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범여(梵如)의 世上사는 이야기
♣ 佛 敎 ♣/經典講解

천수경 강해 36 - 제5장 위신 나투시는 성스러운 분이시여 (7)

by 범여(梵如) 2022. 2. 3.

 

 

 

 

제5장 위신 나투시는 성스러운 분이시여(7)

 

 

<로계 새바라>에서 <호로호로>까지를 다시 연결시켜 해석해보면, '세간의 주인이신 자재존이시여,

탐심의 독을 소멸케하옵소서, 어서 빨리 가져 가십시오, 취(取)해 가십시오'가 됩니다.

<마라호로>의 <마라>는 앞에서도 나왔듯이 '더러움'이란 뜻이며, <호로>는 '거두어가다'는 뜻이니

<마라호로>는 '진구(때)를 취거하옵소서'가 됩니다.

 

계속해서 <하례 바나마나바>에서 <하례>는 '신의 이름' 혹은 '운재(運載)' 즉 '실어나르다'의 뜻이 됩니다.

또 <바나마나바>에서 <바나마>는 <파드마> <반메> <빠드마>라고도 하는데 '연꽃'이란 뜻이 있으며,

<나바>는 '마음, 중심, 배꼽, 중앙'의 뜻이 있습니다.

그래서 <하례 바나마나바>는 '연꽃의 마음을 간직한 이여'가 됩니다.

연꽃은 불교의 이상적인 꽃으로 성자를 가리키는데 여기서는 바로 관세음보살을 나타냅니다.

<사라사라>는 물이 흐르는 모습을 나타낸 의성어롯 여기서는 '감로법수(甘露法水)를 유출하옵소서,

유출하옵소서'라는 의미로 풀이할 수 있습니다.

 

또 <시리시리>는 물이 흐르는 모습을 형용한 의성어인데, 여기서는 '감로의 지혜 광명을 유출하옵소서,

유출하옵소서'의 뜻이 됩니다.

<소로소로>도 마찬가지로 물이 흐르는 모습을 나타낸 의성어인데 여기서는 감로의 덕(德)을 유출하옵소서,

유출하옵소서'라고 해석할 수 있습니다.

<못쟈못쟈>의 <못쟈>는 <붓다> <못다> <불타> 등과 같은 말인데 '붓다, 깨달음, 도(道)등의

의미를 갖고 있으며 여기서는 '깨치옵소서, 깨치옵소서'라는 뜻이 담겨 잇습니다.

 

여기까지 <신묘장구대다라니>의 내용을 살펴본 것에서 우리가 알 수 있는 것은 결국 관세음보살의

위신력을 여러가지 의미로 강조함으로써 우리의 서원을 성취케 하려는 데 그 뜻이 있는 것입니다.

계속해서 <신묘장구대다라니>의 내용을 살펴 보기로 하겠습니다.

 

매다리야 니라간타 가마사 날사남 바라하라나야 마낙 사바하

싯다야 사바하 마하싯다야 사바하 싯다유예 새바라야

사바하 니라간타야 사바하 바라하 목카싱하 목카야

사바하 바나마 하따야 사바하 자가라 욕다야 사바하

상카섭나녜 모다나야 사바하 마하라 구타다라야 사바하

바마사간타 이사시체다 가릿나 이나야 사바하

먀가라잘마 이바사나야 사바하

 

위의 내용은 <신묘장구대다라니>의 마지막 부분인데, 이것은 관세음보살의 여러가지 역활과

위신력에 따라 붙여진 열두 가지의 상징적인 이름에 해당됩니다.

관세음보살은 항상 자비스러운 모습만을 가진 것이 아니라 때로는 위엄스러운 모습으로 때로는

화엄신장과 같은 두려움을 가진 존재로서 불법을 지켜주는 분이기도 합니다.

그럼 이제부터 때와 장소에 따라 관세음보살이 어떤 모습을 나타내고 있는 지 구체적인내용을

검토해 보기로 하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