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청남도 아산시 배방읍에 있는 조선전기 맹사성 관련 주택. 사적으로 정면 4칸, 측면 3칸의
ㄷ자형 평면집. 지정면적 7,851㎡. 청백리(淸白吏) 맹사성(孟思誠,:1360 ~ 1438) 집안의 고택(故宅)이다.
중앙 2칸에 커다란 대청(大廳)을 두고 좌우에 온돌방을 각각 두었다.
기단은 막돌허튼층쌓기의 낮은 기단으로 네모뿔대의 초석(礎石)을 놓아 네모기둥[方柱]을 세웠다.
기둥 위에는 공포(栱包)를 짜 얹었는데, 주두(柱頭)는 굽면이 비스듬하고, 첨차(檐遮)의 끝은 비스듬히
끊기고 밑면은 연화두형(蓮花頭形)에 가깝게 초각(草刻)하였다.
살미[山彌]는 앙서[仰舌]로 되었는데 이들의 모양은 조선시대 초기의 공포를 닮았다.
이런 성격들은 특히 대청의 종도리를 떠받치고 있는 대공이나 솟을합장에서 잘 나타나고 있다.
즉, 종도리를 직선에 가까운 솟을합장으로 결구(結構)하고, 종도리 밑의 장여를 굽면이 사면인 소로로써
물고, 이 소로를 사다리꼴의 대공으로 떠받치고 있다.
이 모습은 옥산(玉山) 독락당(獨樂堂)의 대공과 같은 모양이고, 또 은해사거조암영산전(銀海寺居祖庵靈山殿)의
솟을합장 및 대공과 같은 모습인 것으로 보아 고려 말기부터 조선 초기에 이르는 하나의 목조양식이라 생각한다.
처마는 홑처마이고, 지붕은 중앙에 용마루를 가로지르고, 이를 다시 양쪽 방 위의 지붕 용마루가 받아 전후면에
박공을 낸 맞배지붕을 이루고 있다.
대청은 우물마루와 연등천장을 이루고, 방은 온돌바닥과 반자틀 간격을 넓게 만든 우물천장으로 되어 있다.
대청 정면에는 들어열개의 井자살 창호를 달고, 뒷면에는 밖여닫이 판장문을 달았으며, 방에는 밖여닫이
井자살 창호를 달았다.
앞마당 한 쪽에 큰 은행나무가 있어 행단이라고 한 듯하나, 한편으로는 강학(講學)하던 자리였기 때문에
그렇게 부르지 않았나 생각된다.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충남 아산에 있는 맹씨행단(孟氏杏壇)의 주산은 설화산이다.
봉우리가 우뚝 솟은 이 잘생긴 산은 망경산과 태화산을 거쳐 아산에 이르고, 거기에서 다시 흑성산 태조산
성거산을 거쳐 천안에 이른다. 그리고 안산의 서운산에서 한남금북정맥을 타고 보은의 속리산에서 백두대간과 이어진다.
맹씨행단의 산경표(山經表)다. 백두대간의 정기가 이 집의 뒤란에서 마치 아기를 밴 것처럼 볼록하니 솟아 있다.
맹씨행단은 고불 맹사성(古佛 孟思誠·1360∼1438)이 살았던 집이다. 고불은 최영 장군의 손녀사위고, 이 집은
1330년 최영 장군의 아버지인 동원부원군 최원직이 지었다. 현존하는 살림집으로는 가장 오래된 집으로 사료 가치가 높다.
왜냐하면 맹씨행단은 시대가 변하면서 여러 번 고쳐 지어졌고, 그래서 이후의 조선집과 비교해 다른 모습을 보여준다.
첫째는 조선집의 온돌의 전파와 변화다. 처음 지었을 때 맹씨행단에는 온돌이 설치되지 않았고, 1482년 좌향을 바꾸면서
온돌이 설치되었다. 아궁이와 고래(구들장 밑으로 불길과 연기가 통해 나가는 길) 사이에 있는 턱인 부넘기가 없다는 점이다.
이 이유에 대해 당시에는 연료로 나무가 아닌 동물의 배설물을 사용했기 때문이라는 주장이 있다.
넷째는 조선시대에는 창 아래에만 놓이는 머름(바람을 막기 위해 문지방 아래에 대는 널조각)이 아래쪽에만 아니라 위쪽에도 있다는 것이다. 대청마루 전면에 머름이 놓이는 경우도 드문데, 머름동자도 아예 문설주를 내려서 사용한 점도 특이하다.
혹시 방을 마루로 개조한 것이 아닌가 하는 생각도 든다. 집의 전체적인 구조는 ‘ㅐ’자로 되어 있어 가운데 ‘ㅡ’획이
대청마루인데 문설주가 머름동자로 시원스럽게 내려와 있어 흡사 일본집 같은 직선적인 힘이 느껴진다. 무사의 집이 틀림없다.
고불이 직접 심었다는 커다란 은행나무 두 그루가 칼과 붓의 한 끗 차이를 말해주는 듯하다.
시인·건축가
'한국의 옛집'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함성호의 옛집 읽기]<52>‘굴뚝이 없는 집’ 동춘당 (0) | 2012.04.12 |
---|---|
[함성호의 옛집 읽기]<51>‘기호예학의 단청’ 쌍청당 (0) | 2012.04.11 |
[함성호의 옛집 읽기]<49>‘세 번째 꽃송이’ 산수정 (0) | 2012.04.09 |
[함성호의 옛집 읽기]<48>‘두 번째 꽃송이’ 산천정 (0) | 2012.04.06 |
[함성호의 옛집 읽기]<47>‘한 송이 매화’ 매산고택 (0) | 2012.04.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