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범여(梵如)의 世上사는 이야기

약초와 나물56

참당귀.개당귀.비교와 효능 참당귀.개당귀.비교와 효능 참.당귀.잎 ↓ 개.당귀.잎 ↓ 비교, 참.당귀.줄기 ↓ 개.당귀.줄기 ↓ 비교, 참.당귀.뿌리 ↓ 개.당귀.뿌리↓ 당귀의 효능 당귀란 참당귀의 뿌리를 말하며 고려시대 목귀초(目貴草),당적(當赤)이라고도 하였으며1600년대에는 숭엄초불휘라고도 하였다. 다른이름으로 숙근초(宿根草) 라고도 한다. 뿌리는 약재로 쓰이며 약성은 온화하고 맛은 달고 쓴데, 방향성 정유와 서당,비타민E 등이 함유되어 있다. 월경을 조절하고 월경통을 제거해주는 효능이 있는데 이것은 혈액순환을 촉진시 키고 진통효과를 나타내기 때문이다. 또한 보혈작용이 현저하여 빈혈에 유효하고일반 타박상이나 현전성 동맥염의 치료에도 응용된다. 만성 화농증에 사용하면 순환을 개선시키고 체내의 저항력을 증강시키며, 변비에 복용하.. 2013. 7. 17.
울금(鬱金)심황의 효능 효과 울금(鬱金)심황의 효능 효과 우리나라에서는 생강과의 강황(Curcuma longa Linne 薑黃)의 덩이 뿌리를 그대로 또는 주피를 제거하고 쪄서 말린것을 말하며 일본에서는 강황(curcuma longa Linne 薑黃)의 뿌리 줄기를 말한다. 중국에서는 생강과의 동속식물인 강황(Curcuma longa Linne 薑黃), 광서아출(Curcuma Kwangsiensis SG Lee & CF Liang 廣西莪朮), 온욱금(Curcuma Wenyusin YH CHen & C Ling 溫郁金), 봉아출(Curcuma Pheocaulis Valeton 蓬莪朮)의 뿌리를 말한다. 울금은 중국남부와 인도, 오키나와를 비롯해 동남아 지역에서 자생 재배되며 우리나라의 중남부 지역에서도 재배된다. 술과 함께 섞으면 누.. 2013. 7. 11.
민들레의 효능 칼슘 및 철분이 풍부하고 비타민, 무기질, 필수아미노산 등이 함유되어 있으며, 특히 다른 국화과 식물과는 달리 단백질 함량이 높은 편이며 그에 비해 지방 함량과 칼로리가 낮아 쌀을 주식으로 하는 우리의 식생활에 비추어 볼 때 현대인의 식품으로 적당하다고 보고되어 있다. 식물이 살기 힘든 땅에서도 꽃을 피우는 강인한 생명력을 지닌 민들레! 미국의 영양학자 로이바타베이안은 3,000여가지 식물 가운데 가장 우수한 5가지의 하나로 민들레를 선정하였다고 보고 되었다(농업과학 기술원, 수원대 식품공학학과 내용) 민들레는 꽃잎, 잎, 줄기, 뿌리까지 버릴 것이 없다. 잎에는 유해산소를 제거해 노화와 성인병을 막아주고, 뿌리에는 간장에 지방이 쌓이지 않도록 막아주고 담즙분비를 촉진시킨다. 빨대처럼 생긴 줄기를 꺾으며.. 2013. 7. 8.
참옻 과 개옻 구별 방법 참옻 과 개옻 구별 방법 위쪽이 개옻나무잎이고 아래쪽이 참옻나무잎인데... 공통점은 똑같이 기수1회 우상복엽이고 다른점은 대체로 참옻나무는 잎이 개옻나무에 비해 크고 색도 연하며... 나무껍질도 회백색이며 적은 가지는 굵고 회황색이고 잎수도 9~11개인 반면, 개옻나무는 잎이 참옻나무에 비해 진한 편이며, 잎의 크기도 적으면서 잎수도 많아 15~17개이다. 이밖의 유사점을 비교해보면 꽃모양으로 참옻나무는 원추화서에 달리며 길이는 15~25cm, 화서에 털이 있고 꽃자루는 1~3mm, 꽃잎은 긴 타원형으로 길이 2~3mm로 갈색 털이 있다. 개옻나무도 원추화서로 길이는 잎길이의 반을 넘지 못하고 소지, 화서에 억센 털이 밀생하며 소엽의 아래에 1~2개의 톱니가 있다 이밖의 유사점을 비교해보면 구분이 쉽질 .. 2013. 6. 13.
