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범여(梵如)의 世上사는 이야기

약초와 나물56

잡초의 종류 1. 금불초 2. 개망초 3. 달맞이꽃 4. 붉은서나물, 주홍서나물 5. 왕바랭이 6. 황삼덩쿨 7. 중대가리풀 8.맥문동 9. 까마중 10. 돼지풀 혹은 두드러기풀, 쑥잎풀 (알레르기를 일으키는 유해식물) 11. 돌콩 12. 곰보배추 13. 단풍잎돼지풀 14. 소루쟁이 15. 여귀의 어린순 16. 왕고들빼기 17.조뱅이 18. 매듭풀 2013. 5. 6.
돌가시나무(땅찔래) ▶돌가시나무 땅가시나무라고도 한다,전체에 가시가 많고 털이 없다. 잎은 어긋나고 7∼8개의 작은잎으로 이루어진 깃꼴겹잎이다. 작은잎은 넓은 달걀 모양 또는 달걀을 거꾸로 세운 듯한 모양으로 끝은 뭉뚝하며 밑은 둥글고 가장자리에 굵은 톱니가 있다. 턱잎은 톱니가 있고 잎자루에 붙는다. 꽃은 지름 4cm로 흰색이고 향기가 있으며 가지 끝에 1∼5개씩 달리고 꽃자루에 선모가 있다. 꽃잎은 달걀을 거꾸로 세운 듯한 모양이고 끝이 오목하며, 꽃받침조각은 바소꼴로 안쪽에 털이 있다. 암술대는 겉에 털이 있다. 열매는 거의 둥글며 가을에 붉게 익는다. 관상용으로 심는다. 한국(전남·전북·경남·경북)·일본·타이완·중국 등지에 분포한다. 유사종으로 열매가 타원형인 것을 긴돌가시나무(for. ellipsoidea), 붉은.. 2013. 5. 2.
봄나물 잘알고 먹기 봄나물 잘알고 먹기 봄나물이 누구에게나 몸에 좋은 것은 아니다? 겨울을 이겨낸 채소는 누구에게나 좋은것으로 알고 있지만 사실은 특정인들과 특이 체질에서는 조심하셔야 한다 예를 들어 소양인이 태양인이 열식품인 쑥이나 냉이 다래등을 다량 장기로 드신다던지 소음인이나 태음인들이 냉식품인 두릅등을 대량 보용하셨을경우 문제가 일어날수 있거나 해가될수있다는것을 명심 하셔야 한다!~ 체질에 맞지 않는 나물을 먹으면 몸의 균형이 깨져 소화장애나 대변장애, 피부발진, 두통 등이 나타날 수 있다 자신의 체질에 맞는 나물을 골라 섭취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달래, 쑥, 취는 따뜻한 성질이 있으므로 몸이 찬 사람에게는 약이 되지만 몸에 열이 많은 사람에겐 오히려 해로울 수 있다. 두릅은 성질이 차고 쓴맛이 있어 해열·진통.. 2013. 4. 27.
꾸준히 먹으면 좋은 가시오가피의 효능.| 꾸준히 먹으면 좋은 가시오가피의 효능.| ★오가피(五加皮)란 생약★ 오가피 일명, 오갈피라고도 불리우는 고전 생약은 그 분포가 동북아시아에 한정되어 있을뿐만 아니라,있다해도 자연적으로 번창하지 않기 때문에 비록 좋은 건강 식품의 재료이기는 하나 실제로는 음용에한계가 있다. ▶오가피는 한국이 원산지, 외국산에 비해 그 약효성분이 4~6배 산삼과 함께 오갈피나무과에 속하는 오가피는 우리나라가 원산지임에 틀림이 없다.지금까지 알려진 자생 오가피는 러시아 1종, 중국 7~8종 정도며 우리나라는 등록한 토종 오가피 품종이다현재 17종으로 알려져 있으며, 그중 대표적인 품종이 흰털가시오가피, 민가시오가피, 섬오가피, 왕오가피,수신오가피, 지리오가피 등이 있다.품종이 세계에서 제일 많고 약효 또한 가장 뛰어난 것으로.. 2013. 4. 24.
취나물의 종류와 효능 취나물의 종류와 효능 학명은 Xanthium strumarium L.이다.취나물은 대부분 국화과(菊花科 Asteraceae)에 속한다. 취나물의 종류는 100여종인데 우리나라에는 60여종이 분포하는데 식용으로 가능한 것은 24종이라 하며 한국에서 주로 재배하는 취나물은 참취, 곰취, 각시취 등이 있다. 이중에서 참취와 곰취의 향기가 독특하며 수확량이 많기 때문에 농가에서 재배를 선호한다. 자연산 취나물은 보통 자연상태에서 30%정도 차광이 되는 시원한 반음지에서 잘자라고 부식질이 풍부하면서 습도유지가 잘되고 그러면서도 물 빠짐도 잘되는 토양에서 잘 자란다. 취나물은 맛과 향기가 뛰어나고 탄수화물, 비타민 A 등 다양한 영양분이 함유되어 있어 묵나물, 튀김, 부침용으로 이용되며 감기, 두통, 진통, 해독,.. 2013. 4. 17.
