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정부 도봉산 망월사 낙가보전 주련
議政府 道峰山 望月寺 洛迦寶殿 柱
낙가보전(洛迦寶殿)
망월사는 대한불교 조계종 제25교구 본사인 봉선사(奉先寺) 말사입니다.
신라 제27대 선덕여왕 8년(639) 해호(海浩) 조사(祖師)가 여왕의 명에
의해 창건하여 서라벌 월성(月城)을 향하여 기원하는 뜻에서 망월사
(望月寺)라 이름하였다 합니다. 혹은 망월사 대웅전격인 낙가보전의
동쪽에 토끼 모양의 바위가 있고 남쪽으로는 달 모양의 월봉(月峰)이
있어 망월사라 했다고도 합니다.
그후 고려 제11대 문종(文宗) 20년(1066)에 혜거(慧炬) 국사가 재창
하고 이에 열네 차례의 중수를 거쳐 오다가 조선 제22대 정조(正祖)
4년(1780) 삼창(三創)되어 오늘에 이르고 있습니다.
그후 1969년 주지 춘성(春城)이 퇴락한 선실을 철거하고 2층의 석조
대웅전을 지었으며, 1972년에는 주지 도관(道觀)이 본래 있던 염불당
과 낙가암(洛迦庵)을 헐고 현대식 건물의 낙가암을 새로 지었다.
1986년부터는 주지 능엄(楞嚴)이 대웅전을 헐고 선방, 관음전, 영산전,
요사채를 신축하였습니다.
이 절은 고려조의 혜거(慧炬), 영소(靈沼) 두 국사와 조선의 천종(天峰),
영월(映月) 도암(道庵) 3선사(三禪師)를 배출하였으며, 근대의 도인으로
숭앙받는 만공(滿空), 한암(寒岩), 오성월(吳性月), 춘성(春城)스님이
주석했던 곳입니다.
曾於觀音如來會相(증어관음여래회상) : 관음보살 일찍이 관음여래 회상에서
聞熏聞修金剛三昧(문훈문수금강삼매) : 문훈문수 금강삼매 몸에 배게 닦으셨네.
仍號觀音跡居寶陀(잉호관음적거보타) : 그로 인해 관음이요 보타산에 계시면서
示現此土漚和無方(시현차토구화무방) : 이 땅에 나투시어 자비방편 끝없어라.
欲識大聖感應有實(욕식대성감응유실) : 관음대성 감응함을 알고저 하는가?
道峰山頂秋月春花(도봉산정추월춘화) : 도봉산 꼭대기에 가을 달 봄꽃일세.
☞ <능엄경>에 의하면 관세음보살님은 일찍이 아득히 먼 항하사겁전에
관세음부처님을 만나 가르침을 받았습니다. 그 회상에서 문사수
(聞思修)로 좇아 삼매에 들라는 가르침을 받아 열심히 수행한 끝에
이근원통법(耳根圓通法)을 닦아 여환문훈문수금강삼매(如幻聞熏聞修
金剛三昧)를 이루셨습니다. 그로 인하여 관세음(觀世音)이란 명호
(名號)를 받고 보타락가에 거주하시면서 온갖 자비방편으로 중생들을
구제하십니다.
그러니 자비대성이신 관세음보살님의 감응이 천지에 가득합니다.
그런데도 관세음보살의 감응이 어떠한가를 알아 보려는 사람이 있다면...
도봉산 꼭대기의 가을 달이요, 봄꽃을 보라.
깊은 뜻을 궁구하시기 바랍니다.
【주】
관음여래(觀音如來): 능엄경 제6권에 보면 항하사겁(恒河沙劫) 전에
부처님이 계셨는데 관세음(觀世音)이라 하였는데 그 때에 관세음보살
(觀世音菩薩)은 관세음불(觀世音佛)을 만나 보리심(菩提心)을 내었다고
합니다.
문훈문수금강삼매(聞熏聞修金剛三昧): 원래는 여환문훈문수금강삼매
(如幻聞熏聞修金剛三昧)를 가리키는데 관세음보살(觀世音菩薩)이
이근원통(耳根圓通)을 얻은 삼매의 이름입니다.
