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사속으로146 문헌에서 본 우리 겨레의 고대역사 문헌에서 본 우리 겨레의 고대역사 우리 선조들께서 성스러운 땅에 신령한 기운과 능력을 펼쳐 나라를 열어 하늘민족의 밝은 지혜를 전해 온 지 일만 년이 지나는 동안 달이 차면 기울고 해가 중천을 밝히면 서산으로 쓰러지는 자연의 섭리를 벗어날 수 없으매 우리 겨레의 융성함이 어.. 2012. 3. 8. 초고대왕 후손 백제왕과 일본천황표 초고대왕 후손 백제왕과 일본천황표 백제 근고초대왕 후손 백제왕과 일본천황표 개로대왕 후손 백제왕과 일본 천황 도표 2012. 3. 8. ‘토정비결’ 뒤에 가려진 애민가(愛民家), 이지함 ‘토정비결’ 뒤에 가려진 애민가(愛民家), 이지함 참된 이지함을 조명 한다 묵은 해를 보내고 새해를 맞이하는 정초가 되면 한국인이 찾곤 하는 책이 있다. 생년월일과 주역의 괘를 이용해 한 해의 운수를 점치는 <토정비결(土亭?訣)>로 조선 시대부터 전해진 이 책은 한 해의 희망을.. 2012. 3. 7. 독도는 우리 땅, 신라 장군 이사부 독도는 우리 땅, 신라 장군 이사부 2012년은 우산국 편입 1500주년 신라 지증왕이 나라를 다스린 지 13년째 되던 512년, 우산국(于山國)을 편입한 이사부(異斯夫) 장군. 내년은 신라 장군 이사부가 울릉도ㆍ독도를 아우르던 동해상의 해상왕국 우산국을 한국 역사에 최초로 편입시킨 지 1500주.. 2012. 3. 6. 한민족의 시조, 단군왕검 한민족의 시조, 단군왕검 開闢, 한반도의 하늘이 처음 열리다 일찍이 하늘님(桓因)의 아들, 환웅(桓雄)은 하늘 아래, 인간 세상에 뜻을 두었다. 언제나 같은 곳을 내려다보는 아들을 보며 환인이 몸소 그 곳을 굽어다 보았는데 널리 인간을 이롭게 할 만 했다. 이에 비, 바람, 구름, 3개의 천.. 2012. 3. 5. 한국 성리학의 시조, 안향 한국 성리학의 시조, 안향 사유와 실천의 근본, 성리학 성리학 하면 탁상공론이나 당파 싸움을 떠올리는 이도 있지만 성리학에 바탕한 강직하고 깨끗한 선비 문화는 한국의 값진 유산이다. 실제로 공자(孔子)가 체계를 세우고, 맹자(孟子)가 크게 일으켰으며 주자(朱子)가 집대성한 성리.. 2012. 3. 3. 한단고기(桓檀古記)란? 한단고기(桓檀古記)란? 숙명여대에 보관중인 한단고기 원본 계연수가 기존의 '삼성기', '단군세기'. '북부여기', '태백일사'의 네 종류의 책을 하나로 묶은 다음 이기(李沂)의 감수를 받아 1911년에 30부 한정 편찬하였다. 계연수는 만주에서 독립 운동을 하다가 1920년에 한 일본인에 의해 피.. 2012. 3. 1. 남한산성 남한산성 남한산성하면 우리들의 뇌리에 치욕의 산성으로 각인되어 있다. 그것은 조선 인조가 오랑캐 나라인 청 태종(太宗)의 대군에 밀려 남한산성으로 피했다가 결국 무릎을 꿇고 항복한 곳으로 알려져 있기 때문이다. 그래서 남한산성을 찾는 사람들의 기분은 그다지 좋지 않다. 심지.. 2012. 3. 1. 조선 시대 대표 외교관, 이예(李藝) 조선 시대 대표 외교관, 이예(李藝) 일본인 소설가 '조선통신사 소설' 헌납 한 일본인 소설가가 조선통신사 이예(李藝)의 생애를 소설로 담아 지난 달, 울산 울주군 석계서원에 헌납했다. 책을 쓴 주인공은 일본에서 변호사 겸 소설가로 활동하는 가나주미 노리유키씨로 조선인 이예의 생.. 2012. 2. 29. 이전 1 ··· 12 13 14 15 16 1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