여름철에는 황기가 최고의 약초 황기효능1. 몸이 쇠약하여 땀을 자주 흘리는 증상을 치료한다. 2. 목소리가 약하며 몸이 무거운 증상을 치료한다. 3. 만성 무력감 및 만성 피로를 치료한다. 4. 체표를 튼튼하게 하고 폐기운을 보강하여 감기를 예방한다. 5. 상처로 새살이 잘 재생이 안되는 증상을 치료한다. 6. 이뇨작용을 하여 몸이 붓거나 설사를 치료한다. 7. 머리가 맑지 않고 어지러운 증상을 치료한다. 8. 발기부전 등의 정력감퇴를 치료한다. 땀이 많은 증상” 을 치료하는 명약 황기 이야기『황기』는 약 2천년전 한약학의 가장 오래된 의서로 전해져 오는 신농본초경(神農本草經)에서상품(上品)으로 분류된다. 상품이란 부작용이 전혀 없고 장기간 걸쳐 복용해도 좋으며, 불로장생을 하게 하며, 몸을 가볍게 하여 기운을 보강하여 한약재를 말한.. 2013. 6. 13.
적하수오와 백하수오의 효능 적하수오와 백하수오의 효능 ▶북한에서 펴낸 에서는 적하수오에 관해서 이렇게 적고 있다. "적하수오(Pleuropterus multiflorus 'Thunb.' Nak.) [형태]는 여러해살이 덩굴뻗는 풀이며 굵은 덩이뿌리가 있다, 햇가지는 모가 나고 잔털이 있으나 줄기 밑둥은 나무질이다. 잎은 어긋나게 붙고 긴 잎꼭지가 있다. 잎몸은 둥근 심장 모양이거나 심장 모양이며 길이 5~9센티미터, 너비 2.5~5센티미터 이고 민변두리이다. 가을에 잎아귀에서 고깔꽃차례를 이루고 흰색의 작은 꽃이 많이 핀다. 꽃울은 5갈래로 갈라졌고 꽃잎은 없다. 열매는 타원형의 여윈열매이며 세모졌고 검고 윤기난다. [분포산지] 은 우리나라 중부 이남에서 주로 심어 기르며 북부 지방에서도 일부 심는다. 원산지는 중국이다. [성분].. 2013. 6. 5.
엄나무순 당뇨병, 암 예방, 암치료, 두통, 어지럼증, 감기, 감기초기 증상, 신경통, 관절염, 불안 초조 신경 안정 ,식욕증가 춘곤증, 권태, 스트레스, 강정작용, 안정, 혈당강화, 뿌리가 알맹이보다 4배 이상의 영양가가 있으므로 뿌리채 먹는다. 뿌리에 혈당 강화가 많고 영양소는 비타민B1,C, 칼슘, 칼륨, 타닌산등이 있다. 나무 뿌리 껍질이나 줄기 껍질에 들어 있는 사포닌 성분이 정신적, 육체적 피로를 회복시켜주고 심장을 튼튼하게 하며 염증을 없애고 혈당을 낮추며 암세포를 억제하고 통증을 멎게 하는 작용을 한다. 관절염, 신경통, 요통, 당뇨병, 갖가지 암, 정신분열증, 허약체질, 저혈압, 신경쇠약, 변비등을 치료하는데 쓴다 2013. 5. 31.
하고초 목 명: 통화식물목 한 글 꿀풀 과 명: 꿀풀과 한 자 夏枯草 향 명: 꿀방망이,가지골나물,가지래기꽃,모꽃(제주) 학 명: Prunella vulgaris var. lilacina Nakai 영 문: Asian selfheal, Heal all -꿀풀의 효과와 복용 - 간의 열을 떨어뜨린다. ‘간화’ 란 간의 기운이 극단적으로 항진되어 간 자체 기능의 균형이 깨어져 온 병증으로 흔히 안면 홍조, 눈의 충혈 및 통증, 두통, 어지럼증 등이 나타나며 입이 쓰고 분노를 잘 일으킨다. 또한 혀의 양쪽 가장자리와 혀끝이 붉고, 혹은 피를 토한다. 명나라 때의 명의 ‘누영’은 눈의 통증 중 특히 밤에 눈의 통증이 심할 때 신기할 만큼 큰 효과가 있다고 했다. 소염 및 살균 작용 세균의 생장을 억제하는 약효가 강하다.. 2013. 5. 18.
[스크랩] 참옻나무, 개옻나무,붉나무구별법 옻나무는 중국으로부터 도입된 낙엽 활엽 소교목으로 수고 12m, 직경 40cm까지 크고, 바람이 막혀 있는 동남향의 산록, 하안, 밭뚝 적지로서 표고 900m까지도 재배가 가능하며 토심이 깊고 돌이 섞인 석력토의 비옥한 곳에서 잘 자란다. 줄기가 곧게 올라가 층층이 가지를 수평으로 뻗어서 수형을 이루며 꽃은 5월에 녹황색으로 피고, 열매는 지름 6∼8mm의 편구형 핵과로 10월에 연한 황색으로 익는다. 개화기는 6월중으로 전국적으로 식재되고 있으며 옻나무의 종류에는 참옻나무, 개옻나무, 검양옻나무, 산검양옻나무, 붉나무 등이 있다. =============================================================================== 위글에서 보면 참옻나무는 나무종.. 2013. 5.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