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범여(梵如)의 世上사는 이야기
♣ 佛 敎 ♣/經典講解

금강경 - 법신비상분(法身非相分) 제26

by 범여(梵如) 2013. 9. 6.

 

법신비상분(法身非相分) 제26

 

진리 그 자체의 몸인 법신(法身)은 언제나 그 자리에 여여하게 있습니다.
진여 법계에 충만해 있는 법신은 어떠한 경우라도 형상일 수가 없고,

또 형상을 통해서 이해하려고 해서도 안 될 것입니다.
형상을 통해서 법신을 알려고 한다면 당대의 전륜성왕(轉輪聖王)을 보고도 진리 당체인 여래라 할 것입니다.
여래는 스스로 노래합니다.
"외형적인 모습으로써 나라고 하거나 설법으로 나를 구하는 자가 있으면 그는

사도(邪道)를 행하는 사람이다.여래는 꿈에도 보지 못하는 자다.법을 보는 자는 나를 본다."
법신(法身)은 모양이 아닙니다.
그러나 나투지 않은 곳도 없습니다.
고요히 떨고 있는 나뭇잎 하나, 그윽히 출렁거리는 깊은 물결들,

청정하기만 하는 산빛들 그 어디에도 법신이 나타나 걸립니다.
두두물물이 반야의 광명이 같이 빛나기만 합니다.

須菩提야 於意云何오 可以三十二相으로 觀如來不아 須菩提가

수보리 어의운하 가이삼십이상 관여래부 수보리
 
言하사대 如是如是하니이다 以三十二相으로 觀如來니이다
언 여시여시  이삼십이상 관여래
 
"수보리야, 어떻게 생각하느냐. 가히 삼십이상으로써 여래를 볼 수 있겠느냐."
수보리가 말씀드리되, "그렇습니다, 그렇습니다. 삼십이상으로써 여래를 볼 수 있습니다."
 

이 대목에서 여래를‘본다’는 볼 견(見)이 아니고 볼 관(觀)입니다.

여래가 구족하고 있는 삼십이 길상을 우리 눈 앞에 보이는 대로 그대로 보는 것이 아니고,
그 삼십이상을 꿰뚫어 보고 그것을 ‘통해서’여래의 진실상을 이해하는 매개체로 삼는다는 뜻입니다.
앞의 여법수지분 제13에서는 삼십이상을 보고〔見〕 여래라고 하겠느냐 하는 물음을 듣고서는
공의 도리를 가장 잘 이해하는 수보리가 직접 삼십이상을 보고 여래라 할 수 없다고 대답을 하였습니다.
 
그런데 이 26분에서는 삼십이상을 통해서는 여래를 관(觀)해 볼 수 있다고 수보리가 대답합니다.
우리의 경안을 열어볼 것 같으면 수보리가 부처님의 깊은 뜻을 이해하지 못했다기보다는,
지금까지 공부해 오면서 어느 정도의 미혹을 끊어가는 우리 중생들에게 남아 있는
나머지 미혹까지도 남김없이 물리치게 하기 위하여 수보리가 부처님께서 다음 질문을
하도록 고도의 지혜를 발휘하였다고 하겠습니다.

 

佛言하사대 須菩提야 若以三十二相으로 觀如來者인댄 轉輪聖王이 
불언 수보리 약이삼십이상 관여래자 전륜성왕

則時如來로다 須菩提가 白佛言하사대 世尊하 如我解佛所說義컨댄  
즉시여래 수보리 백불언 세존 여아해불소설의

不應以三十二相으로 觀如來니이다
불응이삼십이상 관여래

부처님께서 말씀하시되, "수보리야, 만약 삼십이상으로 여래를 관한다 하면 전륜성왕도 곧 여래이리라."
수보리가 부처님께 사뢰었다.
"세존이시여, 제가 부처님의 설하신 뜻을 이해하기에는 응당 삼십이상으로써 여래를 관할 수 없습니다."

