山經表74 대간, 정간, 정맥지도 2012. 1. 5. 산 이름이 무엇인가? 1 (박성태 원저) 우리의 국수적 해석이나 실수가 더 많다 일제가 바꾼 백두산 최고봉 ‘대정봉’을 제외하면 대부분 우리가 잘못 인식 국토지리정보원 홈페이지 지형지명서비스에서 찾아보면 남한의 산 이름은 9,000여 개가 있다. 이중에서 둘 이상의 행정구역에 속해 중복 표기된 것과 제주도의 오름을 제외하면 약 5,200여 개에 이른다. 모두 국토지리정보원이 발행하는 국가기본도에 표기하기 위해 법이 정하는 바에 따라 지명위원회의 심의를 거쳐 건설교통부장관이 고시한 것이다. 지명은 1961년 4월22일에 일괄고시를 한 이후 수시로 변경이나 신설 고시하고 있으며 고시되지 않은 산이름도 많다. 산이름은 산세가 수려해 일찍부터 그에 걸맞는 이름을 얻어 많은 사람들이 찾아 기록을 남긴 것도 있고, 이름은 얻었지만 널리 알려지지 않아 사장.. 2011. 12. 30. 산 이름은 무엇인가?(2) ‘천황산. 천황봉’ 표기의 국토지리정보원과 일제 지형도 비교 표기지명 높이 소재지 고시일자 일제지형도 비고 한글 한자 도 시군 천황산 天皇山 1,189.0 경남 밀양시 1961.4.22 天皇山 (속리산)천황봉 天皇峰 1,058.4 충남 보은군 1961.4.22 天皇峰 천황산 天皇山 909.6 전남 남원시 1961.4.22 天皇峰 (계룡산)천황봉 없음 845.0 충남 논산시 1998.8.17 없음 (월출산)천황봉 天皇峰 812.7 전남 강진군 1961.4.22 天皇峰 천황산 없음 658.0 경남 의령군 2002.1.5 없음 천황봉 天皇峰 652.2 전남 구례군 1961.4.22 天皇峰 천황산 天皇山 471.0 경남 통영시 1961.4.22 天皇山 섬 천황산 天皇山 395.2 경남 남해군 1961.4.22 .. 2011. 12. 30. 산경표는 생활권을 구분하는 산줄기다 산경표는 생활권을 구분하는 산줄기다" 강과 바다를 고려하지 않으면 예외가 많은 산줄기 체계 사람들은 바다나 강에 붙어살았고, 강을 따라 아래로 내려가면서 강의 세력이 커 가는 만큼 붙어사는 사람 또한 많았다. 산을 넘어 갈만한 교통수단이 없었던 옛날에는 강을 따라 내려가다가 산의 세력이 약해지거나 바다에 이르러서야만 이웃 물줄기를 따라 내려온 사람들과 만나게 됐다. 만이 형성된 뱃길은 만의 꼭지에서 만의 중심으로 모이고, 만의 꼭지는 먼 바다를 어렵게 돌아가야 하기 때문에 이 또한 이웃 바다와 경계가 된다. 그래서 육지에서는 강은 생활의 중심이요, 그 강을 가르는 산줄기는 생활의 경계가 됐다. 해안가에서는 먼 바다를 돌아가는 곳이 생활의 경계가 됐다. 산경표는 이렇게 형성된 생활권의 경계를 따르는 주된 .. 2011. 12. 26. 우리나라 산줄기 이야기 족보형식으로 편찬된 산경표에 앞서 잠깐 언급한 우리나라의 산줄기는 주맥의 개념으로 1대간 1정간 13정맥으로 분류하고 그 산줄기에 격을 부여하였습니다. 그리고 1대간 1정간 13정맥에서 갈래쳐 나온 산줄기들을 비록 격이나 이름 을 부여하지는 않았어도 그 흐름을 기록하였습니다. ○우선 백두에다 대간이라는 격을 주어 이 산줄기를 우리나라 모든 산줄기의 기둥으로 삼은 것입니다 . 실제로 이 백두대간은 나라안의 높고 험한 산들이 대부분 포함되어 있으며 나라를 동서로 양분하고 있습니다. 그렇다면 동쪽 물길과 서쪽 물길은 절대로 서로 섞이지 않는다는 것을 말해주고 있습니다. 그 흐름을 살펴보면 백두산에서 남쪽으로 내려오다 두류산(장산)에서 동북으로 장백정간을 분기하고 대간은 서쪽으로 그 머리를 틉니다바로 이 두류산.. 2011. 12. 25. 재미있게 풀이한 우리 山줄기 이야기 2 1부에서 계속... 