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범여(梵如)의 世上사는 이야기

♣ 佛 敎 ♣/經典講解152

금강경 - 선현기청분(善現起請分) 제2 (2) 선현기청분(善現起請分) 제2 (2) 世尊하 善男子善女人이 發阿縟多羅三藐三菩提心하니는 세존 선남자선여인 발아뇩다라삼먁삼보리심 應云何住며 云何降伏基心하리잇고 응운하주 운하항복기심 "세존이시여, 선남자 선여인이 아뇩다라삼먁삼보리심을 내고는 마땅히 어떻게 안주하며, 어떻게 안주하여야 하며, 어떻게 그 마음을 항복 받아야 합니까" '아뇩다라삼먁삼보리심(阿뇩多羅三먁三菩提心-anuttara-Samyak-Sambodhi心)은 범어로서 우리말로 나타내면 '무상정등정각(無上正等正覺)'즉 '더없이 높고 바른 깨달음'이 되겠는데 흔히 간단하게 줄여서 '보리심(菩提心)'이라고 합니다. 즉,깨달음의 마음이며, 도(道)의 마음이며 진리의 마음입니다.또 불심(佛心)도 됩니다. "불심을 낸 사람으로서,불교를 공부하고저 하는 사람들은 .. 2013. 2. 16.
금강경 - 선현기청분(善現起請分) 제2 (1) 선현기청분(善現起請分) 제2 (1) 제2분 선현이 법을 청하다 선현(善現)은 곧 수보리(須菩提)입니다. 공(空)과 무상(無相)의 도리를 가장 잘 깨달아 '해공제일(解空第一)'로 불리우는 수보리가 무상(無相) 무주(無住)의 이치를 가르치는 『금강경』의 법을 청하는 것은 당연한 일입니다. 이처럼 경전의 등장 인물은 우연히 된 것이 아니고 철저히 배려되어 있습니다. 그래서 등장 인물만 보아도 경의 주된 사상을 짐작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규칙은 『금강경』에서 분만 아니라 대부분의 경전이 그렇게 되어 있습니다. 時에 長老須菩提가 在大衆中하시다가 卽從座起하사 偏袒右肩 시 장로수보리 재대중중 즉종좌기 편단우견하시며 右膝着地하시고 合掌恭敬하사와 而白佛言하사대 우슬착지 합장공경 이백불언 그때 장로인 수보리가 대중 가운.. 2013. 2. 15.
금강경 - 법회인유분(法會因由分) 제1 법회인유분(法會因由分) 제1 제1분 법회가 열리게 된 동기 양(梁)나라 무제(武帝)의 아들 소명태자(昭明太子, ?~531)라는 분이 일찍이 『금강경』을 연구하여 32분의 단락으로 주제로 삼았습니다. 이 32분은 오늘날까지 『금강경』을 이해하는 데는 가장 좋은 분류법으로 삼아오고 있습니다. 제1분은 법회가 열리게 된 동기입니다. 『금강경』이 어떤 동기에 의해서 설해지게 되었는가를 밝히는 부분입니다. 대개 경전(經典)은 제자들의 질문에 의하여 깨달으신 분이 말씀하시게 됩니다 그러나 가끔은 제자의 물음이나 요청이 없이 부처님 스스로 가르침을 펴기도 하셨습니다. 이 『금강경』은 특수한 일을 동기로 삼은 것이 아니라 부처님의 일상적인 생활 모습을 동기로 삼았습니다. 매일 하는 일이며, 매일 보는 일입니다. 부처님.. 2013. 2. 14.
금강경 - 금강경의 해제 금강경의 해제 『금강경』의 본래 이름은 『금강반야바라밀경』입니다. 우리가 『금강경』이라고 부르는 것은 이를 줄여서 일컫는 것입니다. 범어(梵語)로는 Vajra-Prajna-Paramita-Sutra라고 합니다. 이제 그 뜻을 하나씩 풀어보겠습니다. '금강(金剛)'이란 다이아몬드로서 그 성질이 견고하여 날카롭고 빛나는 것입니다. 깨달음에 의한 지혜 즉 반야를 비유한 것으로서 견고하고 날카로운 지혜가 탐욕과 분노와 어리석음을 잘라서 제거한다는 의미입니다. 삶을 살아가는 데서 만나는 온갖 고통과 어둠을 쓸어버림으로써 성공적인 삶이 열려가는 것입니다. '반야(般若)'는 깨달음의 지혜를 뜻합니다. 지혜는 흔히 빛으로 표현됩니다. 일상생활을 하는 데는 빛이 있으므로 사물을 분별하여 평탄한 길과 길이 아닌 곳을 분별.. 2013. 2. 13.