냉이의 종류와 효능 냉이의 종류와 효능 냉이의 줄기는 곧게 서있으며 가지는 갈라지고 높이는 약 30-50cm이다. 전국 각지에 분포하며 뿌리를 포함한 모든 부분을 약재로 사용하고 있다. 냉이는 질경이와 마찬가지로 사람의 발길이 잦은 땅에 잘 자란다. 향기가 진하지만 줄기가 돋아나고 꽃이 피면 향기는 약해진다. 냉이 역시 본디 다른 나라에서 들어온 식물이다. 나생이, 나승구, 나잉개, 계심채, 정장채라고도 하며 한자로는 제채(薺菜)로 쓴다. 냉이는 온 세계에 널리 자라는 두해살이풀로 원래는 유럽에서 자라던 것 이 농경활동에 따라 중국을 거쳐 우리나라에 들어온 것으로 추측한다. 맛은 달고 평하며 씨앗도 달고 평하다. 비장을 이롭게하고 이수, 지혈, 명목하며 씨앗은 거풍, 명목한다. 이질, 이뇨작용, 전신이 붓고 소변을 잘 못 .. 2013. 4. 13.
백하수오 독성이 없고 기력을 돋우며 인삼, 구기자와 함께 3대 명약으로 알려진 하수오가 건강기능식품으로 큰 두각을 나타내고 있다. 하수오는 적갈색 빛이 감도는 적하수오(赤何首烏)와 황백색 빛이 나는 백하수오(白何首烏)로 나뉘며 효능은 비슷하다. 단 적하수오는 주로 중국, 일본에서, 백하수오는 한국에서 많이 재배해 사용되고 있다. ◆ 백하수오의 5가지 효능 1. 신장의 기능을 강하게 원기회복의 '장수제' 백하수오는 오랫동안 잘 낫지 않는 지병으로 몸이 약해지거나 허리나 무릎이 시리고 아프거나 힘이 없을 때 근골을 치료하는 작용이 있다. 하수오(何首烏)는 중국에 하씨 성을 가진 사람이 하수오를 먹고 머리카락이 까마귀처럼 까맣게 되었다고 해서 붙여진 이름으로 그 뜻 그대로 탈모를 예방하고 모발을 건강하게 하는 효과도 .. 2013. 4. 6.
산나물로 암을 정복 할수 있다 산나물로 암을 정복 할수 있다 ‘산나물 전도사’로 불리는 강원대학교의 함승시 교수. 그는 우리 산야에서 자라는 산나물의 성분과 효능을 연구하고, 특히 산나물의 항암 효과에 대한 깊은 연구로 국내외에서 널리 인정받았다. 그러던 중 1991년 가을, 예기치 못한 위암 진단을 받고 위를 80% 가까이 잘라내는 큰 수술을 받았다. 강연회나 각종 대중매체를 통해 산나물의 효능을 알리고, 산나물로 국민 건강을 지켜야 한다고 강조했던 사람이 위암으로 수술을 받았으니 기가 막힐 노릇이었다. 병 문안을 온 동료 교수들은“산나물을 먹으면 암에 안 걸린다더니, 도대체 어떻게 된 거야?”라는 뼈 있는 농담을 던지기도 했다. 그러나 산나물을 오래 연구하면서 항암효과를 확신했던 그는 항암치료 대신 산나물 식이요법을 선택했다. 퇴.. 2013. 3. 12.
겨우살이 효능 *약성 및 활용법* 겨우살이는 옛 선조들이 초자연적인 힘이 있는것으로 믿어 온 식물이다 동서양을 막론하고 옛 사람들은 겨우살이를 구신을 쫓고 온갖 병을 고치 며 아이를 낳게 하구 벼락과 화재를 피할수 있을 뿐 아니라 장생불사의 능력이 있는 신선한 식물로 여겨왔다 특히 유럽 사람들은 참나무에 기생하는 겨우살이를 불사신의 상징으로 믿었고 하늘이 내린 영초라고 신성시하여 절대적인 경외의 대상으로 여 겨왔다 겨우살이는 몸을 따뜻하게 하는 효능이 있다 독성이 없으므로 누구든지 안심하게 사용 할수있다 *증상별 적용 및 복용법* =>겨우살이는 가장 강력한 항암식물의하나이다 유럽에서는 암 치료에 가장 탁월한 식물로 겨우살이와 털머위를 꼽고 있을 정도이다 우리나라에서도 민간에서 겨우살이를 달여서 먹고 위암 신장암 폐암 .. 2013. 2. 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