산경표의 순서대로 살펴보겠습니다. ○낙남정맥은 낙동강의 남쪽 울타리라는 뜻입니다. 즉 지리산 영신봉에서 남쪽으로 갈래 쳐 나와 옥산 대곡산 여항산 무학산 천주산 정병산 신어산 낙동강 하구 매리라는 동네에서 끝이 나는 도상거리 약 226km의 산줄기를 말합니다. 이 산줄기는 시종일관 경상남도의 남강 남쪽 바닷가를 달리는 산줄기입니다. ‘진주라 천리 길’ 진주 남강 강낭콩보다 더 푸르고 양귀비보다 더 붉은 논개의 혼이 어려 있는 그 남강은 어디서 흘러 어디로 갈까 하는 문제를 내면 우리 산줄기를 이해 못하면 아! 진주 바닷가에서 가까운 도시 그러므로 진주 앞바다로 흘러들 거라고 100% 생각할 것입니다. 그러나 우리 산줄기 낙남정맥을 알고 있으면 답은 하나입니다. 지리산 천왕봉 북쪽에서 .. 2011. 12. 14. 재미있게 풀이한 우리 山줄기 이야기 1 지난번에 올린 우리 산줄기 이야기가 내용이 좀 어려운 감이 있다며 그보다 쉽게 풀어서 쓴 녹색친구들 등산학교 강의 자료인 "우리산줄기이야기"도 같이 올렸으면 하는 신경수님의 메일을 받고 아래와 같이 백두대간 한국지도[산경도]와 그 강의록을 올립니다. 2006. 05. 11(목) 녹색친구들 제7기 환경등산학교 교육교재 강사 : 신경수 우리 산줄기 이야기(강의 원고) 1. 우리산줄기란? : 산과강의 유기체적인 자연구조 산경표 : 1769년 여암 신경준이 저술한 족보형식의 지리서 대동여지도 : 1866년 고산자 김정호가 편집한 지도 우리가 배워온 산줄기 : 1903년 일본 小藤文次朗[고또분지로]가 발표한 지질구조에의한 산줄기로 물줄기에 의해 여러 번 잘린 인위적인 산줄기 우리 고유의 산줄기 : 실제지형과 일치.. 2011. 12. 14. 낙남정맥(洛南正脈)이 아니고 낙남정간(洛南正幹)이 맞다 낙남정맥(洛南正脈)이 아니고 낙남정간(洛南正幹)이 맞다 - '1대간 2정간 12정맥'으로 해야 옳아 강 승 기 산경표(山經表)에 의하면 우리 나라 산줄기를 말할 때 대부분의 사람들은 1대간(백두대간), 1정간(장백정간), 13정맥(낙남정맥 등)이라고 한다. 또한 백두대간이 끝나는 지리산에서부터 낙동강 하구를 향해 뻗어있는 산줄기의 명칭을 낙남정맥(洛南正脈)이라 믿고 있다. 이는 일제(日帝) 때인 1913년 조선광문회(朝鮮光文會)에서 고전(古典) 간행사업의 일환으로 간행한 산경표를 근거로 하고 있기 때문이다. 조선광문회에서 간행한 산경표는 1980년 이우형씨에 의해 처음으로 고서점에서 발견되었다. 그 이후 이 산경표를 그대로 다시 인쇄한 산경표가 많이 보급된 바 있다. 그래서 오늘날 누구나 쉽게 접할 수 .. 2011. 8. 13. [스크랩] 우리나라의 산맥체계에 대하여... 우리나라의 산맥체계에 대하여... 우리나라의 산맥체계는 1900년대 초 일본인 지질학자인 고또분지로(小藤文次郞, 1856~1935)에 의하여 명명되었으며, 이는 산을 땅 속의 지질구조에 의해 분류한 것으로, 실제 지형과는 많이 다르기 때문에 이것으로는 우리나라의 산줄기의 모습을 제대로 파악할 수 없었다. 그러나 1980년 고지도 연구가인 이우형에 의하여 조선광문회본《산경표》가 발견된 이후 백두대간을 비롯한 우리나라의 산줄기 체계가 다시 주목을 받게 되었다. 조선광문회는 육당 최남선이 주축이 되어 우리 고전의 보존과 보급을 통해 민족문화를 선양할 목적으로 1910년 12월에 만들어진 단체이다. 이 조선광문회가 최성우 소장본을 바탕으로 1913년 2월에 활자본으로 간행한 것이 조선광문회본 《산경표》이다. 지.. 2011. 2. 9. 이전 1 ··· 5 6 7 8 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