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佛 敎 ♣/전국의 사찰63 사자산 적멸보궁 법흥사 사자산 적멸보궁 법흥사 법흥사는 강원도 영월군 수주면 법흥리 사자산(獅子山) 자리한 대한불교조계종 사찰이다. 사자산 법흥사는 신라의 고승 자장율사가 나라의 흥륭과 백성의 편안함을 도모하기위해 643년 신라 선덕여왕 12년에 사자산 연화봉에 부처님의 진신사리를 봉안하고 흥녕사(興寧寺)로 창건했다. 중국 선종의 중흥조인 마조도일 선사로부터 선(禪)을 전수받았던 신라의 선승 도윤칠감국사의 제자 징효절중(澄曉折中)이 886년 이곳에 선문을 여니 이것이 바로 라말여초 구산선문 중 하나였던 사자산문(獅子山門)이다. 1163년 고려 의종 때 다시 중창하였으며, 1730년 조선 영조 6년, 1778년 조선 정조2년, 1845년 조선 헌종 11년까지 역사의 부침속에서도 소실과 중창을 반복하며 그 맥을 이어왔다. 그 후 .. 2012. 9. 7. 춘천 청평사(2) 대웅전(大雄殿) 대웅전 불단(大雄殿 佛壇) 대웅전 불단에는 근래에 봉안한 석가삼존불상이 모셔져 있는데, 가운데 석가여래좌상을 중심으로 좌우에 문수·보현 보살좌상이 각각 협시하고 있다. 대웅전 불화 (신중탱) (천불도) *극락보전(極樂寶殿) * 극락보전 불단(極樂寶殿 佛壇) 아미타여래좌상을 중심으로 감로병이 얹힌 연꽃을 들고 있는 관음보살상과 대세지보살상이 있다. 아미타여래상은 오른손은 들고 왼손은 내린 이른바 시무외(施無畏)·여원인(與願印)을 하고 있다. 좌우 협시 보살상은 서로 모습이나 크기가 거의 같은데, 다만 왼쪽의 대세지 보살은 관음 보살과는 달리 손에 아무 것도 들지 않은 채 아미타여래좌상과 마찬가지로 시무외·여원인을 짓고 있다. 극락보전 불화 (지장탱) (신중탱) 삼성각(三聖閣) 삼성각의 벽화.. 2012. 9. 5. 춘천 청평사(1) 산과 강이 하나 된 맑고 평정한 절, 청평사 청평사(淸平寺)는 강원도 춘천시 북산면 청평리에 위치한다. 소양호를 지나면 빼어난 산수를 자랑하는 오봉산 품에 안겨 있는 청평사를 만날 수 있다. 일반인들에게는 고려정원(高麗庭園)으로도 널리 알려져 있다. 청평사는 973년(광종 24) 승현(.. 2012. 9. 1. 금강산 건봉사 **금강산 건봉사** 석가모니 부처님의 진신사리를 모시고 있는 금강산 건봉사 건봉사는 주변 산세가 연(蓮)잎의 겹으로 쌓여진 연꽃 중심부분에 서기520년(신라 법흥왕 7년) 아도화상이 원각사로 창건하였고, 758년(경덕왕17년) 발징화상이 만일염불회를 열어 스님 31분과 신도 1,820분이 만일.. 2012. 8. 31. 태백산 정암사 정암사(淨岩寺) (탄허 택성(呑虛 宅成, 1913~1983) 스님이 쓴 글씨다.)정암사(淨岩寺)는 강원도 정선군 고한읍 고한리 태백산 기슭에 있는 사찰로 대한불교 조계종 제4교구 본사인 월정사의 말사이다. 정암사는 우리나라 5대 적멸보궁의 하나로서 갈래사(葛來寺)라고도 한다. 636년(선덕여왕 5)에 자장율사가 당나라 오대산에서 문수보살을 친견하고 석가모니불의 진신사리와 가사를 전수받아 643년에 귀국한 뒤 금탑·은탑·수마노탑 3기를 세우며 창건했다고 전한다. 일제강점기에는 효봉(曉峰) 스님이 총독부의 집요한 감시를 피해 정암사에 3년 이상 머물며 수행 정진하였고, 해방 후에도 지월(指月)․서옹(西翁) 스님 등이 이곳에서 수행을 하는 등 정암사는 고승들의 수행처로 중요한 역할을 하였다. 이 고찰에는 적멸.. 2012. 8. 25. 흥천사(興天寺) 흥천사興天寺 (흥선대원군의 친필인 현판) 흥천사(興天寺)는 대한불교조계종 직할교구 조계사(曹溪寺)의 말사이다. 1395년(태조 4) 신덕왕후 강씨(神德王后康氏)가 죽자 1396년 능지(陵地)를 정릉(貞陵)에 정하여 조영(造營)하고, 그 원당(願堂)으로 능 동쪽에 170여 칸의 절을 세워 흥천사라 .. 2012. 8. 24. 무이산 문수암(文殊庵) 무이산 문수암(文殊庵) 관음보살상(觀音菩薩像) 법당안에 봉안되어 있으며, 목불개금되어 있는 보살상은 수미좌위에 작은 전각을 씌워 보살상을 안치하였다. 관음보살상은 화려한 보관을 쓰고 버들가지가 꽂혀 있는 정병을 손에 잡고 앉아 있다. 지장보살탱(地藏菩薩幀) 지장보살은 중생들이 죽은 후에 육도윤회나 지옥에 떨어지는 고통에서 구원해주는 보살이다. 지장보살을 주존으로 하고 그의 권속들을 거느리며 시왕들이 배치되어 있다. 문수동자상(文殊童子像) 목불개금되어 있으며, 사자상(獅子像)위에 앉아 법당에 봉안되어 있다. 신중탱(神衆幀) 법당 안에 걸려있는 신중탱은 면위에 그려졌으며 청룡이 크게 부각되어 중심에 서있고 왼쪽 발 앞에 제석천이 합장하고 있으며, 무장한 신장들과 모란과 연꽃가지를 들고 있는 천녀, 많은 성중.. 2012. 8. 23. 경주 남산 마애불 경주남산 마애불 *칠불암 마애불상군* *신선암 마애보살상* *석조여래 삼존입상* *삼릉계 마애관음보살입상* *삼릉계마애불좌상* *삼릉계상선암 마애불좌상* *삼릉계곡 석조여래좌상* *삼릉계선각육존불* *삼릉계곡 석불좌상* *용장사지 삼층석탑* *용장사곡 석조여래좌상* 용장사곡 석조여래좌상 *용장사지 마애불좌상* 2012. 8. 22. 궁궐을 닮은 절집, 수락산 흥국사(興國寺) ~~~~~ 궁궐을 닮은 절집, 수락산 흥국사(興國寺) ~~~~~ ▲ 흥국사 통일약사대불 앞 나한 * 익스플로어 새 창으로 보고자 할 경우 위에 사진을 클릭바랍니다. * 까페와 블로그에 올린 글은 공개일 기준으로 1달까지만 수정,보완 등의 업데이트가 이루어 집니다. 그 이후는 편의상 본 글의 원본.. 2012. 8. 21. 이전 1 2 3 4 5 6 7 다음