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범여(梵如)의 世上사는 이야기
한국의 옛집

경주 양동마을 향단

by 범여(梵如) 2012. 4. 24.
경주 양동마을 향단(慶州良洞香壇:보물 제412호)

경상북도 경주시 강동면 양동리에 있는 조선 중기의 주택으로 동방사현(東方四賢)의

한 사람인 이언적(李彦迪)이 경상감사로 재직할 때 건축한 것이다.

 

이 건물은 야산죽림(野山竹林)을 배경으로 낮은 구릉 위에 자리잡고 있으며 일반 상류주택과 다른

특이한 평면구성을 하고 있다. 이는 풍수지리에 의거, 몸채는 月자형으로 하고, 여기에 一자형 행랑채와

간막이를 둠으로써 用자형으로 만들고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행랑채·안채·사랑채가 모두 한 몸체로

이루어지며 각각의 마당을 가져 작은 중정(中庭) 두개가 있는 특색 있는 구성을 한다.

 

행랑채는 정면 9칸, 측면 1칸으로 오른쪽으로부터 방·대문·마루·방·곳간·마구간 등이 들여졌다.

행랑채에 난 대문을 들어서면 안채와 사랑채의 측면으로 형성된 좁은 공간이 나타난다.

이 공간을 지나 중정에 다다르는데, 이 중정 역시 협소하다. 중정 두 개 중 하나는 안마당으로 쓰이고

다른 하나는 행랑마당으로서 노천부엌과 같은 기능을 한다. 사랑채는 정면 4칸, 측면 2칸으로 중앙에

대청을 두고 좌우로 온돌방을 배치하였다.

 

여기에 작은 마루를 사이에 두고 방과 마루로 구성된 아래채가 연결되어 있다.

안채는 정면 5칸, 측면 2칸 반 규모로 두개의 크고 작은 부엌과 두개의 안방들이 안대청을

모서리에 두고 꺾여 접합되어 있다.

특히, 안채의 부엌은 아래층은 헛간모양으로 흙바닥을 이루고 그 위층에는 마루를 놓았다.

또 정면에는 벽체 대신 가는 살대들이 수직으로 촘촘히 세워져 있다는 점이 다른 주택과는 다른 점이다.

 

집의 구조를 보면, 행랑채·사랑채·안채 모두 막돌허튼층쌓기의 높이가 각각 다른 기단 위에 원주(圓柱)를 세웠다.

행랑채는 원주를 세워 소로받침 없이 납도리를 받고 있는 민도리집이다. 홑처마에 맞배지붕이고,

양측 박공면에는 풍판(風板)을 달았다.

 

사랑채의 세부구조는 조선 후기의 수법으로 보이는 초익공계(初翼工系)로 초각(草刻) 없는 익공이 외부로

뻗고 안으로는 연봉형의 보아지로 대들보 밑을 받치고 있다. 이러한 복잡한 형태와는 달리 행공첨차(行工檐遮)는

끝이 비스듬히 끊긴 두 개의 S자 형태로 되어 있다.

 

가구(架構)는 5량(梁)으로 종량(宗梁)은 첨차와 파련대공(波蓮臺工)에 의하여 지지되고 있다.

사랑채는 홑처마에 맞배지붕형식으로 정면 양측으로 박공을 만들어 풍판을 달았다.

안채도 행랑채와 마찬가지로 납도리를 받친 민도리집으로 홑처마에 맞배지붕으로 되어 있다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조선집을 공부하면서 처음에는 ‘조선집에는 분명 그들의 삶의 태도가 묻어 있을 것이고, 그 삶의 태도는

그들의 가치에서 나왔을 것이고, 그 가치는 조선의 지배 이데올로기인 성리학(性理學)에서 비롯된다’고 생각했다.

그래서 성리학이 어떻게 조선집들을 규정하고 있는지에 대해 파고들었다.

그러나 실상은 그렇게 간단하지 않았다. 성리학을 대하는 옛사람들의 태도도 너무나 다양했고,

철저한 성리학자라고 믿었던 사람들이 정작 자기 집을 지을 때는 노장(老莊)적인 면모를 드러낸다든지,

아예 풍수지리(風水地理)의 달인인 경우도 많았다.

그런 경우에는 거꾸로 그들이 지은 집을 바탕으로 그들의 학문적 연원을 새로 탐사해야 했다.

남명 조식이 그런 경우였고, 고산 윤선도가 그랬다. 그런 경우는 그들의 방대한 지식에 도저히 따라가

볼 엄두도 내지 못했다.

성리학 이전부터 우리의 몸속에 지금도 남아 있는 전통적인 자연관이 성리학자들에게도 있었다는

사실은 작은 안도였고, 동시에 또 다른 백지상태가 마련되는 절망이기도 했다.

그러면서 점점 나는 옛집들을 더 정확히 읽어가기보다는 이 집들에서 내가 무엇을 얻을 수 있을까를

궁리하는 나를 발견했다.


놀라운 것은 가장 완벽해야 할 서원건축의 형식이 완성되지 못하고 쇠락한 것이었다.

원인은 성리학의 타락에 있었다. 그 병폐가 건축에도 고스란히 묻어 있었다. 가장 안타까운 것은 재사건축이었다.

가장 왕성한 실험이 벌어졌음에도 우리의 근대는 이 실험을 지속할 수 없었다.

서원과 달리 가문중심의 규약으로 이루어지던 재사건축이 식민지 수탈 경제로 바뀌면서 맥이 끊긴 것이다.

시대는 변했지만 이 완성되지 못한 형식은 공간적으로 충분히 지금도 실험 가능한 훌륭한 우리의 건축 유산이다.

함성호 시인·건축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