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佛 敎 ♣/불교 공부180 인도 문화의 특성 2절 인도 문화의 특성 일반적으로 한 사물의 특성이란 다른 사물과의 비교에 바탕한 그 사물을 다른 사물로부터 구분해 주는 그 사물만이 갖는 성질을 가리킨다. 인도 문화의 경우에도 그 특성이란 우선 다른 나라나 다른 세계의 문화와 비교하여 인도만이 갖는 독특한 성격을 가리킨다. 1 다양성 인도는 우선 지리적 환경이나 언어, 인종 그리고 종교와 사상의 다양성으로 특징지워진다. 인도 문화의 다양성은 먼저 지리적, 자연적 환경의 다양성에서 요인을 찾을 수 있다. 인도 문화권은 인도뿐 아니라 파키스탄, 네팔, 방글라데시, 스리랑카를 포함한다. 북으로는2천5백 킬로가 넘는 히말라야 산맥으로 아시아 대륙의 다른 지역과 분리되어 있으며, 남북으로3천 킬로에 뻗친 역삼각형의 인도 반도는 하나의 나라로만 볼 수 없는, 아.. 2012. 5. 2. 불교의 역사적 배경 불교의 역사적 배경 인도 문화와 불교의 특성 한국불교는 인도에서 발생하고 발전하여 중국의 한문으로 번역되고 중국적 사고방식에 의해 변형된 중국불교를 수입한 것이다. 불교는 본래 유연하고 동화력이 강한 종교이므로 지역과 시대에 따라 다양하고 특성 있게 발전한다는 것은 불.. 2012. 5. 1. 대승불교의 종교적 해명 1. 대승불교의 종교성 대승(大乘, Maha-ya-na)이라는 말은 지혜와 자비의 가르침이라고 일컫는 불교의 영역에서뿐만 아니라 일상생활에서도 ‘자신의 편협한 시각이나 입장을 극복한 개방적인 자세’를 뜻하는 말로 ‘대승적 자세’ ‘대승적 견지’ ‘대승적 차원’ 등의 용법으로 자주 .. 2012. 4. 30. ‘유일신 없는 종교’로서 불교 2절 ‘유일신 없는 종교’로서 불교 과학문명이 눈부시게 발달한 현대라고 하지만 우리는 여전히 태어나서 늙고 병들며 죽어가는 생노병사라는 인간존재의 기본적인 조건에서 벗어날 수 없다. 과학문명은 인공위성과 컴퓨터를 가져다 주었지만 인류는 여전히 빈곤과 기아, 전쟁, 질병, 공해, 핵무기의 위험이라는 현대의 불안과 위기 속에서 살아간다. 그래서 우리는 통념상 인생의 고통을 어떤 절대적인 운명, 신과 같은 절대자로부터 주어진 것으로 생각하는 경향이 있는데 이것은 결코 불교의 기본입장이 아니다. 불교는 인생의 고통과 그 원인에 대해서 보다 명료하고 선명한 통찰을 통해 성숙하고 바른 삶을 살아가기 위한 지혜와 자비를 설하는 종교다. 그렇다면 불교는 인간의 숙명적인 고통에 대해서 어떤 종교적 성찰과 해답을 보여주고.. 2012. 4. 28. 불교의 종교적 이해와 실천 불교교리 / 2장 / 1절 1절 불교의 종교적 이해와 실천 1. 종교와 불교 2. 불교에서 종교의 의미 1절 불교의 종교적 이해와 실천 1. 종교와 불교 우리 주변에서는 가끔 ‘불교는 종교가 아니고 철학’이라고 지적하는 사람들을 볼 수 있다. 이와 같은 언급은 인간에 관한 깊은 성찰을 보여주는 .. 2012. 4. 27. 12연기의 십이 요소 12연기의 열두 요소 연기는 중생들이 윤회를 반복하는 조건들을 밝히고 있으며 또한 윤회에서 벗어나는 길을 제시한다. 12연기의 열두 요소를 정리하면 과거의 무명과 행을 원인으로 지금 여기에서 식, 물질과 정신, 육입, 접촉, 느낌이 일어난다. 이때 알아차림이 없으면 즉시 갈애와 집착으로 업을 생성하여 새로운 원인을 만들고 현재가 지나간다. 이 새로운 원인은 미래의 생과 노사를 만든다. 여기서 과거의 무명과 행은 집제이고, 현재의 다섯요소는 고제이고, 현재의 갈애 집착 업의 성생은 집제이고, 미래의 생과 노사는 고제다. 다시 말하면 12연기는 사성제로써 윤회의 흐름과 멈춤을 설명한다. 윤회의 흐름은 고제와 집제의 순환이지만, 윤회의 멈춤은 도제와 멸제로 설명한다. 붓다는 도제인 8정도를 닦음으로써 윤회에서.. 2012. 4. 20. 팔만대장경 지금으로부터 750년 전, 사람들은 목판에 깨달음의 진리를 새겨 넣었다. 경판 수량 8만여 장, 글자 수 5천만 자.. 바로 고려 때 제작된 팔만대장경이다. 그리고 이 경판 들은 오랜 세월도 비켜간 양, 지금도 옛 모습 그대로 우리 앞에 남아 있다. 팔만대장경은 부처님의 가르침 팔만 사천 법.. 2012. 4. 19. 팔만대장경 해인사에 보관되어 있는 팔만대장경판은 고려 고종 23년인 1236년부터 38년인 1251년까지 16년간에 걸쳐 제작된 8만 여장의 목판입니다. 팔만대장경 보존의 지혜 7백60여년의 역사를 가지고 있는 해인사의 팔만대장경은 보관상태가 현대과학으로는 도무지 이해가 가지 않을 정도로 좋다. 해.. 2012. 4. 19. 佛法의 變遷史 불법의 변천사 - 허해구 선불교(선종)이 정법인가? 지금 우리들은 한국이라는 지정학적 위치 속에서 수천년간 대승불교적 전통 속에서 살아왔기 때문에 우리들이 배우고 생활화해 왔던 대승불교를 당연히 부처님의 정법으로 여기고 있습니다. 그러나 대부분의 불교도들이 느끼는 바이지.. 2012. 4. 6. 이전 1 ··· 12 13 14 15 16 17 18 ··· 2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