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취하신 님께 (증취객·贈醉客)’ - 이매창(李梅窓 )
醉客執羅衫 (취객집나삼)
羅衫隨手裂 (나삼수수렬)
不惜一羅衫 (불석일나삼)
但恐恩情絶 (단공은정절)
羅衫隨手裂 (나삼수수렬)
不惜一羅衫 (불석일나삼)
但恐恩情絶 (단공은정절)
술 취하신 님 날 사정없이 끌어 당겨
끝내는 비단 저고리 찢어 놓았지요
비단 저고리 아까워 그러는 게 아니라
맺은 정 끊어질까 두려워 그러지요
끝내는 비단 저고리 찢어 놓았지요
비단 저고리 아까워 그러는 게 아니라
맺은 정 끊어질까 두려워 그러지요
16세기, 조선 중기를 살았던 이매창(李梅窓·1573~1610)
이매창은 율곡의 모친 신사임당(1504~51), ‘홍길동전’을 지은 허균의
이매창은 율곡의 모친 신사임당(1504~51), ‘홍길동전’을 지은 허균의
누이 허난설헌(1563~89)과 더불어 조선시대 최고의 여류시인으로
알려진 여성이다. 아버지 이탕종은 부안 권세있는 집안의 아전이었지만
어머니는 두고두고 ‘천한 몸(?)’으로 살 수밖에 없었던 첩의 신분이었다.
때문에 매창 역시 첩의 딸이란 ‘서녀’의 신분을 평생동안
떼어낼 수가 없었으리라.
그럼에도 불구하고 매창의 시는 그런 칙칙하고 눈물겨운 구석이
보이지 않는다. 오히려 여유를 가지고 있음은 물론 품격을 잃지
않은 채 오늘에도 널리 회자되고 있지 않는가. 우선 앞에 소개한 시
‘취하신 님께’만 해도 그렇다. 당시의 혹독한 신분사회 속에서 기구한
운명으로 태어나 최하위의 계급인 기녀(妓女)로 살아가지만 그녀의 시는
오늘날 현대시인들도 가히 흉내낼 수 없는 높은 ‘품격과 여유’를
보여주고 있는 것이 그것이다.
특히 그 여유가 그렇다. 규방을 찾아든 님(손님)의 몸이 달아오를 대로
달아올라 짖궂게 굴다가 그만 그녀의 단 한 벌 밖에 없는 명주 저고리를
찢는 실수(?)를 범하였지만, 그러나 그 다음 대목을 보라. 매창은 넌지시
“명주 저고리 하나쯤이야 아까울 게 없습니다만/
님이 주신 온정까지도 찢어질까 그게 두려워요.”
하는 시구는 누가 읽어도 탄복할 만큼의 절창이다.
그까짓 명주 저고리 하나쯤 찢어지는 게 무슨 대수이랴.
님이 주신 온정이 안 찢어지는 게 다행이 아니겠는가 하는
여유는 그야말로 ‘속마음과 사랑의 아름다움’
그 극치를 보여준다. 사실이지 이렇도록 격조 높은 시를
노래한 시인을 나는 그렇게 많이 만난 본 적이 없다.
가만히 들여다보면 나 또한 그렇듯이 오늘날 한국의 많은
사람들은 이매창이 노래한 그 마음의 여유를 너무 잊고
살아가고 있다. 배화교도(拜火敎徒)들이 불을 보면 어찌할
바를 모르듯이 돈과 물질만을 정신 없이 추구하는
현대인들에게, 그래서 16세기 조선의 여류시인 이매창의
‘취하신 님께’ 같은 시는 상당한 의미를 가진 메시지로
읽혀지는 것이 아닐까. 그런 생각할 때 그녀의 시는
21세기인 지금도 유효하고 지금도 낡은 시로는 느껴지지 않는다.
출처 : 사랑방신문 생활뉴스 칼럼 김준태

'詩' 카테고리의 다른 글
흐린 날 /김광규 (0) | 2010.04.15 |
---|---|
속상한 날에는 (0) | 2010.04.15 |
봄에 읊어보는 漢詩 한편 (0) | 2010.04.06 |
늘 이만큼의 거리를 두고 (0) | 2010.04.03 |
나의 사랑하는 자에게 (0) | 2010.03.2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