환(幻)이란 환술이나 요술처럼 실제 존재하는 것이 아닌 일시적으로
사람의 눈을 가리워 마치 있는 것처럼 보이는 것을 말하는데 관세음
보살이 이근원통을 얻어 부처님과 같아진 삼매인데, 여환(如幻)이라
한 것은 불보살님이 중생을 제도함에 있어서 이 중생은 구제하고
저 중생은 제도 안 하겠다고 하는 그런 생각없이 인행시(因行時)에
일체 중생을 제도하겠다는 서원을 세웠기 때문에 그런 서원 가운데
저절로 되는 것이지 일부러 가서 구제해 주겠다고 하는 그런 것이
아니기 때문입니다. 즉 불보살님은 저런 사람이 저런 생각을 하니,
내가 구제해 주겠다는 그런 생각이 없는 것을 말합니다.
문훈(聞熏)의 문(聞)자는 부처님이나 일체중생이 다 같이 가지고 있는
불성(佛性)자리를 말하는데 이를 본묘각심(本妙覺心)이라 합니다.
즉 본래부터 있는 각(覺)이라 해서 본각(本覺)이라 합니다.
문수(聞修)라는 것은 부처님의 말씀을 듣고 부처님 말씀대로 닦으려는
것을 말하는데 이를 시각(始覺)이라 합니다.
그러니까 문수(聞修)는 부처님의 법문을 듣거나 경을 보아서 비로소
깨닫는다는 시각(始覺)의 지혜를 가지고 닦는다는 말이고,
문훈(聞熏)은 본각(本覺)이 있는 본성자리 즉 안으로 훈습(熏習)했다는
말입니다. 훈(熏)이란 배어 든다 그런 말입니다.
처음에 관세음보살이 관세음부처님을 만났을 때 문사수(聞思修)로 좇아
삼매에 든다고 하셨는데 그 문훈문수(聞熏聞修)에 문사수(聞思修)가
들어 있습니다.
금강(金剛)이란 범어 바즈라(vajra)를 번역한 말로 가장 단단한 것을
말합니다. 요즘엔 금강석(金剛石)으로 비유되지만 원래는 깨뜨릴 수
없는 가장 단단한 것을 말합니다. 그것을 벼락이라고 번역하기도
합니다. 금강삼매란 이처럼 단단하고 조금도 흔들리지 않는 삼매를
말합니다. 관세음여래(觀世音如來)께서 일러 주셔서 그대로 공부해서
이근원통(耳根圓通)을 성취한 삼매를 말합니다.
이근원통(耳根圓通)이란 능엄경에 나오는 수행법 중 하나로
관세음보살이 닦은 수행법이며 원통이(圓通)란 널리 통하여 두루
막힘이 없는 것을 말합니다.
보타(寶陀): 범어 potalaka의 음역으로 보타락(普陀落)ㆍ보타락가
(補陀落迦)로 음역합니다. 이 밖에 보단락가(補怛落迦)ㆍ포다라
(逋多羅)ㆍ보단락가(補但落迦)ㆍ보타락(補陀落) 등이 있습니다.
혹은 보타암(寶陀巖)이라고도 합니다. 모두 관세음보살 거주처를
말합니다. 이 관세음 거주처는 인도 남쪽 해안에 있으며,
중국에는 절강성(浙江省) 주산열도(舟山列島)에 있으며,
우리나라는 강원도 양양 낙산사(洛山寺) 홍련암(紅蓮庵)과
강화도 보문사(普門寺)라 합니다.
구화(漚和): 방편, 방법, 수단을 말합니다.
낙가보전(洛迦寶殿) : 관세음보살을 주불로 하는 전각을 말합니다.
낙가(洛迦)는 관세보살의 주처 보타락가(補陀洛迦山)에서 온 말입니다.
낙가보전은 이 밖에 보타전(寶陀殿), 관음전(觀音殿), 원통전(圓通殿),
대비전(大悲殿) 등 많은 이름이 있습니다
'♣ 佛 敎 ♣ > 불화. 불상.주련'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앉아서 봉창 두드리는 소리 <원주 성문사 벽화> (0) | 2016.06.06 |
---|---|
대구 팔공산 갓바위 약사여래불 (0) | 2016.04.23 |
사찰장식 문양에 깃든 상징의 해설 (0) | 2016.02.29 |
내소사 대웅보전 꽃살문 (0) | 2015.09.21 |
팔공산 관봉 석조여래좌상 (八公山 冠峰 石造如來坐像) (0) | 2015.09.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