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범여(梵如)의 世上사는 이야기
경안(앵자)지맥(終)

경안(앵자)지맥(鶯子枝脈) 지도와 개념도

by 범여(梵如) 2013. 11. 15.

 

한남정맥 경안(앵자)지맥(鶯子枝脈)자료

 

한남정맥 앵자지맥 개념도

 


앵자지맥 개념도

 

1. 경안(앵자)지맥이란?

 

漢南正脈의 문수봉에서 가지를 내려 북쪽으로 이어지는 산줄기로 정개산, 천덕봉, 앵자봉,

해협산, 정암산을 거쳐 남한강 팔당호에서 끝을 맺는 도상거리 61.5 km의 산줄기이다.

한남앵자지맥은 경기도 용인시 원삼면에 있는 한남정맥 문수봉에서 시작하여 걍기도 광주시

남종면 검천리의 종여울에서 그 맥을 남한강에 넘겨주는 산줄기를 말하는데 수계를 기준으로

하는 대한산경표에서는 경안지맥이라고 부른다 

 

2. 경안(앵자)지맥 산과 주요 고개

※한남 앵자지맥 산과 고개

순번

산 과 고개이름

소재지

특기사항

 

팔당호(능골입구)

광주시 남종면 검천리

337지방도

1

정암산(403.3)

광주시 남종면

삼각점, 정상석

2

해협산(531.3)

광주(남종, 퇴촌)

삼각점, 정상석, 이정표 외

3

관음봉(501.2)

광주(남종, 퇴촌)

좁은 공터, 무 표시

 

염치고개

광주시 퇴촌면

88지방도, 2차로, 절개지

4

앵자봉(670.2)

광주(퇴촌, 실촌) 여주(산북)

정상석, 공터, 조망 좋음

 

남이고개

광주(실촌) 여주(산북)

98지방도, 2차로, 절개지

 

삼합리고개

광주(실촌) 여주(산북)

 

5

자작봉(약585)

광주(실촌) 여주(산북)

양철 정상판

6

천덕봉(634.5)

광주(실촌) 여주(금사)

정상석2개, 헬기장, 조망 좋음

7

정개산(407)

광주(실촌) 이천(신둔)

소당산

 

넋고개

광주(실촌) 이천(신둔)

3번 국도

국수봉(약427)

광주(실촌, 도척)

지맥에서 벗어남, 케언

  제2중부고속국도

중부고속국도

광주(도척) 이천(실둔)

 

해룡산(367.1)

광주(도척) 이천(마장)

지맥에서 벗어남, 공터

 

성황당고개

광주(도척)

329지방도, 2차로

 

방도리고개

광주(도척)

2차로

 

영동고속국도

용인(양지)

굴다리(2차로)로 통과

 

마수고개

용인(양지)

42번국도, 4차로, 육교

 

17번 신국도

용인(양지)

4차로

 

17번 구국도

용인(양지)

2차로

8

용실산(422)

용인(양지, 원삼)

이정표, 벤치2개, 옆 스키장

9

갈미봉(447)

용인(양지, 원삼)

이정표, 공터

10

칠봉산(447.1)

용인(양지, 원삼)

이정표, 산불초소, 삼각점

 

곱든고개

용인(해곡동, 원삼)

57지방도, 생태통로

11

문수봉(404.2)

용인(호동, 원삼)

분기점, 삼각점, 팔각정

공터, 이정표

 

 

 

 

지도(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