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범여(梵如)의 世上사는 이야기

역사속으로146

조선을 대표하는 선비, 율곡(栗谷) 이이(李珥) 조선을 대표하는 선비, 율곡(栗谷) 이이(李珥) 조선이라는 유교이상국가를 이끌었던 지식인 관료 국왕이 조선 왕조의 중심이라면 선비는 조선의 500년 통치를 가능케 한 정치의 중심이었다. 평생 책을 벗 삼아 살아가다 뜻을 얻으면 관직에 나아가 천하를 다스렸던 선비는 꾸준한 공부를 .. 2012. 5. 3.
신라 최후의 미스터리, 마의태자 신라 최후의 미스터리, 마의태자 왕건, 궁예, 견훤. 이들은 후삼국시대를 풍미했던 주역들이다. 그런데 같은 시기 역사의 그늘에 가려져 있었던 인물이 있다. 바로 신라의 마지막 왕인 경순왕의 아들이었던 마의태자이다. 신라가 망하자 금강산으로 들어가 홀로 풀을 베어먹으며 생을 마.. 2012. 5. 2.
부처의 가르침을 전한 신라의 큰 스님, 원효 부처의 가르침을 전한 신라의 큰 스님, 원효 나를 낮춰 대중에게 불교를 전하다 그는 승려의 몸이었지만 왕의 딸인 요석공주(瑤石公主)와 인연을 맺는 파행으로 설총(薛聰)이라는 아들을 낳았다. 이 후 파계승이 된 그는 세속의 옷으로 갈아입고, 광대들이 가지고 노는 큰 표주박을 갖고 .. 2012. 5. 2.
중국·일본서 더 존경 받은 이순신 장군 중국·일본서 더 존경 받은 이순신 장군 명나라 수군 제독 진린 “하늘이 내린 장군” 극찬 일본 軍神 도고도 “이순신에 비하면 나는 하사관” ▲ 이순신 한국인이 가장 존경하는 인물은 누구일까? 이순신 장군과 세종대왕이 가장 유력한 후보가 될 것이다. 충무공 이순신 장군은 임진.. 2012. 5. 1.
동학농민운동의 지도자, 녹두장군 전봉준 동학농민운동의 지도자, 녹두장군 전봉준 동학농민운동을 이끌다 탐관오리의 부정부패가 만연했던 19세기 조선. 견디다 못한 백성들이 분연히 일어서 정부와 당당히 맞서기에 이르렀다. 1894년, 부패한 정부 관리와 조선을 노리는 일본 세력에 대항해 개혁을 도모했던 동학 농민 운동이 .. 2012. 4. 30.
동학 혁명 동학 혁명 1894 1월 고부민란이 일어남 1894 3월 전봉준이 손화중, 김개남과 함께 농민군을 조직함 1894 4월 전주 감영군을 격파, 전주성에 입성 1894 5월 농민군의 폐정개혁안을 받아들여 정부군과 농민군 사이에 화약 체결 집강소 설치 1894 6월 일본군이 무력으로 왕궁을 점령 갑오경장 추진 18.. 2012. 4. 30.
소리의 세계를 꽃피운 가야의 악공, 우륵 소리의 세계를 꽃피운 가야의 악공, 우륵 소리의 세계를 꽃피운 가야의 악공, 우륵 반만년에 달하는 한반도의 역사 속에 수많은 왕국이 생겨나고 사라졌다. 기원 전후부터 562년까지 낙동강 하류지역에서 제국을 형성했던 가야 또한 사라진 왕국 중 하나이나 가야의 역사는 이어지고 있다.. 2012. 4. 28.
신라시대 거문고의 달인, 백결 선생 신라시대 거문고의 달인, 백결 선생 풍성한 가을의 소리, 방아 봄에 뿌린 씨앗이 결실을 맺는 한국의 가을에는 곳간마다 가득 쌓이는 곡식만큼 마음을 풍성하게 해 주는 소리가 있다. 알곡을 빻아 가루를 내는 연장인 방아로 ‘덩더쿵 덩더쿵~’ 귀가 즐거워지는 음을 내며 곡식을 찧는 .. 2012. 4. 28.
신라 호국의 혼, 문무대왕 신라 호국의 혼, 문무대왕 죽어서도 나라를 지키련다 나라를 다스린 지 21년. 생의 마지막 순간을 예감한 문무왕은 유언을 남긴다. “내가 죽거든 화장(火葬)을 해 왜구가 들어오는 동해의 큰 바위에 유골을 묻으라. 짐은 죽은 뒤에 용이 되어 나라의 평화를 지키겠노라." 화장을 해 바닷물.. 2012. 4. 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