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범여(梵如)의 世上사는 이야기

역사속으로146

전라북도 익산시 입점리 고분전시관 전라북도 익산시 입점리 고분전시관 326평 규모에 전시실, 수장고, 자료실 등을 갖추어 사적 제347호인 익산 입점리고분과 전북기념물 제98호인 웅포리고분군에서 출토된 100여점의 유물을 전시하고 있다. 입점리 고분전시관 입구 전시관을 들어가면 처음에 백제고분연표가 눈에 들어온다... 2012. 12. 27.
의정부 지명과 유래 참고문헌 : 의정부 향토자료집(의정부교육청刊) , 의정부시 홈페이지 「지명유래」 참고문헌 : 의정부 향토자료집(의정부교육청刊) , 의정부시 홈페이지 「지명유래」 의정부 지명유래 조선조 1400년 2차 왕자의난 이후 방원은 제3대 태종으로 전위하나 태조(이성계)는 태종에 대한 증원의.. 2012. 12. 5.
朝鮮 後期의 實學思想 朝鮮 後期의 實學思想 1. 실학사상의 발생배경 1) 사회적 원인 조선조 후기사회는 임진왜란과 병자호란 등 거듭된 변방 민족의 침입과 이로 인한 전국토의 황폐화는 정치 사회 경제등 전반에 걸쳐 급격한 변동이 일어나고 있던 시대이었다. 이러한 사회 체제의 변동은 대체로 다음과 같이.. 2012. 12. 4.
4색붕당(노론, 소론, 남인, 북인) 분당 계보도-(2/2) | ┌ 동인(東人)(1575-1591(선조8-24), 17년) - 14대 선조 때부터, 중앙정계에 등장한 영남사림들 | | | (1) 학맥 | | | - (조광조) -> (이언적) -> 이황 및 조식/서경덕 도통(道統) 추종의 영남사림파(영남학파) | | | (2) 지역기반 | | | - 경상도 : 기호지방에 비해, 외부와의 교류가 적은 폐쇄적/안정적.. 2012. 12. 1.
4색붕당(노론, 소론, 남인, 북인) 분당 계보도-(1/2) * 4색붕당(노론, 소론, 남인, 북인) 분당 계보도 * 1-1. 지역별 4색붕당(노소남북)의 분당 흐름 ┌ 영남사림파(경상도) : 동인 ㅡ>┌ 조식계열(남명학파, 경상右도) : 북인 ㅡ>┌ 대북 | | └ 소북 | └ 이황계열(퇴계학파, 경상左도) : 남인 | | └ 기호사림파(경기/충청도) : 서인 ㅡ>┌ 성혼.. 2012. 11. 30.
조선후기 대표 무기 -조총(펌) “군대의 무기에 있어 조총(鳥銃)보다 더 좋은 것은 없다. 어린아이도 항우(項羽)를 대적할 수 있게 하는 것으로 참으로 천하에 편리한 무기다.” 1675년(숙종1년) 조선의 영의정이었던 허적(1610~1680)이 남긴 말이다. 어린아이도 조총을 가지고 있으면, 천하장사 항우라도 이길 수 있다는 이 .. 2012. 11. 29.
조선왕조 왕비와 후궁 조선왕조 왕비와 후궁 왕 왕비 후궁 소생 태조 신의왕후 안변 한씨(神懿王后 安邊 韓氏) 진안대군 이방우(鎭安大君 李芳雨) 영안대군 이방과(永安大君 李芳果) 익안대군 이방의(益安大君 李芳毅) 회안대군 이방간(懷安大君 李芳幹) 정안대군 이방원(靖安大君 李芳遠) 덕안대군 이방연(德.. 2012. 11. 28.
조선 왕조 관직 품계 외명부 품계 區分 品階 東班 西班 外命婦 (文武官妻) 雜 織 土官職 東班 西班 東班 西班 堂 上 官 正1品 大匡輔國崇祿大夫 上輔國崇祿大夫 輔國崇祿大夫 府夫人 王妃母 貞敬夫人 從1品 崇祿大夫 崇政大夫 正2品 正憲大夫 資憲大夫 貞夫人 從2品 嘉靖大夫 嘉善大夫 正3品 (堂上) 通政大夫 折衝將軍 淑夫.. 2012. 11. 24.
조선 후기 노론으로 시작해 한번도 기득권을 놓치 않고 역사를 망친 세력들 조선 후기 노론으로 시작해 한번도 기득권을 놓치 않고 역사를 망친 세력들 이덕일 / 한겨레21 347호(2001. 2. 1) 이 글은 한겨레21(2001. 2. 1일 발행)에 표지 이야기로, 이덕일 선생님께서 쓰신 것입니다. 이덕일 선생님은 한국사를 전공한 학자이면서 민간 역사연구소에서 역사대중화 작업을 .. 2012. 11. 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