금강경 - 금강경의 위치 금강경의 위치 불교경전 전체를 일컬어 흔히 팔만대장경(高麗大藏經)이라고 합니다. 이 팔만대장경은 양이 매우 방대하기 때문에 편집시기와 내용에 따라서 알기 쉽게 분류를 합니다. 그러한 분류의 기준은 대략 두 가지가 있습니다. 하나는 전통적으로 석가모니(釋迦牟尼)께서 일생 동안 설법하신 49년간의 시간에다 초점을 맞추고 분류하는 길입니다. 다른 하나는 불교교리가 오랜 기간을 두고 발달해 왔다는 관점에서 교리발달사적인 시각으로 분류하는 길입니다. 오랜 세월 동안 『법화경(法華經)』에 근거하여 부처님의 80생에 49년간의 교화(敎化)기간에 배정해서 팔만대장경을 분류 해오던 분류법을 간단히 살펴보겠습니다. 첫째, 깨달음의 세계를 남김없이 다 표현했다고 하는 화엄부(華嚴部)의 경전을 설하신 시기입니다. 그 기간은 .. 2013. 2. 10.
금강경 - 금강경의 목적 금강경의 목적 불교를 공부한다는 것은 우리의 인생과 삼라만상(森羅萬象)의 진실을 밝혀나가는 일입니다. 그렇다면 왜 불교는 우리의 인생과 삼라만상의 진실을 밝히려고 하는 것이겠습니까? 그것은 인생의 진실을 밝힘으로 해서 인생이 지니고 있는 모든 가치와 보람을 누리기 위함입니다. 인생의 실상(實相)을 모른다면, 그 가치와 보람을 누릴 수가 없기 때문입니다. 우리가 가지고 있는 작은 소지품 하나라도 그 쓰임새를 올바르게 알지 못하는 경우에는 그 가치를 제대로 발휘할 수 없는 것과 같은 이치입니다. 불교공부와 마찬가지로 『금강경(金剛經)』 공부도 인생과 삼라만상에 대한 실상을 밝히셨으며, '우리가 지금 여기 있음'의 진실을 밝히셨습니다. 그 밝혀진 실상에 의해서 우리가 지닌 모든 가치와 보람을 마음껏 누리도록 .. 2013. 2. 9.
금강경 강해(講解)를 시작하며 강해(講解)를 시작하며 금강경은 총 32편으로 16장까지가 전반부 나머지가 후반부이다. 불교경전은 모두 부처님 살아생전에 기술된 것이 아니라 부처님 열반후 부처님제자와 500명의 비구들이 모두 모여 하나 하나 검증하듯이 토의를 거쳐 결집된 것이다.. 그래서 경전은 모두 처음 시작이 여시아문으로 시작한다 나는 이렇게 들었다. 여기서 나는 부처님의 시자였던 아난존자를 가리킨다. 아난존자는 뛰어난 기억력의 소지자로 부처님의 말씀을 한마디도 기억하지 못하는 것이 없었다고 한다. 그래서 아난존자가 여시아문으로 시작하여 부처님 말씀을 얘기하면 500명의 비구들이 나도 들었다 나도 들었다 하여 동의를함으로 그것은 경전으로 인가하고 이런식으로 만들어졌다. 그래서 경전으로 인가받기 위해서는 언제 어느때 어느곳에서 누가 .. 2013. 2. 8.
금강반야바라밀경찬 공덕 ◈금강경(金剛經)/금강반야바라밀경찬 공덕◈ 옛적에 지나국 비산현령 劉氏(유씨)의 딸이 늘 금강경을 지극하게 독송하더니 나이 19살에 죽고 말았다. 그녀는 죽은 지 7일만에 염라대왕을 만나게 되었는데 대왕이 그녀에게 "그녀는 세상에서 어떤 인연을 지었느냐?" 하고 물으매, "일생토록 금강경을 독송했슴니다." 하고 대답하자, "어째 금강경찬은 독송치 않았느냐?"고 다시 물으매" 인간세상에는 금강경찬이 없어서 독송치 못했습니다."하고 대답했더니, "너를 다시 인간 세상으로 살려보낼 터이니 이 금강경찬을 잘 기억해 두었다가 인간세상에 널리 전하여라, 금강경은 5천1백4십9자로 되어 있으나 이 찬요를 한번 독송하면 금강경을 30만번 읽은 공덕과 맞먹느니라." 하고 일러주며 이승으로 다시 살려 보내 널리 전해지게 .. 2013. 2.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