫), 이태용 (-> 이준용역모사건(1895))

                                                                |

                                                                |

                                                                |

                                                               └ 여흥민씨(驪興閔氏) 외척정권 - 26-27대 고종-순종 때의 외척들

                                                                   (1) 주요정책

                                                                   i) 외교정책

                                                                   - 개화(開化)파와 연대하여, 문호개방정책을 시행

                                                                      - 통리기무아문(統理機務衙門, 1880)-내무부(1885)를 설치

                                                                      - 청(淸)나라로 군사유학생을 파견

                                                                      - 신식군대인, 교련별대(별기군) 창설을 주도 (-> 임오군란(1882))

                                                                   - 임오군란(1882) 이후, 보수-안정적인 개방노선으로 선회

                                                                      - 문호개방정책의 후퇴로 간주한, 급진개화파의 반발 (-> 갑신정변(1884))

                                                                   (2) 집권시기 및 집권계기

                                                                   - 26대 고종 중기1(1873-1882) : 재야유림의 비판으로 흥선대원군 실각

                                                                   - 26대 고종 중기3(1882-1894) : 임오군란-청일(淸日)개입으로 흥선대원군 실각

                                                                   - 26대 고종 중기5(1894-1895) : 일본의 압력에 의해 흥선대원군 실각

                                                                   (3) 주요인물

                                                                   - 26대 고종(1863-1907)

                                                                      - 여흥민씨(고종처가) : 명성(明成)황후, (민치록), 민치상, 민승호, 민규효,

                                                                         민겸호, 민영위, 민영목, 민영상, 민영익, 민영원, 민창식, 민응식

                                                                      - 여흥민씨(순종처가1) : 민치구, 민태호, 민영환(순국지사)

                                                                      - 舊풍양조씨 : 조강하, 조성하, 조영하, 조경하 / 조준영

                                                                      - 기타 : 김보현, 김학우, 심순택, 안경수, 윤태준, 이최응(흥선대원군兄),

                                                                         이용익(보성전문학교(고려대 전신) 설립자), 이유원, (한규직), (홍계훈)

                                                                   - 27대 순종(1907-1910) : 김천수

                                                                   - 일제강점기(1910-1945)

                                                                      - 여흥민씨(고종처가, 순종처가1) : 민종식(의병장)

                                                                         - 친일파 : 민종묵(일제남작), 민영휘(일제자작), 민영기(일제남작),

                                                                            민영린(일제백작), 민병석(경술국적)

                                                                      - 해평윤씨(순종처가2) : 윤치희, 윤용선, 윤덕영(경술국적), 윤택영(일제후작)

                                                                         / 김종한(일제남작)

                                                                      - 왕실종친 및 기타 : 이재완(일제후작), 이재곤(정미7적), 이지용(을사5적),

                                                                         이기용(일제자작), 이해승(일제후작)

                                                                   - 대한민국(1945-현재)

                                                                      - 친일파 : 민병도(한국은행 7대총재), 민복기(5-6대 대법원장)

 

 

 

- 참조사항 -

1. 각 인물들의 同시기 배치는, (일부의 예외를 제외하면) 가-나-다 순서입니다.

2. 각 인물들의 同시기-가문별 배치는, (일부의 예외를 제외하면) 출생연도 순서입니다.

3. 각 인물들의 시기별 배치는, (일부의 예외를 제외하면) 주요활동기간이 아닌, 사망연도를 기준으로 작성되었습니다.

4. 가령, 송시열의 주요활동기간은 효종-현종-숙종조 3대에 걸쳐 있으나, 사망연도(1689(숙종15))에 따라 숙종조 때의 인물로 배치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