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범여(梵如)의 世上사는 이야기
♣ 9기맥 자료및 산행후기 ♣/팔공기맥(終)

팔공기맥(八公岐脈)과 보현지맥(普賢枝脈)

by 범여(梵如) 2012. 2. 10.

 

팔공기맥


가칭 "팔공기맥"은 낙동정맥 가사령에서 북쪽 1km 지점쯤에 있는 744.6봉에서 분기하여 위천과 낙동강의 합수점 새띠마을(경북
상주시 중동면 간물리)까지의 약 158km의 산줄기이다.


기맥을 중심으로 남쪽 물줄기는 모두 금호강을 거쳐 낙동강으로 흐르다가 가산 이후로는 바로 낙동강으로 흐르고 있다. 반면 북쪽
물줄기는 초입인 구암산까지는 낙동강 지류인 용당천을 거쳐 낙동강으로, 노귀재를 지나 750.6봉(석심산)까지는 길안천을 거쳐
낙동강으로, 이후는 위천을 거쳐 낙동강으로 흐른다.


면봉산(1113), 보현산(1124.4), 팔공산(1192.9) 등 1000m 넘는 산을 3곳 지나게 되어 산세가 비교적 웅장한 편이고, 또한 포항,
영천, 군위, 의성 등 경북 내륙 오지지역을 관통한다는 매력을 맛볼 수 있다.



□  구간 종주기

NO.

운 행 구 간

도상거리(=약)

도엽명(1:50.000)

기맥거리

누계

1 구간

가사령-기맥분기봉(744.6)-달의령-구암산-옷재-꼭두방재

17.0km(3.0km)

17.0km(3.0km)

기계

2 구간

꼭두방재-베틀봉-면봉산-보현산-노귀재-석심산-수기령

23.5

40.5

기계, 화북

3 구간

수기령-방가산-화산-감자골-갑령-갑령재

22.0

62.5

화북

4 구간

갑령재-자주고개-시루봉-팔공산-서봉-파계봉-한티재

20.0(1.0)

82.5(1.0)

군위

5 구간

한티재-치키봉-가산-모래재-5번국도-효령재

16.0

98.5

군위

6 구간

효령재-응봉산-적라산-오로고개-장고미기-곰재

21.0

119.5

군위, 구미

7 구간

곰재-비재-베틀산-내밀재-당재-청화산-갈현

24.0

143.5

구미, 안계

8 구간

갈현-장자봉-십령-만경산-토봉-새띠마을(위천합수점)

14.5

158.0(4.0)

안계

 * ( )내 수치는 접근 및 하산거리 또는 마루금외 봉우리 왕복거리임.

 

 


 

 

◇팔공기맥(八公岐脈)과 보현지맥(普賢枝脈) 

 낙동정맥이 백두대간 매봉산[태백]에서 부산 몰운대까지

도상거리 419.0km를 이어가면서 낙동정맥상 가장 큼직한 枝脈을

가사령 북쪽 가사봉(744.6m)에서 서쪽으로 분기시킨다..

이 맥이 면봉산과 보현산을 지나 청송,영천,군위 경계인 석심산(750.6m)에 올라

다시 남북으로 크게 두 줄기로 갈라진다.


그 한줄기는 석심산에서 북쪽으로 뻗어 최고봉인 산두봉(719m)을 이루며,

상주시 중동면 우물리 작은마을까지 이어지는 위천의 북쪽 산줄기이고,

또 다른 한줄기는 석심산에서 남으로 최고봉인 팔공산(1192.8m)을 만들고,

상주시 중동면 새띠마을까지 이어지는 위천 남쪽 산줄기로 구분된다.


몇몇 사람들은 진작부터 이 脈의 최고봉이자 대구의 진산인

팔공산(1192.8m)을 거쳐 경북 상주시 중동면 새띠마을까지 이어지는

160.1km의 산줄기를 “팔공기(지)맥”이라 칭하고 답사를 해 왔다.


그러나 박성태님의 신상경표란 책자가 발행(2004.8) 되면서,

석심산에서 북쪽으로 이어지는 脈이 비록 최고봉인 산두봉이

해발 719m에 불과하고, 군위와 의성의 이름 없는 산으로 이어지지만

그 길이가 기존의 팔공기맥보다 6.7km 더 길다는 사실이 밝혀졌다.

※가사봉 분기점(0)→석심산(39.4km)→위천北(166.8km)

  가사봉 분기점(0)→석심산(39.4km)→위천南(160.1km)


즉, 낙동정맥 가사봉에서 분기한 脈 중에서 가장 긴 맥

보현산을 지나 석심산에서 위천 북쪽 울타리로 이어지는 맥으로

그 길이가 166.8km이다.

길이로 본다면 이 맥이 당연 主脈이 되어야하고 그 맥에서 최고봉인

보현산(1124.4m)의 명칭을 따서 보현지맥으로 칭해야 할 것 같다.

[박성태著-신상경표에서는 이 줄기를 보현지맥이라 칭함]


하지만 가사봉에서 분기한 脈에서 가장 높고 이름난 산을 택한다면,

당연히 석심산에서 대구의 진산인 팔공산(1192.8m)으로 가야한다.

이런 견지에서 본다면 主脈은 석심산에서 팔공산을 거쳐

위천의 남쪽 울타리가 되어 상주시 새띠마을로 이어지는 160.1km의 산줄기를

主脈으로 보고 팔공지맥이라 칭해야 한다고 본다.

 

[그러나 신상경표(=박성태著)란 책자가 발행된 이상,

 명칭의 혼선을 위해서라도 보현지맥과 팔공지맥으로 칭함이 옳다고 본다.

 어쨌거나  脈의 흐름은 언제나 변하지 않는다~!

 

 

 

○팔공기맥은 

포항시 청하면 상옥리 낙동정맥 가사령 위 742봉(현위치)에서 서쪽으로 분기하여 베틀산 면봉산

보현산 석심산에서 다시 보현기맥과 분기하며 화산 팔공산 가산 베틀산 청화산 지나 위천과 낙동강이 만나는

상주 새띠마을 까지 도상거리 약 160km의 산줄기를 말합니다.(중복 39Km포함) 

 

○보현기맥은

가사령에서 역시 보현산 석심산까지 같은줄기를 타다가 팔공기맥은 남진을 하고 보현기은 북진을 합니다. 

시종일관 위천의 북쪽 울타리를 치며 어봉산 산두봉 구무산 푯대산 해망산 문암산 비봉산 건지봉 지나

위천 북쪽 1.5km 지점 상주군 중동면 신암리 토진마을에서 낙동강으로 빠지는 줄기입니다. 

팔공기맥과 중복산줄기 39km를 제외하고라도 도상거리 126km 이상되는 줄기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