전륜성왕(轉輪聖王)은 인도인들이 믿고 바라던 가장 이상적인 군주입니다.
전세에 복을 많이 짓고 덕을 닦았던 덕분에 생김새가 부처님처럼 삼십이 길상을 갖추었다고 합니다.
게다가 수명도 매우 길고 아주 풍족한 부(富)도 노린다고 합니다.
이렇게 외형 적으로는 부처님과 똑같이 길상을 갖추고 있으나 아직 보리(菩提)는 이루지 못했습니다.
그러니 여래와 전륜성왕은 겉모양은 같으나 반야의 광명에 비추어 보면 전혀 다릅니다.
유루복과 무루복과 같은 차이인 것입니다.
 
수보리가 여래의 삼십이상을 통해서는〔觀〕여래를 볼 수 있다고 하였다가 전륜성왕의 삼십이상의
질문을 듣고서는 얼른 부처님의 참 뜻을 이해하고 삼십이상이라는 형상으로는 여래를 관할 수 없다고 고쳐 답합니다.
 
왜냐하면 여래의 삼십이상이든 전륜성왕의 삼십이상이든 형상으로서는 법신(法身)을 보지 못하기 때문입니다.
수보리가 처음에는 "삼십이상을 통해서 여래를 본다."라고 하였다가 부처님의 전륜성왕에 관한
보충 질문을 듣고서야 삼십이상은 하나의 상이므로 진정한 법신이 아니다 하는 것을 깨닫고
삼십이상을 통해서도 여래를 보지 못한다고 확신을 합니다.
수보리가 진정 부처님의 뜻을 이해하지 못했다기보다는 어느 정도의 공부는 되었지만
아직도 미혹하고 깨달음이 왔다 갔다 하는 우리들의 태도를 대신하였다고 하겠습니다.
 
爾時에 世尊이 而說偈言하사대
이시 세존 이설게언
 
若以色見我어나 以音聲求我하면
약이색견아 이음성구아
 
是人은 行邪道라 不能見如來니라
시인 행사도 불능견여래그때
 
세존께서 게송으로 말씀하셨다.
 "만약 색신으로써 나를 보거나 음성으로써 나를 구하면 이 사람은 사도를 행함이라. 능히 여래를 보지 못하리라."
이것은 『금강경』의 제3 사구게로서 자주 인용되는 사구게입니다.
 
만약에 우리들이 모양다리나 형상에 매달려 여래를 찾아보려하거나, 설법을 가지고서 또한
여래를 구하려고 한다면 그것은 미신이나 잘못된 길을 가는 차원을 넘어 삿된 길을 가고 있다는 것입니다.
그리하여 끝내 진여 법체인 여래를 보지 못한다는 것입니다.
 
이 얼마나 기가 막히도록 멋진 말입니까.
인류사에 있어서 최고로 위대하고 희유한 일을 부처님이 증명해 보여 놓고서는
자기 자신을 철저하게 벗어나서 말씀하시는 것입니다.
당신의 설법을 듣는 우리들을 최대한 인정해 주고 존중해 주시는 것입니다.
이런 가르침을 펴는 성인(聖人)은 정말 그 아무도 없습니다.
 
사실 어리석은 중생들은 법신 부처님이 우주에 변만해 있는 것을 안다 하더라도 등상불(等像佛)이나
부처 불(佛)자라도 모셔놓고 예불하는 것하고 그냥 허공에다 대고 예불하는 것하고는 느낌이 다릅니다.
등상불이 진짜 부처님이 아니다 하는 것을 삼척동자도 다 알지마는 등상불이라는 매개체를 통해서
여래를 실감나게 느끼게 되니 좋은 방편체가 되는 것입니다.
 
이렇게 우리가 어리석은 동안에는 상을 통해서 부처를 느낄 수 있고 떠올릴 수 있지마는 참 부처의 의미는 또 아닙니다.
그래서 우리의 불심이 깊어지면 상에 대한 기본 자세를 터득하였기 때문에 이 법당 저 법당에
천불, 만불을 늘어 놓아도 거기에 걸리지 않습니다.
마찬가지로 아무 것도 없는 허공을 보고도 부처를 떠 올릴 수도 있는 것입니다.
정성을 다하여 나무를 깎고 깎아 부처를 만들어 예배할 수도 있지만,
또 하룻밤 군불을 때기 위하여 얼마든지 목불을 팰 수도 있는 것입니다.
 
정녕 그 어디에도 걸리지 않는 것입니다.
누군가가 얄팍한 소견으로 불교를 우상(偶像) 숭배라고 공격해오면 무애행의 논리로 대응하면 되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