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단지맥(黔丹枝脈) 자료
탄천(검단)지맥 개념도
검단지맥이란?
칠장산에서 분기한 한남정맥은 석성산을 거처 향린동산(88CC 입구)에서 아스팔트 도로 따라 경부고속도로를 가로질러 아차지고개를 지나 수원 광교산으로 이어가고, 또 하나의 산줄기가 향린동산(88CC 입구)에서 서쪽으로 분기하여 법화산(383m), 불곡산(335m), 영장산(414m), 검단산(542m), 청량산(438m), 용마산(596m), 검단산(657m)을 거처 하남시 창모루마을 한강변에서 그 맥을 한강에 넘겨주는 도상거리 43km인 이 산줄기를 한남검단지맥(漢南黔丹枝脈)이라 부르는데 수계를 기준으로 하는 대한산경표에서는 탄천지맥이라부른다.
분기점에서 남한산성(청량산)까지는 등로가 일치하나 신산경표상의 검단지맥은 벌봉, 은고개를 지나
검단산에서 외창모루가 있는 팔당대교쪽으로 향하고, 대한산경표는 남한산성(청량산 497.1m), (북)위례택지지구, 서울외곽순환고속도로,
장지근린공원, 두댐이공원, 투구봉(개롱공원 59m), 성동구치소(62m), 웃말공원, 양재대로, 새싹어린이공원,
송파사거리, 석촌동고분군, 아시아공원, 잠실종합운동장을 지나 올림픽대로 청담교 아래의 탄천과 한강
합수점에서 끝나는 40.5km의 산줄기를 말한다
필요한 지도
1:50,000 - 수원 이천 양수 성동(4매)
순번 |
산 과 고개이름 |
소재지 |
특기사항 |
1 |
바깥창모루 |
경기도 하남시 창우동 |
팔당대교, 들머리 |
21 |
검단산
(黔丹山 659.8) |
하남시 |
넓은공터(헬기장), 쉼터
정상석, 조망 좋음 |
3 |
고추봉 |
하남시, 광주(남종) |
삼각점, 무표시, 조망좋음 |
4 |
용마산
(龍馬山 595.4) |
하남시, 광주(남종) |
좁은 공터, 삼각점, 정상석, 조망 좋음 |
5 |
제2중부고속국도 |
하남시, 광주(중부) |
굴다리로 통과 |
6 |
중부고속국도 |
하남시, 광주(중부) |
굴다리로 통과 |
7 |
은고개 |
하남시, 광주(중부) |
43번국도 |
8 |
남한산
(521.1) |
하남시, 광주(중부) |
외동장대지, 암봉, 조망좋음 |
※ |
벌봉(515) |
하남시 |
지맥에서 벗어남 |
※ |
연주봉(465) |
하남시 |
지맥에서 벗어남 |
9 |
청량산
(淸凉山 482.6) |
하남시, 광주(중부) |
수어장대 |
10 |
남한산성 남문도로 |
성남(중원), 광주(중부) |
2차로 |
11 |
검단산
(黔丹山 538.1) |
성남(중원), 광주(중부) |
군부대(통제지역), 중계탑 |
12 |
왕기봉(500) |
성남(중원), 광주(중부/광주시) |
공터, 쉼터, 정상석 |
13 |
이배재고개 |
성남(중원), 광주시 |
2차로, 표지석 |
14 |
갈마치고개 |
성남(중원), 광주시 |
2차로, 이정표 |
15 |
영장산
(靈長山 412) |
성남(분당), 광주시 |
정상석, 삼각점, 쉼터 등 |
16 |
57번도로 |
성남(분당), 광주(오포) |
57번 신도로. 4차로 |
17 |
형제봉 |
성남(분당), 광주(오포) |
사각정자, 운동기구, 쉼터 등 |
18 |
불곡산
(佛谷山 312.9) |
성남(분당), 광주(오포) |
정자, 삼각점, 정상석 등 |
19 |
대지고개 |
용인(수지, 처인) |
43번 구 국도, 2차로 |
20 |
43번 신국도 |
용인(수지, 처인) |
43번 신국도, 6차로, 절개지 |
21 |
법화산
(法華山 383.2) |
용인(기흥, 처인) |
정상석, 삼각점, 안내문 외 |
22 |
분기점(88골프장) |
용인시 기흥구 |
한남정맥과 합류 |
'탄천(검단)지맥(終)' 카테고리의 다른 글
탄천(검단)지맥 제3구간 - 부천당고개에서 한남정맥 검단지맥 분기점까지 (0) | 2012.01.22 |
---|---|
탄천(검단)지맥 제2구간 - 남한산성 남문에서 부천당고개까지 (0) | 2012.01.01 |
탄천(검단)지맥 제1구간 - 외창모루에서 남한산성 남문까지 (0) | 2011.09.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