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사속으로146 한국 역사상 최초로 화약을 발명한 영웅, 최무선 한국 역사상 최초로 화약을 발명한 영웅, 최무선 화약 개발의 꿈을 꾸다 세계 4대 문명의 발상지 중 한 곳인 중국은 나침반과 종이, 그리고 화약을 발명하며 세계 과학을 일으켰다. 특히 화살과 창 등 금속 무기를 아무리 정교하게 만들어도 그 폭발력을 따라갈 수 없는 화약은 인류의 역.. 2012. 4. 11. 신라의 순교자, 이차돈 신라의 순교자, 이차돈 이차돈의 死 9세기 초 세워진 '백률사 육면석당(六面石幢)'에는 법흥왕 14년(527), 이차돈이 순교할 때의 장면을 극적으로 묘사해 놓은 글이 있다. 참수할 때 목 가운데서 흰 젖이 한길이나 솟구치니, 이때 하늘에서는 꽃비가 내리고 땅이 뒤흔들렸다. 사람과 만물이 .. 2012. 4. 7. 신라의 대학자ㆍ문장가, 설총 신라의 대학자ㆍ문장가, 설총 이두(吏讀)로 우리말을 살린 이 백성들이 쉽게 익히고, 어떤 소리든, 자유롭게 우리말을 그대로 글로 옮길 수 있는 한글은 1446년, 세종대왕이 창제한 과학적인 언어다. 실제로 한글은 자음 14개와 모음 10개만 알면 무려 1만 1172개의 글자를 만들 수 있어 디지.. 2012. 4. 6. 항일독립운동의 빛, 도산 안창호 항일독립운동의 빛, 도산 안창호 잠을 자도 독립을 위해, 밥을 먹어도 독립을 위해 한반도가 일제 강점기에서 벗어나 나라를 되찾은 날을 기념하는 8·15 광복절이 있어 뜨거운 마음이 용솟음치는 8월. 우리의 마음을 치는 한국인이 있다. "나는 밥을 먹어도 대한의 독립을 위해, 잠을 자도.. 2012. 4. 6. 미완의 개국군주, 공민왕 미완의 개국군주, 공민왕 성공한 왕? 실패한 왕? 고려의 왕 가운데 고려를 세운 태조 왕건 다음으로 잘 알려진 왕이 제 31 대 공민왕이다. 오랫동안 고려말 방탕과 문란의 상징으로만 왜곡되면서 왕건에 비견되는 성군의 면모가 평가 절하되는 비운을 겪기도 했던 공민왕은 성공한 왕일까?.. 2012. 4. 5. 퇴계 이황과 도산서당 퇴계 이황과 도산서당 퇴계 이황(退溪 李滉) 이황은 조선시대 대학자이다. 23세인 1523년 성균관에서 공부하였고, 24세부터 과거시험에 응시하였으나 세 번 낙방했다. 27세인 1527년 경상도 향시에 응시하여 생원 2등으로 합격한 퇴계 선생은 이듬해에 진사시험에 2등으로 합격하였다. 32세인 .. 2012. 4. 4. 기미독립선언문(己未獨立宣言文)해설 기미독립선언문(己未獨立宣言文)해설 조선민족대표 삼십삼인(朝鮮民族代表 三十三人) 오등(吾等)은 자(慈)에 아(我) 조선(朝鮮)의 독립국(獨立國)임과 조선인(朝鮮人)의 자주민(自主民)임을 선언(宣言)하노라. 차(此)로써 세계만방(世界萬邦)에 고(告)하여 인류평등(人類平等)의 대의(大義.. 2012. 4. 4. 조선 후기의 지식인, 박지원! 새로운 길을 찾다 조선 후기의 지식인, 박지원! 새로운 길을 찾다 문체반정의 대상이 되다 1792년 10월 19일, 정조는 중국에서 들어오는 명청소품(明淸小品)과 패관잡서(稗官雜書)에 대한 강경한 수입금지 조치를 내리고, 사대부 계층의 글쓰기 전반에 대한 대대적 검열이 실시했다. 지식인들의 일부 저술에 .. 2012. 4. 3. 조국 독립의 강렬한 꿈을 시로 쓰다, 저항시인 이육사 조국 독립의 강렬한 꿈을 시로 쓰다, 저항시인 이육사 광야에 노래의 씨를 뿌린 시인, 광복을 약속한 독립운동가 겨울철 한반도에 영향을 주는 '시베리아 고기압'과 북극에서 밀려 내려온 한기(寒氣)가 더해지면서 초강력 한파가 쉼없이 전국을 강타하고 있다. 특히 추위가 정점을 찍은 .. 2012. 4. 3. 이전 1 ··· 8 9 10 11 12 13 14 ··· 1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